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시아의 선박재활용 산업은 작업자에게 최소한의 안전장비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국제노동인권을 지키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선박 해체시 유출되는 폐기물을 적절히 처리하지 않고 주변 해역 및 해변으로 유출시켜 지역민의 환경권을 침해하고 있다. 하지만, 남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개발도상국 정부는 선박재활용을 통해 유입되는 이익 및 다국적기업(선주)과의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이러한 불법행위를 실질적으로 제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제사회는 선박의 실질적인 관할권을 가지는 기국을 중심으로 선주의 폐선 활동을 남아시아 지역에서 제한(선박매매 제한 등)토록 하는 국제조약을 발전시켜 왔다. 하지만, 이마저도 편의치적 제도 및 제3자를 통한 선박매매로 인해 실질적인 통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최근 전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사인 머스크는 자회사의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SO’) 를 2016년 방글라데시 치타콩에서 폐선하기 위해 선박매매를 진행하였고, 실제로 2017년 폐선을 진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 2018년 2월 유엔인권사무소는 남아시아 지역의 선박재활용으로 인한 인권문제에 관하여 머스크사에 설명을 요청하였다. 이는 머스크사가 최근 유엔이 개발한 “기업과 인권에 대한 유엔가이드라인”을 준수하였는지를 묻기 위한 것으로, 중개인을 통한 머스크사의 선박매매가 치타콩 해변의 인권침해 행위에서 그 책임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가가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기존 Basel Convention 및 Hong Kong Convention에서는 선주가 제3 회사를 통해 선박국적을 편의치적 할 경우 인권침해 행위에 직접적인 책임이 없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2011년 채택된 기업과 인권에 대한 유엔 가이드 원칙에서는 기업활동, 제품, 서비스가 기업간 거래 관계를 통해 인권 침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경우 중개자 수와 관계없이 관련 기업은 인권침해 책임을 진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채택된 Basel Convention 및 Hong Kong Convention 이 남아시아 선박재활용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권침해 행위 책임을 선주에게 묻기 어렵다고 보고, 기업과 인권에 대한 유엔 가이드 원칙을 중심으로 남아시아 선박재활용 산업의 인권침해 행위에 관한 책임을 선주에게 부과할 수 있는 지 알아보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머스크 사건을 중심으로 당 회사가 책임을 면하기 위한 상당한 주의 의무를 이행했는지 알아본다.
The early-onset familial Alzheimer's disease (EOFAD/ FAD), the less common type of Alzheimer's disease (AD) currently affects a vast number of individuals worldwide. This type is being inherited as an autosomal dominant fashion. Missense mutations on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and Presenilins 1 and 2 (PSEN1 & PSEN2) are known as major genetic factors in FAD. Conversely, missense mutations on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tau (MAPT) are also thought to involve. Up to date, several triple-transgenic animal models with muted forms of the human APP, PSENs and MAPT have been reported. Compared to other animals, canines are more emotional and their disease signs can be easily diagnosed. This attempt was to develop a triple transgenic canine model for the AD. We have obtained the coding sequences of APP, PSEN1 and MAPT from Dana-Farber/Harvard Cancer Center DNA resource core at HMS and incorporated several common AD mutations. The transgenic construct is composed of hNSE (ENO2) promoter-driven three AD genes fused together with modified 2A sequences. It was transfected into the canine fetal fibroblasts which were then used to perform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The viable transgenic embryos were obtained after in vitro culture and the GFP was detected. In this study, we have successfully produced viable triple transgenic canine cloned embryos using SCNT technique. These transgenic canine embryos will be further developed into canines with FAD. The transgenic canines will be a good candidate in the AD research field.
Stem cells have special properties, such as self-renewal, proliferation, and the multilineage differentiation. Generally, stem cells are categorized into embryonic stem cells (ESCs), adult stem cells (ASCs),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are a type of ASCs with a multipotent property. MSCs are easily isolated from various tissues and organs in the human body and can differentiation into multiple lineages, such as bone, cartilage, fat, and muscles. Compared to ESCs and iPSCs, MSCs possess les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capacities, therefore, a much scientific concern is concerned toward promoting the prolifer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potency of MSCs.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such as the treatment of various types of small molecules or culturing on specific peptides. Producing of high-quality MSCs with enhanced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capacities will definitely be a useful tool for stem cell-mediated tissue regeneration and the further clinical application.
농업생산물의 질적인 생산을 위해 비료와 농약과 같은 화학물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토양 내의 지하수를 통해 넓은 범위로 확산되어 토양오염을 악화 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토양오염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농업생태계에서는 화학비료의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가축분뇨나 SCB액비 등의 농축산 부산물을 비료자원으로 활용하는 유기질비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축산 부산물과 같이 재활용되지 않았던 폐모발을 비료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17승리협동조합에서 개발한 모발비료는 폐모발의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식물용 아미노산 액비로 제조한 것으로 비료 생산에 필요한 제반 준비 및 성적분석과 미생물 시험을 마쳐 상용화 준비 과정에 있는 비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발액비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모발액비의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미곡리에 위치한 수현농원에서 2018년 7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다. 공시식물은 생육환경에 따라 엽색 변화가 나타나고 단기간 뚜렷히 생육을 관찰할 수 있는 식물인 크로톤(Codiaeum variegatum), 몬스테라(Monstera deliciosa), 파파야(Carica papaya), 고무나무(Ficus elastica) 4종을 선정하였다. 실험구의 토양은 원예용 상토, 원예용 무비상토 그리고 피트모스를 혼합하여 조성하였다. 실험구는 비료의 시비방법에 따라 무처리구(control), 화학비료 처리구, 모발비료1.0 처리구, 모발비료2.0 처리구로 구분하여 5반복으로 총 80개를 조성하였다. 시비방법은 처리구 모두 200ml씩 주 1회 시비하였으며, 화학비료와 모발비료1.0의 경우 액비의 EC 농도를 1.0dS/m에 맞춰 시비하였고 모발비료2.0의 경우 EC 농도를 2.0dS/m에 맞춰 시비하였다. 생육측정은 엽장, 엽폭, 엽수, 초장, 근경을 디지털 캘리퍼스와 자를 이용하여 2주 간격으로 처리구당 3반복 측정하였으며, 엽색과 엽 두께 등의 시각적인 요소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 크로톤, 몬스테라, 파파야, 고무나무 모두 첫 한 달간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한 달이 지난 후부터는 각 처리구별로 차이를 보였다. 두 달간의 평균 생육차이를 봤을 때, 크로톤의 경우 엽장, 엽폭, 초장은 모발비료2.0, 모발비료1.0, 화학비료 순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엽수의 경우 화학비료, control, 모발비료1.0, 모발비료2.0 순으로 차이를 보였으나 모발비료2.0의 경우 엽수가 적은 반면 엽색이 더 선명하고 다양하였으며 다른 처리구와 다르게 꽃대가 올라와 꽃을 피웠다. 몬스테라는 전반적으로 모발비료보다 화학비료에서 좋은 생장을 보였으며 엽수는 모발비료가 화학비료보다 더 큰 차이를 보였다. 파파야의 경우 공시식물 중 가장 뚜렷한 성장을 보였다. 엽장, 엽폭, 경경의 평균 생장차이는 화학비료와 모발비료1.0의 생장은 비슷하였으나 모발비료 2.0의 생장이 큰 차이를 보였다. 초장의 경우는 모발비료2.0, 모발비료1.0, 화학비료, control 순으로 생장 차이를 명확히 보였다. 엽수는 큰 경향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생장하면서 기존의 잎을 떨어트리는 파파야의 생장특성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고무나무는 엽장, 엽폭, 경경의 경우 화학비료와 모발비료2.0이 비슷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모발비료1.0, control 순으로 차이를 보 였다. 초장과 엽수에서는 모발비료1.0, 화학비료, 모발비료2.0, control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고무나무는 크로톤과 비슷하게 생육의 차이는 명확하지 않았지만 모발비료2.0에서 시각적으로 엽육이 두껍고 색이 더 선명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발액비 처리구를 무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모발액비는 비료로서 식물에게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화학비료와는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식물체와 토양을 분석하여 화학비료와 모발액비가 각각 식물과 토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세부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Nicotine of tobacco component has a controversial impact in the clinical outcome of dental implants. Although numerous nicotine effects on bone healing around implants have been presented, it is rarely reported in vitro study about normal human osteoblast(NHost) from oral and maxillofacial area at the surface of impla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nicotine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response of NHost to plasmatic and salivary levels of nicotine reported in smokers at the surface of screw-type plasma-sprayed titanium implants. NHosts were seeded on the surface of titanium implants and cultured for 21 days in α-MEM supplemented with 10% FBS, 50mg/ml ascorbic acid, 5mM β-glycerophosphate and 100nM dexamethasone. Seeded implants were exposed to various nicotine concentration(0.05-0.5mg/ml) from 1 to 21 days, and characterized for cell morphology,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y and ionized calcium concentration(Cai) of medium. Continuous exposure to higher nicotine concentration(above 0.3mg/ml) induced a dose- and time-dependent vacuolation of the cytoplasm, and a tendency to detach from the implant surface. 0.05mg/ml(lower nicotine concentration) did not cause significant effects in the cell proliferation and ALP activity. 0.1-0.2mg/ml caused evident dose-dependent effects in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ALP activity and earlier onset of matrix mineralization at levels up to 0.2mg/ml, while a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 at 0.3-0.5mg/ml. Cai concentration of control group was decreased at 14 days. Increased Cai concentration at 0.1-0.2mg/ml, decreased Cai concentration at 0.3mg/ml and no change at 0.5mg/ml during the culture period were seen. It suggested that nicotine concentration could paly an role in modulating NHost activity as a contributing factor associated wit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NHost at the surface of implants.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은 20세기 초까지 한반도에 상당 수 분포하였으나, 산업화로 인한 서식지 소실과 밀렵, 포획 등으로 절멸위기에 처하였다.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개체군의 절멸을 방지하고 자체 생존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2004 년부터 시작되었다. 개체 도입․방사와 출생 지리산 복원 개체군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일부 자연분산 현상이 관찰되고 있어, 지속적인 서식지역 확대와 사람과 곰의 조우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리 산 일원의 반달가슴곰과 사람의 잠재적인 충돌 가능 지역 주변에서 활동 양상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간분석과 통계분석은 2015년부터 2017 년까지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일일 무선위치추적을 통해 수집된 반달가슴곰 20개체(female, n=9; male, n=11)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였다. 반달가슴곰 출현 지점으로부터 거주지역과의 거리, 농경지(과수원, 기타재배지, 논, 밭, 시설재배지, 하우스)로 부터의 거리, 정규 탐방로와의 거리, 사찰로부터의 거리 등 총 4가지로 구분하여 암-수성별, 계절별(봄, 여름, 가을) 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잠재적인 충돌 위험 지역과의 거리를 분석한 결과, 거주지역과의 거리는 암컷이 수컷보다 더 가까운 경향을 보였고, 암-수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농경지와의 거리, 정규 탐방로와의 거리, 사찰과의 거리 등은 암-수 사이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p<0.05), 농경지와의 거리, 정규탐방로와의 거리, 사찰과의 거리 모두 수컷이 암컷보다 더 가까 운 지점까지 접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절별 양상을 분석한 결과, 거주지역과의 거리, 농경지와의 거리, 그리고 사찰과의 거리는 여름철에 가장 가까운 경향을 보였고, 정규 탐방로와의 거리는 가을철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인간의 활동 영역에 접근하는 반달가슴곰의 성별, 계절별 행동 양상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지리산 지역에서 곰-사람 충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exists very little information on the ultrastructure of substance P immunopositive (+) fibers in the human dental pulp, which may help in understanding the mechanism for substance P associated pulpal inflammatory pain. To address this issue, we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substance P+ fibers in the human dental pulp by light- and electron-microscopic immunohistochemistry.
Light microscopy revealed that substance P+ fibers ran within neurovascular bundles in the radicular pulp and in the core of coronal pulp. They were also frequently present in the peripheral pulp. Substance P+ fibers showed beads like swellings interconnected by thin axonal strand, in a manner similar to bouton en passants and interconnecting axonal strand in the spinal cord.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almost all the substance P+ axons were unmyelinated. The axonal swellings of the substance P+ contained numerous clear round vesicles (40-50 nm in diameter) and many large dense-cored vesicles (80-110 nm in diameter) as well as many mitochondria. The vesicles and mitochondria were rarely observed in the thin axonal strand interconnecting the swellings. Intimate interrelationship or synaptic structure between the swellings of substance P+ axon and nearby pulpal cells or axons was not found.
These findings suggest co-release of substance P and glutamate from the substance P+ pulpal axons and its action on nearby structures in a paracrine mann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reating dairy cattle with exogenous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hCG), five (5) days post artificial insemination (AI) on serum progesterone (P4) concentration and pregnancy rate. In this experiment, five days after AI, cows were assigned randomly to two groups namely: a) treated group (67) which were administrered with 1500 IU hCG (Chorulon) and b) control group (61), which received no treatment. On day 5, 10, 15 and 20 after the artificial insemination, blood samples from a total of 8 cows (4 from each group)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for serum P4 concentration. Cows were detected for estrus according to standing heat by visual observation. Cows that were detected still in estrus after days 18-24 were re-inseminated and recorded as not pregnant (open). Pregnancy diagnosis was conducted by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nd transrectal palpation of the uterus on approximately 60 days in cows that observed to be not in estrus. The conception rate in hCG treated and control groups were 52.5 and 36.1%, respectively. The results prov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ption rate between two groups (p=0.0568). However, pregnancy rates were reduced by hCG treatment. Average serum P4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between Hcg-treated and control groups on day 5 (0.377 versus 0.375 ng/ml). On day 20 serum P4 concentrations were greater in the 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085 versus 2.010 ng/ml). The treatment with hCG seemed to increase P4 level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500 IU of hCG administered on 5 day post AI increased conception rate in dairy cows. This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on serum P4 concentration which was greater in hCG treated group.
Enterococcus faecalis is a major causative agent of endodontic treatment fail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actericidal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Garcinia mangostana L. (mangosteen extract) on five strains of E. faecalis that were isolated from human oral cavities. The bactericidal effects of mangosteen extract were assessed by measurement of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value. The cytotoxicity of mangosteen extract on immortaliz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hTERT-hNOF, was determined based on cell counting method. The data revealed the MBC value of mangosteen extract against the E. faecalis strains was 4 ㎍/ml. Additionally, the cell viability of mangosteen extract on hTERT-hNOF was 83.7-89.1% at the 1 to 16 ㎍/ml.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mangosteen extract could be used as a root canal cleaner during management of endodontic treatment failure caused by E. faecalis.
최근 노인인권 문제에 대하여 세계 각국은 전례 없이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존엄한 인간으로 인간다운 노후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모든 권리로 넓어지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인권인식실태를 살펴보고 복지현장의 실천적 인권향상 방안과 정책적 대안 제시하는 의미에서 노인이 행복한 인천광역시 노인인권증진의 실천 방향성을 함께 모색하는데 있다. 노인복지 실천에서 인권관점을 기반으로 한 급여나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노인인권보호 를 위한 법률이 제정되고 정비되어야 한다. 인천광역시 인권조례의 신설이나 노인인권 조례의 제정(96.8%)이 절실히 요구된다. 세계적으로 인권영역은 복지 영역보다 한발 앞서 나아가고 있지만, 복지영역은 아직도 급변하는 시대적, 세계적 변화에 민감하게 다가서지 못하고 있다.
Ultraviolet B (UVB) exposure is a risk factor for skin damage resulting in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cell dea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PG) to improve its biological activities using a three-step steaming process.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PG and steamed PG extracts o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against UVB radiatio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as well as the underlying mechanisms.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PG extract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2,2-diphenyl-1- 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scavenging activity. ABTS and DPPH were shown by the 0, 30, and 70% ethanol extracts of 2S-PG and 3S-PG (IC50, 28~45 and 27~30 μg/mL, respectively). Treatment of UVB-irradiated cells with steamed PG (25~400 μg/mL) did not affect their viability. The streamed PG extract suppressed UVB-induc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addition, streamed PG extract reduced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expression in UVB-irradiated HDF, regulating nuclear factor (NF)-κB ex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eamed PG extract may be potentially effective against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UVB-induced oxidation stress.
해양사고에 관한 많은 연구와 분석에 따르면 약 80%가 인적 오류에 의하여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해양사고의 예방대책 수립을 수립하기 위하여 사고를 일으킨 배후 인적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m-SHEL 모델을 이용하여 해상교통 관련 사고의 배후 인적 요인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m-SHEL 모델은 일반적인 인적 요인의 개념을 기반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선박운항시스템에 수용하기 위하여 이 모델을 확장하여 인적 요인 을 정의하였다. 또한, 이 확장된 모델의 타당성을 SPSSWIN의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 확장된 m-SHEL 모델의 분류표 사용하여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서에서 추출한 자료로부터 해상교통 관련 사고의 배후 인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해상교통 관련 사고의 배후 인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조선자 자신에 관한 요인 L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L-E, L-m, L-H, L-S 및 L-L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해상교통 관련 사고의 예방 및 해상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유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인적 요인에 의한 해상교통 관련 사고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참죽나무 잎 추출물이 에탄올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하며, 항산화 효소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참죽나무 잎에는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퀘르세틴 배당체인 qercetin 3-O-rhamnoside(quercitrin)는 건조중량 100 g당 1,456.0±12.5 mg으로 총 플라보놀 함량(1,874.5±15.5 mg)의 77.7%를 차지하여 참죽나무잎의 주요 플라보놀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참죽 나무 잎 추출물은 알코올에 의한 간 세포의 손상을 보호하고,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켰으며, 이는 참죽나무 잎의 주요 플라보노이드인 퀘르세틴과 비교했을 때도 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참죽나무 잎은 알코올에 의해 손상된 간을 보호하는 식품으로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보의 대변형 및 비틀림 변형을 고려한 인간동력항공기 주익 main spar 질량 최적화 과정을 소개한다. 순차적 이차 프로그래밍 기법(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을 최적화 기법으로 선정해 구조 최적설계에 적절한 최적화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Main spar 내부 직경, 적층 두께 등을 설계변수로 설정하였다. 목적함수에는 질량 최소화, 굽힘 변형 변위 일정, 그리고 비틀림 변형 각도 일정 등의 요소를 포함하였다. 굽힘과 비틀림 변형 계산엔 대변형 해석에 적합한 기하학적 정밀 보 모델을 도입하였으며, 기하학적 정밀 보 모델에 필요한 단면 물성은 Variational Asymptotic Beam Sectional Analysis(VABS) 단면 해석프로그램를 통해 계산하였다. 그 결과 main spar의 굽힘 변형 및 비틀림 변형을 최대 1.45% 이내로 유지한 채로 7.88%의 질량 감소를 이루는 최적설계를 도출하였다, 이후 응력복원 및 변형률 복원을 통해 최적설계의 구조적 안정성과 최적화 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