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절기 도로 유지관리는 일반적으로 제설활동을 의미하며 제설활동에는 도구를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눈을 제거하는 방법과 융설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눈을 제거하는 방법 이 포함된다. 융설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눈을 제거 할 때, 융설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환경문제와 예산낭비가 생길 수 있고, 융설제를 적게 사용하면 그 성능을 충분히 낼 수 없으므로 얼마나 사용해야 하는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및 현장 실험을 통해 제설제의 성능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로 제설작업시 적정 융설제 살포량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paint, which has very close relationship to the of indoor air quality, was examined for the air pollution leveling test, and using the various passive sampler, the test was evaluated on the regard of TWA(Time Weighted Average).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air pollution levels differ between the regular paint that is used for public and the new developed environment friendly paint. The consecutiv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small chamber test to investigate the VOCs and formaldehyde, ammonia emissions and characteristics from paint which are commonly used as the complete material of building. In conclustion, the natural paint showed the highest emission of VOCs among the selected paints, and water pain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ammonia. Formaldehyde showed N.D(Not Detected) in most of tests and found a small amount in vinyl paint however, it was not as bad as to fail the certify level of building materials. It is recommended to constantly develop the chamber system and it will be very much possible to be used for the estim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from the various paints and other complete materials.
본 연구는 탱크로리용 디스크식 유회수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기존 유회수기 디스크와 기름의 흡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몇가지 재료의 디스크에 대한 유회수 차이를 실험을 통해 비교한 것이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디스크에서 경유보다는 벙커 A유의 회수량이 높았으며, 경유에서는 디스크 소재별 유회수량이 모든 디스크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반면, 벙커 A유에서는 디스크 소재에 따라 회수 성능이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디스크 구동 시간대별 회수량은 경유의 경우, 모든 디스크 소재에서 초기 시간대부터 단위 구동 시간당 기름의 회수량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벙커 A유는 모든 소재에서 구동 초기시간에서 회수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량이 완만한 경향을 보여 단위 구동 시간당 기름의 회수량이 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유류의 점도가 디스크 회수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벙커 A유를 대상으로 전체 회수량에서 순수 유회수량과 함수량을 비교했을 때 창문용 알미늄 소재의 디스크는 다른 재질의 디스크에 비해 기름의 회수량은 차이가 없으면서 상대적으로 물의 회수량은 매우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함수량을 고려한 유회수 효율을 고려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에서 목적하는 탱크로리 유회수기 디스크 소재로서 가장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mungbean production was studied. The general objective was to assess the ecological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in sustainable mungbean production.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
This paper outlines some concerns that must be addressed in writing primary school English curriculum and materials in the Korean context and makes suggestions to better the quality of materials made for the next time around. Literature review of current primary school English materials has shown that setting realistic and appropriate program goals based on needs analysis, early introduction of written skills, adoption of graded reading and writing materials, and more informative teacher's guides are needed. Suggestions are made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language materials, continuity, diversity of needs, class time modules, and teachers’ roles, as well as trainer and teacher training. These issues need to be tackled at the personal, local, and national levels in order to bring out a better outcome in primary school English education and to maintain continuity into the secondary school.
In this study, we designed color of tunable and high efficient organic materials using the quantum dynamics and the semi-empirical calculation, and applied this results to the fabrication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lso we optimized the molecular structure of phosphorescent materials and the energy transfer from a host to a dye which makes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improve. Using quantum dynamics method, the molecular structures of ligand only and the whole metal chelate were optimized, and these energy levels were calculated. From this test results, we could understand the emission mechanism of phosphors with various ligands as well as design the proper ligands reducing the T-T annihilation and the carrier lifetime. We also could design ligands with various colors using this test method.
대기환경 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가스상 성분들을 채취 및 이송시키고자 할 때, 다양한 종류의 튜빙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튜빙의 사용과 연계된 여러 가지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악취황 성분들을 이용한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45cm 길이로 6가지 재질의 튜빙을 선택하여, 각 튜빙별 손실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ppb 농도의 표준시료를 준비하고, 이를 튜빙에 통과시켜 준 후, 튜빙을 통과한 전후에 검출되는 농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손실율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비교의 목적상, 환원황 성분에 가장 우수한 회수율을 보이는 Silco Steel 튜빙을 통과한 결과를 기준 검량선으로 설정하고 여타 튜빙에 대한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Teflon 튜빙에서는 4가지 황화합물 모두 90% 이상의 높은 회수율을 보일 정도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이에 비해 스테인레스나 브래스 재질의 경우, 저분자 황성분에 해당하는 H2S, CH3SH에서 상당한 손실을 보였다. 반면 실리콘 튜빙의 경우, 고분자 성분에 해당하는 DMS, DMDS에서 큰 손실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황화합물의 종류나 튜빙의 재질에 따라 RSC의 손실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