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ddresses the current demand of the Korean mushroom export industry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and governing policies.The enoki mushroom exports increased by 89% in 2009 and 23% in 2010, resulting in the largest export volume (17,163 tons) and export value ($26,292,000) being recorded in 2010. In contrast, exports in 2020 yielded only $18,525,000, which was 29% lower than that in 2010. In case of king oyster mushrooms, exports increased by 10% in 2012, 13% in 2013, and 2% in 2014, maintaining a moderate-growth trend. Moreover, Korea’s mushroom exports are focused on a few specific countries. Enoki mushrooms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exports to North America and Vietnam from 2012 to 2022, whereas king oyster mushrooms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exports to Europe and North America (USA and Canada) from 2009 to 2022. Another characteristic trend in Korean mushroom exports is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s. The number of countries importing enoki mushrooms and king oyster mushrooms from Korea is increasing.
COVID-19로 인한 팬데믹은 21세기 인류가 당면한 가장 큰 고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전방위로 모든 산업에 심각한 피해 를 줬으며 특히, 산업현장의 노동자는 COVID-19로 변화된 근로 및 생활환경으로 많은 고통과 어려움을 지금도 겪고 있다. 선원은 팬데믹 이 시작된 후 일찍이 필수업무종사자의 지위를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았다. 또한 국제적으로는 해사노동협약을 통해서 이들의 권리 보장 과 국제노동기준의 이행을 통해서 공정한 경쟁체제 확립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당사국이 준수해야 할 국제협약상의 의무와 국제기구 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해사노동협약상의 선원권리는 침해받고 선원의 안전보건이 더욱 위협받는 상황이 팬데믹 동안 발생하였다. 이 논 문은 COVID-19에 대한 각국의 대응조치가 국제해운업계와 해사노동협약 이행에 끼친 영향분석과 함께 제4차 특별삼자간위원회를 통해서 채택된 2022년 해사노동협약 개정을 회의준비문서와 보고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채택된 8개의 해사노동협약 개정문은 선원의 권리와 안전보건에 있어서 향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지만 선원의 최대근로시간, 최대승무기간 및 송환의 문제는 여전히 난제로 남 아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의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들을 중심으로 국내 코치 활동과 관련 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코치들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 63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을 진행하고,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총 61개의 문항 중 44개의 문항을 중심으 로 분석을 하였으며, 국내 코치들의 일반 활동 현황분석, 코칭 비용과 수입, 코치 의 코칭 역량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치들은 경영 학과, 심리학, 코칭학을 전공한 석사 졸업자가 가장 많았고, 코치들의 활동 지역 은 주로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었다. 코칭 비용에 있어서는 회기당 현재 받는 코칭 비용과 받고 싶은 코칭 비용 수준이 서로 달랐으며, 코칭 경력, 소속, 직업 별, 코칭 비용과 수입, 코칭 시간에 있어서 코치 자격별 차이가 있었다. 전업 코 치로 활동하는데 가장 장애가 되는 요소는 고객이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했 다. 코칭 역량과 관련하여 코치의 전문성을 강조하였으며, 경청하기를 주요 기 술이라고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직업인으로서 코치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을 제시했고, 코칭 관련 시사점, 한계점, 기대사항 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한국선교신학회의 역사는 공식적으로 1991년에 준비모임 후 1992년에 창립되었다. 학회 연도 구성은 두 단계로, 1991-2000년까 지 태동과 준비기, 2001-2022년까지 도약과 안정 그리고 학회의 세계화 현장으로 정리된다. 외형적으로는 첫째, 학회 내실 있게 한 시기로, 회원증가, 논문발표, 회원들의 저술 활동 나아가 교재 개발이 있었다. 둘째, 연합활동으로는 국내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와 해외 선교단체들과 연대 학술대회, 특히 세계선교학회(IAMS)와의 교류이 다. 내형적으로는 「선교신학」 학술지 특집 발간으로 학회의 전문화, 등재학술지로 확대, 그리고 다양한 학술대회 등이 연 4회 이상 전문화와 특성화를 갖춰 개최되었다. 앞으로 한국선교신학회는 선교의 무수한 외형적 변화와 선교 본질의 내부적 단결과 단합으로 복음이라는 울타리 를 넘어 증거하며, 본질적 선교의 사명이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확증해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