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drying agents and ethyl alcohol treatment on the flower color of Gentiana uchiyamai. The flower color was not much changed in flower sheet, in the case of absorbtion papers only. The color was least changed in Korean and China hwasunjis, in the case of absorbtion papers and silica gel treatment. The color was less changed in flower sheets, window papers, and China hwasunjis, and was most changed in newspapers, in the case of absorbtion papers and Na2SO4 treatment. The color was least changed in China hwasunjis, and most changed in dampened papers, in the case of absorbtion papers and CaO treatment. The color tended to change far from the original one, as treatment time got longer, in the case of 0.01M and 0.lM of tartaric acid. The longer the treatment time and the bigger the concentration of ethyl alcohol, the bigger flower color.
삼백초의 수확시기와 횟수를 달리함으로써 생육과 경엽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회 수확시의 생육은 7월 16일과 7월 31일 수확에서 가장 왕성하였으며, 2회 수확시는 1회 수확시기가 빠를수록 양호하였다. 2. 상품 경엽수량은 7월 31일까지는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많았으나, 이후 10월 16일에서는 41% 수준으로 감소폭이 컸다. 3. 건물율은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reading the change of local meteor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dam construction of Nakdong-river using numerical model. The study used PSU/NCAR Mesoscale Model version5(MM5) for inquiring effect of formation of artificial lake after dam construction. The colleague simulated temperature mixing ratio, latent heat flux and sensible heat flux in two cause of existing lake and not. Temperature and mixing ratio in southwest of Andong lake increased because of the air that was warm and moist above the lake moved to southwest due to the northeasterly wind. In the case of existing lake around Andong, latent heat flux increased much in the daytime after sunrise. However, sensible heat flux decreased but it didn't change distinctly in southwest of Andong like the other valu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reading the change of local meteor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dam construction of Nakdong-river using meteorological data analysis, and modeling. The meteorological data analysised are mean temperature, foggy day, precipittion day and sunshine time. As the result of analyzing meteorological data of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dam in Andong and Hapchon, some discrepancy were observed by month because the lakes have different effect on the region as wind field. The common phenomenons that are revealed after dam construction are increase of foggy day and decrease of sunshine time.
It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safe maneuvering and piloting of a VLCC to know the quantity of her sinkage and trim changes in advance when she enters into shallow water area from deep sea. It is already well known that the quantity of sinkage and trim of a vessel change when she navigates between the sea areas of different depths. In this paper, the authors induced five mathematic formulas to compute the quantity of hull sinkage and trim changes arising from the different conditions and speeds of vessels and sea depth. Also they checked and examined the conditions of 131 VLCC class vessels with the over all lengths between 200 to 360 meters and evaluated mean values of Cb, Lpp/B, Lpp/dm, the trim and mean draft(dm) of them according to the different groups of length and loaded conditions. Using the calculating math formulas and loaded conditions, the authors math tables to find the quantity of hull sinkage and trim changes due to the different size, condition and speed of vessels and the depth of sea.
품질관련 성분 중 총질소, 총아미노산, 엽록소 및 비타민 C는 CO2 gas 3시간 혐기처리가 타처리에 비해 함량이 약간 많았으며, 탄닌은 공기 처리가 카페인은 진공처리에서 함량이 약간 많은 경향이었다. 유리당은 CO2 gas 처리가 2,050mg/100g으로 타처리에 비해 31~449mg/100g정도 많았다. 혐기처리시 GABA와 alanine이 축적되는데, GABA함량은 N2 CO2 gas 처리가 무처리 (350mg/100g)에 비해 215mg/100g과 264mg/100g으로 6~8배 많았다. 제다품질은 무처리 80.4점에 비해 N2, CO2 gas 처리 각각 80.0, 80.3점으로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공기 및 진공처리는 각각 78.3, 78.9점으로 약간 품질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N2나 CO2 gas처리 후 제다된 녹차는 기능성분인 GABA함량이 무처리에 비해 6~8배 많고, 제다 품질도 양호하였다.
1900년대 이후 지구의 대기 중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산업화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인데, 이와 같은 온실가스의 증가는 지구온난화 현상을 야기해서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 현상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를 분석 및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지규모 수문-대기 모형을 통해 모의된 지
장래 의 증가에 따른 지구 기온의 상승은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불가피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강수량의 경우는 대기대순환모형(General Circulation Model, GeM)의 종류에 따라 감소에서 증가까지 다양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강수량의 변화는 평균적인 개념의 연평균, 계절평균이나 월 평균도 중요하지만 국가적인 재해와 관련된 홍수나 가뭄의 발생도 중요한 관심사항이 된다. 홍수나 가뭄의 발생변화를 적절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제주도를 중심으로 하여 동쪽해역과 서쪽해역 해수의 일주 변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7년 6월 20일부터 22일 까지 각 해역 1개 정점에서 24시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연속 관측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동·서 해역의 수온은 표층에서는 거의 비슷하나 저층에서는 동쪽해역이 15.02℃, 서쪽해역이 13.8℃로 나타났으며, 염분분포는 동쪽해역 표층 33.81, 저층 34.33, 서쪽해역 33.34, 34.11로 동쪽해역이 서쪽해역 보다 고온 고염수가 분포하고 있다. 영양염류의 분포에 있어서 질산염 함량은 표층에서는 동,서해역이 거의 비슷하나 저층에서는 동쪽해역이 서쪽해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인산염 함량은 다른 영양염류와 달리 전 수층에서 동쪽해역이 서쪽해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규산염은 질산염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Chlorophyll-a는 서쪽해역이 동쪽해역 보다 2∼4배 높았다.
일주변화는 수온, 염분은 수온약층인 30m층에서 변동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pH는 수심별 변화는 거의 없고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작용에 의하여 주간이 야간에 비해 높았다. 영양염류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질산염과 인산염의 함량은 주간보다 야간이 높았다. 그러나 규산염은 주·야간 변화가 없었다. Cholrohpyll-a는 유광층인 30m층, 50m층에서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영양염류의 구성비인 N/P비는 동쪽해역 13, 서쪽해역 16으로 동쪽해역보다 서쪽해역이 높은 질산염을 함유한 해수가 분포하고 있다. 동·서해역 모두 플랑크톤의 광합성 활동이 활발한 주간보다 야간에 2배 정도 높았다. Si/P비는 N/P비와 달리 주·야간 및 표·저층간 차이도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질소와 인의 상관성은 동쪽해역는 유의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AOU와 질소.인의 상관성은 동쪽해역는 유의성이 좋은 정의 관계가 나타났으나, 서쪽해역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한 방법 및 기간이 탈삽감의 저장 후 shelf-life 동안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떨은감인 '청도반시'를 에서 70% +5% 의 기체조성비로 39시간 동안 탈삽처리하고 의 CA(5% +3% , 8% +3% ), MAP(0.06 mm LDPE, 5.2% +6.8% ) 및 air 방법으로 15, 45, 75, 105일 동안 각각 저장한 다음 1에서 보관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육경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In order to study the long-term change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Kumho river water, water analysis was conducted at l3sites surrounding the Kumho river system for l8times from September 1993 to August 1999.
Analytical items for the study of water quality are Cu, Zn, Cd, Cr, Fe, Mn and Pb.
The six year term studied in this work was divided into Part Ⅰ and Part Ⅱ, which covers the period from September 1993 to August 1996 and the period from September 1996 to August 1999,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s of Cu, Zn, Cd, Cr, Fe, Mn and Pb in the unit of ppm for the PartⅠ period showed 0.032, 0.025, 0.006, 0.006, 0.050, 0.053 and 0.019,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s of Cu, Zn, Cd, Cr, Fe, Mn and Pb in the unit of ppm for the Part Ⅱ period showed 0.001, 0.001, 0.001, 0.004, 0.020, 0.002 and 0.002, respectively.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Kumho river water for the second period were found to be decreased by 1/32, 1/25, 1/6, 1/1.5, 1/2.5, 1/26.5 and 1/9.5 for Cu, Zn, Cd, Cr, Fe, Mn and Pb, respectively. The present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water quality in the Kumho river is improving in term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s.
온난화에 의한 하천유역의 수문응답(강우유출, 특히 일단위의 유황)의 변화양상을 수치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에 따른 온난화의 진행으로 야기되는 수문학적 평가는 많은 관측자료를 필요로 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장래의 기후를 예측하는 수단으로서 적정한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상정할 수 있는 시나리오 중 기온은 에서 까지 변화하며
황철석의 산화에 의한 토양 및 지표수의 산성화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여 왔다. 특이산 성토의 이차광물과 화학적 특징은 풍화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택지 및 골프장 조성과정에서 지표에 노출된 11.8% 황철석을 함유한 열수변질 안산암의 풍화에 따른 광물학적 변화를 X-선 회절, 전자현미경 (SEM, TEM), 배수의 화학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수용성 염, ferrihydrite, jarosite가 풍화과정의 이차 광물로서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하에서, ferrihydrite는 미세입자들의 입단, jarosite는 판상, 수용성 염은 기둥모양을 나타내었다. 안산암 내에 존재하는 황철석은 입자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정육면체 형태/육각기둥 형태의 비가 증가하였다. 배수는 강산성 (pH 3.5) 이었으며 ferrihydrite, jarosite와 화학적 평형을 이루고 있었다.
본 연구는 대구시의 4월 평균기온자료에 대해 간섭모형을 적용하여 온도변화의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분석하고 향후의 기온 변화를 예측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의 도시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어려운 이유로 간섭의 시점을 시계열상에 나타난 시점으로 선정하였고 그 결과 간섭시점은 크게 1947년과 1970년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래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따라 그 결과는 많이 달라지겠지만 만약 이산화탄소 배
Through numerical experiment using simplified OSU-ID PBL(Oregon State University One-Dimensional Planetary Boundary Layer) model and field measurement, we studied the impacts of vegetation canopy on heat island that w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limate in urban area. It was found that if the fraction of vegetation was extended by 10 percent, the maximum air temperature and the maximum ground temperature can come down about 0.9℃, 2.3℃, respectively. Even though the field measurement was done under a little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 the canopy air temperature was lower in the daytime, and higher at night than the air and ground temperatur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xtention of vegetation canopy can bring about more pleasant local climate by causing the oasis, the shade and the blanket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