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focuses on determining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compatibility and work results of employees of Ho Chi Minh Stock Exchange (HOSE) listed companies. The paper includes five parts: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350 listed companies in HOSE, in which 315 survey notes filled with sufficient information are used for analysis. The paper employs both qualitative method and quantitative method. Group discussion of 10 experts is for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method performs analysis of Statistics, Cronbach’s Alpha, EFA analysis, CFA analysis and SEM mode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learly indicate that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activities are measured through improving the ability, improving the motivation and improving the opportunity. While compatibility is measured through suitability, connection and sacrifice; whereby HRM activities of ability improv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uitability and connection; HRM activities of motivation improv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uitability, connection and sacrifice; and HRM activities of opportunity improv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uitability, sacrifice and connection; Finally, the job suitability, sacrifice and connection positively affect the work results of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effect of human capital supply chain on the firm performance mediated by innovation culture and innovation process on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enterprises (SMEs) in Indonesia. A survey has been distributed to all construction SMEs that have direct involvement in construction work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The construction SMEs including medium- and small-scale construction services in three Provinces, namely, the special region of Yogyakarta, East Java, and Central Java. Through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primary data is collected by giving a questionnaire to the owner/manager of construction SMEs. The target sample in this study was 200 respondents who have been operating for a minimum of two years. 154 valid questionnaires could be processed. Data analysis u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4.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lude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human capital supply chain on firm performance mediated by innovation culture and innovation process, while innovation culture does not affect firm performance. In sum, the innovation cultur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capital supply chain and firm performance, and the innovation proc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capital supply chain and firm performance.
As we become an aging society,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continues to increase. Pressure sores that can easily occur in patients with trauma cause serious socio-economic problems. In general, prevention of bedsores through predicting the patient's posture is being developed. Developed method usually us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to estimate the patient’s posture by measured pressure images in the mattress. In this method, it has a problem the reduction of estimation accuracy when posture of patient is chan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filter of pressure images in the position transition of pat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o predict the patient's posture, and an algorithm to reduce the ambiguity that can occur in the patient's posture transition section. By obtaining stable data through this algorithm, learning/prediction stability of the neural network can be expected, and predi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accordingly. Through experim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was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which are relatively insufficiently researched,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focusing on the individual influences of workers’ attitudes on systems and policies as well as jobs and organizations. This study reviews previous research and discussions o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the organization and job-related attitudes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workers, for the formulation of two hypotheses. Among the HCCP data,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reliabi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The results show, firstly, that human resource systems and systems have the same effec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mpact. Secondly, job satisfac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financial performance. Lastly, all worker/employee attitude determina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RM, previously relatively overlooked,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demonstrating the direc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impact of individual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and policies.
Internationalization of SMEs has gathered pace in recent times with falling trade barriers and rising world trade encouraging small firms to seek profits and growth in foreign markets. Thi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and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Western nation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 of SME internationalization. However, hardly any study has been done on SME internationalization in the Gulf Cooperative Council (GCC) region, thus leaving a gap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four factors, namely, human capital, network competency,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rket volatility on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of SMEs in Oman. The study employs survey data collected from 150 SME owners and manager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having 27 items, and has been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is binary in nature. The results reveal the impact of the chosen variables on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of SM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network competency has the highest impact on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of Omani SMEs, followed by human capital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hile market volatility, though insignifica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of Omani SMEs.
본 연구에서는 부처꽃 에탄올 추출물(ELM)에 대한 항암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백혈병 U937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연관된 apoptosis 유발 여부와 함께 그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먼저 ELM 처리에 따른 증식 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ELM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 및 증식억제 현상이 나타났으며, 핵의 형태 변화, DNA 단편화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역시 ELM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LM 처리에 따른 U937 세포에서의 apoptosis 유발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막의 기능 손상이 관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의 변화 정도를 확인 한 결과, ELM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MMP의 소실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MMP의 소실에 가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멸수용체(DR4, 5, Fas) 및 사멸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FasL, TRAIL)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DR4 및 DR5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내인적 경로에 관여하는 Bcl-2 family 유전자들의 발현변화를 확인 한 결과, Bcl-2 발현 감소 및 Bax의 발현 증가의 변화를 보였으며, Bid 단백질의 발현감소가 나타났으므로 상대적으로 tBid의 생성이 증가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한편 apoptosis 유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3, -8 및 -9의 발 현에 미치는 ELM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ELM은 death receptor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8 및 세포질로 방출된 cytochrome c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9의 활성화를 유발하였으며, caspase cascade에 의하여 apoptosis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caspase-3의 발현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성화된 caspase-3에 의하여 분해가 일어나는 기질 단백질인 PARP의 경우 ELM 처리에 의하여 모두 단편화가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체 백혈병 U937 세포에 ELM을 처리하였을 경우에 유발되는 apoptosis는 외인적 경로인 DR4 및 DR5의 발현 증가를 통한 caspase-8의 활성화와 이로 인한 Bid 단백질의 단편화와 함께 내인적 경로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실에 의하여 caspase-9 및 -3의 활성화 유발과 기질단백질들의 분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IAP family의 발현 감소로 인하여 caspase의 활성이 억제되지 못하는 것도 apoptosis 유도에 어느 정도 관여했을 것으로 생각 된다. 따라서 ELM 처리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는 외인적 경로 및 내인적 경로를 모두 경유하는 multiple apoptotic pathway에 의하여 조절되며, 이때 caspase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댕댕이나무 잎과 가지 추추출물은 대장암 세포주 HCT116과 SW480세포의 생육을 억제 하였으나 열매추출물은 억제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잎과 가지 추출물은 cell migration과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비정상적인 세포증식 억제를 확인하였으며, β-catenin과 TCF4 의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켜 비정상적인 Wnt 신호전달을 억제를 통해 대장암세포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댕댕이나무 잎과 가지는 항암을 위한 대체보완소재 및 천연 항암제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생들은 편안한 집에서 여러 사람이 생활하는 기숙사로 이사를 하며, 개인의 생활 방식, 행동 습관 및 그들의 심리는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또한 기숙사 가구 사용은 학생 숙박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하이난의 H 대학의 기숙사 가구를 대학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숙소의 필수 요소와 라이프 스타일 및 행동 상태를 인간 중심의 관점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이에 이론적 연구 및 설계 실습을 통해 이 현재 가구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기숙사 가구의 현재 상태, 기능 요구 사항 및 결함에 따라 H 대학의 기숙사 가구 디자인 요소, 디자인 원칙 및 디자인 계획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숙사 가구는 그 구조와 기숙사를 이용하는 학생 및 게스트의 라이프 스타일과 행동 유형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으며, 조사 및 분석을 중심으로 한 가구의 디자인이 필수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안한 가구 디자인을 통한 결과물이 사용자의 니즈에 충분히 충족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를 이끌어갈 주역인 초등학생들이 다문화 인권 인식을 함양할 필 요성과 함께 어린이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다문화 인권교육 요소를 충실히 포함하고 있는 최근 개봉 영화 ‘가버나움’ 에 주목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또래의 상황을 통한 감정이입과 교육적 효과가 기대되는 ‘가버나움’ 영화 를 활용한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생에게 적합한 ‘소수자 보호’, ‘차이의 존중’, ‘행복 추구’라는 세 가지 다문화 인권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버나움’ 영화 중 위 요소에 적합한 2~3분 정도의 5개 장면을 선정하였고, 이를 활용한 총 5개 주제의 10차시 교수학습과정 안을 개 발하였다. 위와 같이 설계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소재 H 초등학교 2학년 한 학급 28명을 대 상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에 주 1회 2차시로 총 10차시 수업을 시행하였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 관찰과 학습결과물 및 소감 발표 등을 통해 정성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개발 된 프로그램은,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가버나움 영화 속 등장인물이 되어 일기 써보기 활동, 성차별을 인지하고 차별받는 등장인물이 되어 양성평등을 다짐할 수 있도록 역할극 수행, 난민 문제를 알아보고 도와주는 방법 생각하기, 인종차별 문제의 심각성을 깨 닫고 이와 관련된 표어 짓기 및 캠페인 활동, 다문화가족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도와주는 방법 토의의 총 5개 주제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소수자 보호, 차이의 존중, 행복 추구라는 세 가지 다문화 인권요소 측면에서 학생들의 소감 발표 및 활 동 결과물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버나움’이라는 한 종류의 영화로 수업을 적용하니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상 주인공에게 더욱 몰입하게 되어 다문화 사회에서 고통받는 인물들에 대해 진심으로 공감하고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이 관 찰되어 다문화 인권 인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가버나 움’ 영화는 학생들의 인지발달단계의 수준에 맞도록 활동을 개발한다면 초등학교뿐만 아니 라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 현실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소재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define the career competency of HRD practitioners based on an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This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been achieved by the accumulation of career capital through the three ways of knowing, including knowing why, knowing how, and knowing with who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ith 15 HRD practitioner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HRD practitioners. For the orientation about the interview,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importance of gathering data about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respondents on their work and career. After that explanation, the researcher asked several questions based on the pre-structured interview guide. The data collected were qualitatively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the subcategories of each way of knowing competency were identified. For the knowing why, identity, credibility, and career clarity were identified. The subcategories of knowing how are remaining updates, hard skills, and soft skills, while the subcategories of knowing with whom are personal networking and professional networking. The interdependency among the three career competencies was found. Th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applying an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이 연구는 초연결 환경 인공지능시대에 예술이 더 이상 고정된 개념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장르별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변모하는 미래사회 환경에 따른 예술인재양성교육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한국의 예술인재양성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초․중등 교육이 대학 입시위주의 경쟁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진로 맞춤형 교육으로서 변화하는 사회경제구조에 부응하는 인재양성 운영의 개선점을 탐색한다. 결론적으로 미래지향적 예술인재 양성교육이 누구를(WHO: 어떤 예술인재)위해, 어디에서(WHERE: 어떤 교육 환경), 무엇을(WHAT: 어떤 교육과정) 위한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방안을 첫째, 인공 지능 시대가 요구하는 예술인재 선발 기준 마련; 둘째, 지역사회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스마트 교육 환경 시스템 구축; 셋째, 융합형 예술인재양성을 위한 예술통합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함으로 제안하였다. 이 소고는 현재 운영되는 예술영재교육과 예술전문교육의 교육과정과 시설개선 및, 정책적인 지원 시스템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세우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술인재양성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교육실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 상황에서 요구되는 예술인재상에 대한 연구가 획일화된 합목적적인 측면이 아닌 개별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적인(HOW: 정책과 전략) 측면에서의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structural Person-Organization Fi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employee performance. This study is based on a quantitative approach by collecting data using a survey conducted on three SOE’s companies in Indonesia that operate in Makassar City, namely Pelindo. Ltd (Port Company), PLN. Ltd (Electric Company) and Pertamina. Ltd (Oil and Gas Company), with a sample of 90 employees. The study population was all non-managerial permanent employees. Data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ructural relations, out of the nine direct tests, there were two insignificant relationships, and in all three hypotheses there was one not-supported hypothesis. When compared between person-organization Fit and Organizational Justice, it is foun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more critical role in building Human Resource performance compared to Person-Organization Fit, because organizational justice is better able to provide job satisfaction and mak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as a prerequisite for its formation to better Human Resources performance. With organizational justice, employees will feel more satisfied working, committed to the work and organization, and behaves as a supportive organizational citizen for the realization of the best performance for the interests of the organization going forward.
Particulate matter with an aerodynamic diameter of less than 2.5 μM (PM2.5) is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pollutants.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an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in PM2.5, has been utilized for the manufacturing of polyvinyl chloride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final product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cotoxicological effect of DEHP on the viability of skin keratinocytes (HaCaT). DEHP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mediated by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through the produc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terestingly, we found that DEHP induces the phosphorylation of the nuclear factor-kappa B responsible for the expression of cleaved caspase-3 as an executional cell death protease in HaCaT cell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DEHP in PM2.5 induces the apoptotic death of human keratinocytes via ROS-mediated signaling events.
Substantial growth in the economy and extensive use of natural resources has become a major issue in the modern world. Organizations have started to worry about the environment and are beginning to invest in and practice green strategies. Companie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environment and use sustainable methods to run their business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ual approach to Gr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GHRM) practices and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CER)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GHRM practices such as green recruitment, green selection, green training and development, green performance appraisal, green reward and compensation, and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ave been comprehensively studied for this purpose. Gr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hospitality sector is a less studied and rarely implemented phenomenon. The integration of GHRM and CER along with green competitive advantage and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n hospitality is new concept in hospitality industry. Study suggests that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CER) and Gr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GHRM) have a significant role in the hospitality industry. Howeve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tourism and hospitality, this concept should be capitalized with necessary research and development.
전산화단층검사는 많은 방사선을 받을 수 있으며, 한 명의 환자에서 반복적으로 시행되는 경우가 위험도 는 매우 높다. 어린이의 경우에 방사선에 의한 암 발생률이 더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3D 프린트는 여러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 연구되고 있으며, 여러 응용 분야중 방사선 차폐체 제작 및 재료에 대한 연구가 최근 진행되고 있다. 3D 프린터의 목적은 기존의 판넬 형태의 차폐체를 대체하고 인체의 형태를 따라 맞춤형 제작을 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기 때문에 3D 프린터에 입력할 3차원정보처리에 대한 연구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테레오 비전의 깊이지도(depth map) 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안구차폐체 제작의 전단계인 인체표면의 3차원 데이터를 계산하고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알려진 3차원 정보처리의 방법들에 비해서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제안된 결과 안면부 3차원 정보추출을 위한 최소한의 정보가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광을 적용한 스테레오영상의 장점과 한계점을 제공하였고 향후 안구 차폐체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최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상운송시스템을 위한 해결책으로 자율운항선박의 개발 및 운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운항기술은 해양사고 방지, 선박의 연비 증진, 비용 절감 등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선원의 일자리 감소, 업무의 변화, 보안문제 등 부정적인 측면도 상존하고 있다. 향후 자율운항선박의 시대가 도래 하더라도 육상 센터에서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육상 운항사의 상황 인식과 같이 새로운 인적요인 이슈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개발 및 운용과정에 고려해야 할 주요 인적요인 이슈를 고찰하고, 육상 센터의 제어에 따라 예상되는 육상 운항사의 의사결정 및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식별과 영향 요소의 평가를 위한 인적 신뢰성 분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kinematic modeling of the human forearm rotation constructed with a spatial four-bar linkage. Especially, a circumduction of the distal ulna is modeled for a minimal displacement of the position of the hand during the forearm rotation from the supination to the pronation. To establish its model, four joint types of the four-bar linkage are, firstly, assigned with the reasonable grounds, and then the spatial linkage having the URUU (Universal-Revolute-Universal-Universal) joint type is proposed. Kinematic analysis is conducted to show the behavior of the distal radio-ulna as well as to evaluate the angular displacements of all the joints. From the simulation result, it is, finally, revealed that the URUU spatial linkage can be substituted for the URUR (Universal-Revolute-Universal-Revolute) spatial linkage by a kinematic constra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