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es of fish such as striped beakperch, bluefin searobin and konoshiro gizzard shad are commercially very important due to their high demand in the Korean market. When estimating acoustically the abundance of stocks for these species, it is of crucial importance to know the target strength (TS) to the length dependence. In relation to these needs, the T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ree different species in an acrylic salt water tank using two split-beam echo sounders of 70 and 120 kHz. The TS for these three species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was simultaneously measured with the swimming movement by a DVR system and analyzed as a function of fish length (L) and frequency (or wavelength λ). The equation of the form TS=a log (L)+b log (λ)+c was derived for their TS-length dependence. The best fit regression of TS on fork length for striped beakperch was estimated as TS=35.67 log (L, m) -15.67 log (λ, m) -46.69 (r2=0.78). Furthermore, the best fit regression of TS on fork length for konoshiro gizzard shad was shown to be TS=25.85 log (L, m) -5.85 log (λ, m) -32.22 (r2=0.51). The averaged TS for 12 bluefin searobins with a mean length of 24.36cm at 70 kHz was analyzed to be -41.55dB. In addition, the averaged tilt angle obtained simultaneously by a DVR system with TS measurements for 27 konoshiro gizzard shads swimming within an acrylic salt water tank was estimated at -2.7˚.
This paper discusses perfectionist writers W. B. Yeats and James Joyce. To compare how they worked slowly and creatively toward completing a work, I take two works by Yeats and Joyce, two of their best works. Yeats tends to work on his poems and plays continuously, even after they have been published. This paper looks at the rewriting of “Leda and the Swan” in several different stages, in order to see how the poem gather intensity and art, as an exemplification of what he did as a literary artist. Yeats’s attitude toward art and his literary style can be compared to the traits of art, and his literary style can be compared to that of the young artist depicted in A Portrait. In fact the young artist Stephen can be seen as Joyce the artist, and the paper discusses Stephen who grows linguistically and artistically competent. Yeats and Joyce are not merely Romantic writers; they were determined to develop new art and bring it to the highest perfection. And indeed they have achieved it in their works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oyal costume design with contemporary taste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hero, Lee San, and time flow of TV historical drama〈Lee San〉and research design discrimination and creative expression. As study methods, the literature study using books and theses concerning costume, fine art, culture and history were used for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mpirical study method manufacturing actual costume on the basis of literature and relic were used for dress manufacture. The design concept of costume was modern & chic & clean. The costume was designed through straight silhouette, clean & bright colors excluding prime colors, style transformed to permanent straight pleats on the basis of chulik, 100% silk material focusing on high quality and pattern & decoration of the age of Three Kingdoms. As results, the designs of princess' official rob, day dress and chulik, and emperor's official robe, chulik, military dress and chun-dam-bok were developed. The design discrimination depending on social status change. In the period of princess, black, white, silver and blue were used but in the period of emperor, red, gold and black were used. It was expressed through dragon pattern and extended length used in cloth. The design discrimination depending on character change was visualized through color. Although it is not consistent with historical investigatio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elements were added to royal costume through color contrast of black & white, permanent straight pleats, velcore, wristlet, extended length and layered-look.
중동지역은 PET 합섬직물이 이들의 평상복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여성복은 차도르(Chador) 그리고 남성복은 토베(Thobe)라고 불려진다. 그리고 이들 PET 직물은 미세한 촉감특성에 따라서 수출가격의 큰 차이를 가져오며 원사의 특성과 제조공정 특성에 의해 미세한 감성촉감의 차이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가에 팔리고 있는 일본 데이진 제품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동 남성복 Thobe 제품의 감성특성을 분석하고 미세한 감성촉감의 원인을 규명하여 원사 및 최적 생산공정조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데이진 직물 4가지를 목표품질시료로서 준비하였고, 개발을 위한 시생산제품으로 5가지 직물을 시생산하였다. 실의 굵기, 꼬임수 그리고 실의 세팅조건 및 직물의 밀도 등을 바꾸어 연축과 직축 그리고 가공축 등의 설계조건을 바꾸어 주었다. 본 연구수행의 결과 데이진 Thobe 제품의 감성특성을 원사 및 직물에서 분석하고 이들 감성특성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사가공(絲加工)기술과 3차원 직물설계 시뮬레이션 기술을 바탕으로 감성 토베 직물의 설계기술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남여를 중심으로 수도권 백화점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고, 쇼핑행태에 영향을 주는 고객동선으로 에스컬레이터 이용방법 및 선호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내 동선을 유도하는 수직 동선의 디자인은 백화점 매출이나 운영 방식 등에 활용되며 많은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대 남성고객의 경우 백화점을 이용하는 이유는 집과 가깝기 때문이며, 교통편은 버스를 이용하고 가장 많이 구매하는 매장은 남성의류이며, 백화점을 쇼핑하는 행태는 주로 쇼핑할 매장이 있는 층을 바로 찾아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쇼핑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에스컬레이터를 주로 이용하며, 현재 주로 사용하는 반대방향 에스컬레이터지만 여기에 불편함을 느끼고 양쪽방향의 에스컬레이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고객의 경우 이용하는 이유는 집과 가깝다와 쇼핑하기가 편한 것이며, 교통편은 지하철을 이용을 하며 여성의류매장이 주소비매장이다. 여성의 쇼핑행태는 쇼핑을 즐기는 이유로 인해 1층부터 차례대로 한 층씩 둘러보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자주 이용하는 에스컬레이터는 현재 상태인 한쪽방향에스컬레이터를 이용했으나. 남성과 마찬가지로 그에 불편함을 느껴 양쪽방향의 에스컬레이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과 여성의 소비행태는 남성의 경우 주된 타겟형 소비이며 여성의 경우 주된 목표가 있더라도 일단 전반적인 매장 디스플레이를 돌아보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쇼핑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지만 양방향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욱 대형화되고 이벤트화 되는 백화점 실내공간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입체적 디자인 개념과 프로그램의 적용 그리고 휴식공간 및 문화공간에 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explores Yeats's “A Man Young and Old”. This series poems described conflict between a man and a woman. According to Yeats's theory of the art, people are in a perpetual conflict of opposites. Opposition determines the cycle pattern of life and ensures recursive waves of love and hate as men and women struggle toward personal collective Unity of Being. Such conflict evokes differences between person and daimon, and also between men and women. These parallel conditions suggest an analogy: man relates to his daimon as to a woman. Later, Yeats conceives the daimon not only as a woman bur as a gendered being in her own right. Gender provides a crucial key to Yeats's art, because gender is imprinted upon all temporal and spiritual reality. It is employed not only as a subject in his poetry, but as the means of fleshing out his philosophy and clothing his personal experience in a universal and comprehensible metaphor. Gender determines the way Yeats's views reality. In “A Man Young and Old”, Yeats describes a type of personality that is consummately objective-primary-solar-masculine according to his vision of archetypal phases. Although that personality is consistent throughout the sequence, there are stages of experience and insight that shift from youth through maturity to old age, as the title signifies. This personality attempts to make sense of his life through the gendered relationships that are at once the source of his lost innocence and the anchors of experience from which he gleans hard-earned insight. If there is one word that characterizes the man's perspective, it is adversarial.
The purpose of a man-machine chart is improved utilization of a man or a machine. Improved utilization can mean less idle time, rebalanced idle time, or less idle time of an excessive component. In this study we improved the productivity of the assembly line in the electronics company using man-machine chart. The results are applicable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line balancing problem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The purpose of a man-machine chart is improved utilization of a man or a machine. Improved utilization can mean less idle time, rebalanced idle time, or less idle time of an excessive component. In this study we improved the productivity of the assembly line in the electronics company using man-machine chart. The results are applicable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line balancing problem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Task description is essential in performing task analysis which is required for designing man-machine systems. Currently, there are many methods to support the task description which is very complex and time-consuming. However, these methods contain some problems such as being hard to understand and a lack of description. This research deals with an object-oriented task description(OOTD) method trying to solve these problems effectively. The OOTD method includes an object-oriented task structure diagram and an object-oriented task attribute diagram. The former shows some relationship between a task and a derived task. The latter includes important attributes to define each task.
This research deals with an object-oriented task description(OOTD) method to solve problems such as being hard to understand and a lack of description in existing task description methods. The OOTD method includes an object-oriented task structure diagram
兪晚柱(1755-1788)는 널리 알려진 인물이 아니다. 다만 18세기 당시 文名을 떨쳤던 著庵 兪漢雋(1732-1811)의 아들이라는 점이 우리가 그를 기억하는 단서일 뿐이다. 그러나 그는 『欽英』이라는 일기를 남겨서 최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홈영』은 유만주가 21세 때부터 33세 때까지 13년 동안 기록한 日記이다. 그러나 단순한 생활일기의 차원을 넘어선 ‘독서일기’이다. 유만주는 우리나라 문장은 물론 중국 문인의 서적을 두루 읽은 듯한데, 특히 小說이나 雜記에 대해서는 그 읽은 양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기록 또한 다채롭다. 본고에서는 ‘유만주가 소설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졌으며, 중국 소설은 어떻게 받아들였고, 우리의 국문소설에 대해서는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논문에서 제시한 견해 중 유만주의 소설에 대한 입장, 즉 흥미위주의 오락적 측면을 강조했다는 견해와 유만주의 국문소설에 대한 입장이 모순적이라는 견해에 대해 이견이 있어, 이에 대해 살피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밝혀 둔다. 유만주는 소설에 대해 대단히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현실반영적 성격과 소설이 현실 생활과 접촉하는 측면이 어느 장르보다 넓다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재미위주의 오락성 때문이 아니라 책읽기의 법도를 만들어 보다 전문적인 책읽기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단순한 소설의 독자이기보다는 그 이상의 비평적 안목으로 소설을 대하는 입장에 있었다고 하겠다. 비평가적 입장에서 유만주의 소설 비평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자신의 느낌을 진솔하게 기술하는 방법, 둘째는 감명 깊은 대목을 그대로 기록해 두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가 소설을 평가할 때 특히 내용적 면과 문체적 면에 중점을 두었다. 즉 인정물태를 극진히 표현한다는 소설의 현실반영적 성격을 중시하였고, 소설 문체가 자세하고 생동감 있으며, 인생의 곡절을 극진히 표현하는 점에서 크게 긍정하고 있다. 특히 국문소설에 관한 인식은 일변 모순적일 면도 없지 않지만 이는 중국 소설과의 수준의 차이를 인식한 데서 오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한편으로는 우리의 것을 인정하면서 볼만한 것은 보아야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은 모조리 불태워 없애야 한다고까지 말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유만주의 소설을 대하는 입장이나, 국문소설에 대한 모순적이라는 치우친 평가는 그가 소설을 단순한 독자 이상의 비평가적 입장에서 다루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