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2

        63.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olloid Formation and Migration (CFM)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initiative continues as a part of the GTS’s Radionuclide Retardation Programme, which has been in progress since 1984. This project focuses on examining the formation of colloids from a bentonite-engineered barrier system and exploring how these colloids impact the migration of radionuclides in fractured host rock when subjected to advective flow. Phase 1 of the project was launched in 2004 and concluded in early 2008, focusing on preliminary studies related to in-situ boundary conditions, predicting models, and supplementary lab works. Following that, Phase 2 spanned from 2008 to 2013 and aimed at fortifying the field setup by adding three new monitoring boreholes and suitable instrumentation in both the boreholes and tunnel. This phase also tested the system’s resilience while mapping the flow domain. Phase 3 kicked off in January 2014 and extended until December 2018. During this period, the Long-term In-situ Test (LIT) was introduced in May 2014, featuring a set of compacted bentonite rings laced with radionuclide tracers. These were placed in a borehole to serve as a colloid and radionuclide source. CFM Phase 4 initiative commenced in January 2019, marking the successful deployment of the i-BET (In-situ Bentonite Erosion Test). This project component involves placing approximately 50 kg of compacted bentonite in a natural water-conducting shear zon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joined CFM in 2008 to examine the behavior of colloid generation and migration with radionuclides in the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The fourth phase of the CFM project was also scheduled to include a post-mortem evaluation of the LIT and additional tracer experiments in the well-mapped MI shear zon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nterim update on the ongoing i-BET, a key component of Phase 4 of the CFM project. We will also discuss the current status of the post-mortem analysis for the LIT experiment. In addition, we will outline plans for the forthcoming Phase VI of the project. These plans will continue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radionuclide migration and the influence of bentonite-based disposal systems.
        64.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types and healthy dietary practices among Korean adult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ationwide data on 23,488 participants from the 2017-202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Based on self-reported data, the participant household types were classified into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The adjusted odds ratios (A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healthy dietary practices according to household types were calculated by apply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Of total, 11.21% and 88.79% were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respectively. Compared with individuals living in multi-person households, tho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had lower odds of adhering to healthy dietary practices (AOR: 0.88, 95% CI: 0.79-0.98) and consuming adequate saturated fatty acids (<7% of energy) (AOR: 0.78, 95% CI: 0.69-0.88). In addition, men and individuals aged 65 years living in single-person households exhibited lower odds of consuming adequate saturated fatty acids and 500 g of fruit and vegetables per day than those in multi-person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often find it a challenge to practice a healthy diet. Hence, nutritional policies and educational support that help individuals living alone consume healthier diets are warranted.
        4,200원
        6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FTS(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는 참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며 한국에서는 제3급 법정 감 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SFTS 감염 시 치사율이 높은 편이며, 현재까지도 백신과 치료제가 없다. 이러한 참진드 기의 발생 및 분포 조사와 SFTS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2023년 4월부터 8월까지 김천시와 군위군 4곳의 환경 (무덤, 산길, 잡목림, 초지)에서 Dry ice trap으로 채집을 진행하였다. 김천시에서는 총 1,444마리의 참진드기가 채집되었으며, 잡목림에서 571마리(39.5%)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군위군에서는 총 3,914마리가 채집되었으 며, 무덤에서 2,701마리(69.0%)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참진드기의 종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외형 동정이 어려 운 유충을 제외하고 김천시에서는 Haemaphysalis longicornis가 1,160마리(99.3%)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군위 군에서는 Haemaphysalis longicornis가 1,414마리(98.6%)로 역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참진드기의 SFTS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Nested PCR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 SFTS를 보유한 참진드기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조사에서는 SFTS에 감염된 참진드기 개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SFTS에 감염된 환자가 2016년부터 매년 160명 이상 발생하고 있으므로 체계적인 감시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6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status of eggs and adults of Pochazia shantungensis, Lycorma delicatula, and Lymantria dispar was investigated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wintering eggs of P. shantungensis occurred in 24.2% of the region in 2021 and 22.1% in 2022, while adults occurred in 25.2% in 2021 and 24.3% in 2022, indicating the highest occurrence among the pests studies in this research. The occurrence of overwintering eggs of L. delicatula was relatively low, with 2.6% of the region affected in 2021 and 1.9% in 2022. Adults of L.delicatula occurred in 3.2% of the region in 2021 and 3.6% in 2022, while they were not undiscovered in Jeungpyeong, Jincheon, Goesan, and Danyang areas. Their area of occurrence was less than 3% of the region, and the volume of occurrence was not very large. Overwintering eggs of L.dispar occurred in 4.1% of the area in 2021 and 1.7% in 2022, showing a decreasing tendenc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their occurrence was only low to middle in terms of the degree of occurrence.
        6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 국제교역량, 여행객 및 외국 이주민 증가 등으로 고위험 식물병해충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으 며, 고위험해충에 대한 국내 유입여부를 상시 조사하여 외래식물해충을 발견하고 발생시 조기 대응하는 전문지 식과 경력을 갖춘 민간 전문가를 활용한 예찰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인 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는 광식성 해충으로 파프리카, 망고, 바나나, 감귤류 등 약 80종의 과실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해당 종의 국내정착 시 큰 경제적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조기 방제 및 선제적 대응과 국내 확산 정착을 방지하기 위해 4개도(강원, 전북, 전남, 경남) 18개 시군 90개소에 유인트 랩(스테이너)을 설치하여 설치장소별 월 1회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트랩에 포획된 해충을 수거 후, 동정한 결과 오리엔탈과실파리는 발견되지 않았다.
        6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osphine is a common pesticide used to control grain pests in Rice Processing Complex(RPC). However, increasing use of aluminum phosphide caused the occurrence of phosphine resistance pests. In this study, phosphine resistance pests collected at RPC in 2023 was investigated with FAO No. 16 test, Dihydrolipomaide dehydrogenase(DLD) test and amino acid mut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occurrence of phosphine resistance in Korea. Tested pests were collected in the 7 province 35 region. As a result of the FAO test of 21 regions, all sample were phosphine sensitives. In DLD test and amino acid analysis, 7 region samples were weak resistances. It is required to inspect the RPC and other grain storage continuously to inhibit the widespread of resistant pest.
        7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environments (urban area, migratory bird refuge, and cowshed) in Gyeoungbuk from March to November 2022. A total of 4,701 female mosqutoes were collected: 1,635 from urban area, 2,801 from migratory bird refuge, and 265 from cowshed. Among collected 9 species, Aedes vexan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50.9%), followed by Culex pipiens complex (31.8%), and A. albopictus (7.1%). In urban area, C. pipiens complex was the dominant species at 75.5%, while A. vexans was the dominant species at 82.3% and 58.9% in respective migratory bird refuge and cowshed. Among 253 pools tested for flavivirus, Japanese encephalitis virus (type Ⅴ) was detected in one pool of C. orientalis collected from the migratory refuge.
        7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3월12일 제천시의 발표(구체화)에 따르면 제천지역 내 양봉 농가를 대상으로 꿀벌생육실태를 확인한 결과 전체 벌통에서 절반 수준의 꿀벌이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전부터 국내 남부에서 진행되어 오던 꿀벌집단실종 현상의 한계선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언론에서 집중 조명된 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이 과연 한반도 온난화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원인분석 및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꿀벌실종이 일어난 연도와 달을 중심으로 제천지역내의 기온, 일교차, 강수, 일조량 등 다양한 환경조건 중 예전 과 비교하여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요인이 꿀벌의 집단실 종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다른 요인분석으로 미국, 유럽 등에서 꿀벌실종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 고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Neonicotinoids) 살충제를 이용해 꿀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으며, 생존한계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국내 살충제의 연도별 사용량을 간접 비교함으로써 꿀벌실종의 주요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충북제천 꿀벌의 실종은 기온의 상승보다는 일조량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향후 일조량에 따른 벌집내부의 온도변화 및 꿀벌의 활동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꿀벌실종에 대한 장기적인 상관관 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7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ientia tsutsugamushi 에 의해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은 제3급 법정감염병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설치류에 기생한 털진드기 유충에 의해 주로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균인 O. tsutsugamushi 는 Gilliam, Karp, Kato와 같은 표준 혈청형 외에도 유행하는 국가에 따라 30종 이상의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우리 연구진은 야생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O. tsutsugamushi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충남 예산에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3-4월, 10-11월에 걸쳐 수행하였 다. 총 142마리의 설치류가 포획되었으며, Hanging method로 설치류에서 분리된 털진드기는 총 18,347마리였다. 수거된 털진드기의 샘플 중 1/2은 질병관리청으로 이관하였으며, 나머지 절반을 이용하여 O. tsutsugamushi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2018년 5건, 2019년 2건, 2020년 0건, 2021년 9건, 2022년 0건, 2023년 36건이 확인되었으며, 혈청형 분석 결과 Je-cheon 28건, Young-worl 3건, Boryoung 9건, Koto Akita 1건, Gilliam 2건, Karp 9건으로 확인되었 다. 이번 연구를 통해 예산 지역 내 다양한 O. tsutsugamushi 혈청형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역에 따른 혈청형 차이가 반영된 공중보건학적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