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동화생산 및 장치산업에서 로봇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로봇 오퍼레이터, 프로그래머, 공무요원 등 간의 커뮤니케이션 부족으로 휴먼에러가 발생하여 사람의 안전재해사고 뿐 아니라 로봇시스템 가동율에서도 나뱉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유컴포넌트 마코프모형을 기초로 휴먼에러를 고려한 마코프모형을 제안한다.
한·미 문화간 비교를 통하여 직물의 소리와 촉감이 주관적 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국인과 미국인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의미분별척도에 의하여 서로 다른 8개 직물 소리의 주관적 감각(부드러움, 시끄러움, 유쾌함, 날카로움, 맑음, 거친, 높음)과 촉감의 주관적 감각 (딱딱함, 매끄러움, 성김, 시원함, 유연함, 까실거림, 무게, 두께)을 측정하였다. 직물 소리의 파라미터로 LPT(level pressure of total sound)와 Δf (frequency differences)를 계산하고, KES (Kawabata Evalu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직물의 역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직물의 소리에 대하여 ‘부드러움’의 점수가 높고 ‘시끄러움’과 ‘날카로움’, ‘거침’의 점수가 낮은 직물들이 주관적으로 유쾌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물에 따른 소리의 시끄러움과 날카로움, 높음에 대한 주관적 감각은 한·미 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한국인은 미국인보다 모직물의 소리에 대하여 ‘부드러움’과 ‘유쾌함’의 점수가 높고, ‘거침’의 점수가 낮았으며, ‘맑음’에 대한 직물별 점수가 다양하였다. 직물의 촉감은 직물에 따른 차이가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딱딱함’과 ‘매끄러움’의 직물 별 감각은 한 ·미 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한국인은 대체로 미국인보다 ‘성금’과 ‘까실거림’을 낮게, ‘시원함’을 높게 평가하였다. 직물 소리의 파라미터인 LPT와 ΔL이 양국인의 소리 감각에 영향을 미쳤는데, 한국인의 감각은 주로 LPT가, 미국인의 감각은 LPT와 ΔL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회귀식이 성립하였다. 촉감에서 ‘딱딱함’과 ‘매끄러움’, ‘유연함’, ‘까실거림’에 한·미 모두 표면 거칠기가 영향을 미쳤는데, 한국인의 촉감에 대한 회귀식이 더 많이 성립하였고 R2가 높게 나타났다.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morphological normality and development competence in vitro of hyman oocytes following vitrificatioin using ethylene glycol and electron microscopic grid. Human immature oocytes retrieved from natural and stimulated cycles was vitrified at 0 or 48 h and 0, 8 to 15 or 24 to 28 h after maturation culture, respectively. In oocytes retrieved from unstimulated cycle, no signifci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orphological normality (56 to 63%) and fertilization (31 to 37%) rates between the times of vitrification. In stimulated patients, however, more oocytes were morphologically normal when vitrified at 24 to 28 h than when vitrified at 0 or 8 to 15 h after maturation culture. Regardlesss of the hormonal stimulation, high cleavage rates(83 to 100%) were obtained in all treatment groups bu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wenty to 43% of cleaved oocytes developed to the blastocyst stage at 6 days after IVF.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trified oocytes from unstimulated and stimulated cycles could develop to the blastocyst stage, regardless of the stages of vitrification.
The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s (FMOs) (EC 1.14.13.8) are NADPH-dependent flavoenzymes that catalyze oxidation of soft nucleophilic heteroatom centers in a range of structurally diverse compounds including foods, drugs, pesticides, and other xenobiotics. In humans, FMO1 appears to be the predominant form expressed in human fetal liver. cDNA-expressed human FMO and human liver microsomal FMO have been observed to N- and S-oxygenate nucleophilic nitrogen- and sulfur-containing drugs and chemicals,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FMOl can be expressed in the 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 at level of 2.68 nmol FMO1/㎎ of membrane protein. This isoform was examined for its capacity to metabolize methimazole to its S-oxide using thiocholine assay. Kinetic studies of its S-oxide by recombinant human FMO1 result in K_m of 7.66 μM and V_(max) of 17.79 nmol/min/㎎ prote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trification solution and developmental stage on the survival rate of vitrified-thawed human blastocyst embryos. Human blastocyst embryos were cryopreserved by vitrification using EFS and GE solution, and their survival rates were examined after thawing and further culture. EFS solution was consisted of 40% ethylene glycol, 18% Ficoll 70 and 0.3M sucrose. GE solution was consisted of 25% glycerol and 25% ethylene glycol. Embryos were exposed to EFS and GE solution by 2 steps and 3 steps, respectively, and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after loading into 0.25ml plastic straws. Blastocys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ir developmental stage: into 1) EEB, 2) MEB and 3) EdB, of blastocysts developed on day 5, and 4) 6d-Bla(the blastocysts which formed on day 6). The blastocysts at each stage were vitrified by GE solution and cryopreserved in LN2. After thawing them, we examined their survival rates, respectively. The resulted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urvival rate of blastocysts vitrified by GE solution was 64.4%,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5.7%) vitrified by EFS solution (P<0.001). 2. When the blastocysts were vitrified by GE solution according to each developmental stage, the survival rates of EEB, MEB, EdB and 6d-Bla were 65.9%, 65.9%, 73.2% and 58.1%,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cryopreservation of human blastocysts by vitrification is likely to have a marked advantage in terms of cost, work and tim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low freezing in IVF-ET programs.
4 악 상피세포는 계속해서 탈락하고 세포고사 (Apoptosis) 가 이 과정에 중요한 역 할윤 한다. 본 연구는 콘택프렌즈 착용으로 인한 각막의 부작용에 관여하는 Cytokine 증 어느 Cytokine 이 각막 상피세포의 세포고사를 유도하는지 조사하고자 시행하였다. 각딱 상피세포를 배양하여 4 종류의 인터루킨 OL-1a, IL-1,8, IL-6, IL-H) 과 인터 폐한 감마(l FNr) 그러고 종양괴사 인자 (TNFa‘ TNF,8)를 10 nM, 100 nM, 1μM 농도 포 2. 1, 7 일 동 안 처 리 하였 다. Hoechst :13342 형 광염 색 . Annexin V - FITC/Propi - dium Iodide( Pl) 염 색. TUNEL assay 그퍼 고 DNA Laddering을 시 행 하였 다. IL -la, IL .- 1,8. IL - G. IL - 8는 세 끊파사가 거 의 유도뇌 지 않았고 TNFa, TNF,8는 고농도에 서 약간의 세포고사룹 유도하였으며 IFNr에서는 10nM 에 4 일 동안 노출시 세포고사 가 유도되기 시작하였으며 농도와 노출기간에 비례하여 세포고사 빈도가 높아졌다. IFN -r는 콘택프렌즈로 인한 외상. 감염. 염증이 있을 때 방출되는데 각막상피 세포 고사와 각막병리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각막상피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중 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감성과학은 인간의 감성을 정성하고, 더 정량적으로 측정 평가하고 이를 제품이나 환경설계에 응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락하며, 안전하게 나아가 인간의 삶을 쾌적하게 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 체질론, 오행 체질론, 바이오리듬의 감성적 요소를 감성과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각 기질이나 상태별로 반응시간 측정기로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반응시간의 차이를 분산분석(ANOVA)을 이용 비교ㆍ분석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직무설계에 이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