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공호의 영양 단계에 따른 피라미 개체군 의 전장-체중 관계 및 비만도 지수 (K)의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해 2008년~2010년까지 부안호, 양양호, 진양호, 금 풍지, 예당지 및 마산지 등의 6개 인공호를 대상으로 실 시하였으며, 광범위한 분포 특성과 섭식 특성을 보이는 피라미(Zacco platypus)를 본 연구의 대상 어종으로 선정 하였다. 총인 (TP)과 엽록소-a (Chl-a)를 이용한 영양상태 지수(TSI) 분석 결과 양양호와 부안호는 빈영양(30~40), 진양호와 금풍지는 중영양 (40~50), 예당지와 마산지는 부영양 (50~70)상태로 나타났다. 6개 호수에서 총 47종 26,226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빈영양호 (양양호, 부 안호)에서는 민감종이 우세한 현상을 보였다. 한편, 중영양호 (진양호, 금풍지)와 부영양호 (예당지, 마산지)에서는 내성종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어 호수의 영양 상태에 따 라 우세종의 내성특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장-체중 관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회귀계수 b값은 중 영양호(3.07~3.17)와 부영양호(3.15~3.21)에 비해 빈영 양호 (2.77~2.79)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호수의 영양상태가 피라미 개체군의 성장도에 영향을 주 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장에 따른 비만도 지수 (K) 관계 분석 결과 중영양호와 부영양호에서는 양의 기울기를 보 인 반면, 빈영양호에서는 음의 기울기를 나타내 호수의 영양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TSI (TP), TSI (Chl-a)와 회귀계수 b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b=0.012*TSI (TP)+2.395 (R2=0.797, p=0.017), b=0.013*TSI (Chl-a)+ 2.367 (R2=0.822, p=0.013)으로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부영양화가 진행될수록, 비정상개체의 비율 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장-체중 관계와 비만도 지수 분석에 의 한 피라미 개체군의 성장도는 영양염류나 식물플랑크톤 의 생체량과 같은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되 며, 과도한 부영양화는 수환경의 오염을 초래하여 피라미 개체군의 성장과 건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사료된다.
It seems required to determine what might affec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and what kind of role they could play for them to carry out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an effective wa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hus to conduct a depth empirical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business environment,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companies. From the analysis, following outcomes could be drawn: First,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external environment is a factor that can influenc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management of technical property,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as well as technical network, while it exercises no impact upon adaptation of manufacturers to new technologies. The interna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urns out to have influence on such overall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s management of technical property,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adaptation to new technologies and technical network; and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ir performance, it has been obvious that management of technical proper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both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ffect the performance of product development and financial achievements of manufacturing companies. Their adaptation to new technologies will also affect their performance of product development as well as financial achievem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manufacturing companies to set up an operating system that may be able to upgrad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ir technological development activities in an attempt to promote performance of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이 글은 고령(화)시대 노년 문제에 대한 우리의 관점전환의 모색을 목표로 하면서, 근현대 개인주의 및 기술 산업사회의 경쟁 논리에 의한 인간관에 대한 하나의 대안(보완)으로 유가의 인간 관계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우리는 유교의 인관관계론을 ‘仁’개념에 토대를 두고 孔子(爲己, 恕) 및 曾子의 언명(忠恕), 그리고『孟子』및『大學』등에 산재한 기술을 재구성적으로 해석하였다. 공자는 “군자는 자기(己)에게서 구하다”고 하면서 자기정립의 학문 이념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공자의 ‘爲己之學’을 증자는 ‘忠’개념으로 풀이하였다. 그리고 ‘忠’은 신체의 주관자인 마음을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고(不偏不倚),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無過不及) 표준 상태에 두어” 자신의 본성(仁)을 온전히 실현하는 것이다. 나아가 ‘爲己之學’(忠)을 맹자는 ‘求放心之學’, 곧 “仁義(大體)로서 자아를 정립하여 大人이 되는 학문”이라고 규정하며 계승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大人之學에서의 자기정립은『大學』에서 제1강령인 ‘明明德’, 그리고 八條目 가운데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유가에서 타자관계는 우선 ‘恕’(推己及人)의 원리로 제시되었다. 恕는 “자기를 정립하고자 하면 남을 정립시켜 주고, 자기가 통달하고자 하면 남을 통달시켜 주면서 仁을 실천하는 방법” 혹은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아야 한다.”는 등으로 공식화되었다. 그리고 이는『大學』에서 우선 ‘치국-‘평천하’의 가장 중요한 방법인 ‘絜矩之道’로 구체화되어 나타났다. 그런데 이는 칸트적인 정언명법의 제1원리인 ‘보편성의 원리’, 제2원리인 ‘공평성의 원리’ 또한 함축한다고 해석되어 왔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는 恕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칸트 정언명법의 제3의 원리, 즉 ‘보편적 자기 입법의 원리’ 및 ‘목적의 왕국’의 이념까지 함축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가의 忠恕의 원리는 ‘보편적(우주적) 가족애’라고 하는 맥락에서 노인을 나의 부모처럼 대우하고, 노인들이 원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베푸는 정책을 시행하라는 것을 함축한다고 전망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 패널자료를 통한 3,125명의 청소년들의 자원봉사활동 현황과 비행 현황을 살펴보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에 ‘봉사학습’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이유는 ‘성적반영’ 때문이라고 대부분 응답하였고, 성별 봉사활동내용은 비슷하지만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자선구호활동에 많이 참여하였다. 또한 성별 비행 경험을 조사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비행의 정도가 심하고 많은 비행을 경험하고 있었는데, 주목할 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술마시기, 무단결석, 원조교제 등의 비행이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성별과 자원봉사활동 영역과 청소년 비행항목별 경험의 관계를 살펴본 이유는 비행행동을 줄이기 위해서 어떤 활동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살펴보면서 청소년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관리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원인을 생각해보고자 조사하였다. 청소년의 자원봉사참여 여부와 참여횟수, 참여시간, 참여이유 현황을 통해서 비행과의 관계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나,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데이터를 이용하였기에 변인의 설정 등에서 보다 자유롭게 연구할 수 없는 제한성이 있었고, 결정적으로 시간과 능력의 제약 등으로 청소년에게 있어서 자원봉사활동과 비행이 어떻게 관계되어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에 매개역할을 하게 될 지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2010년 1월에 있었던 노조법 개정은 집단적 노사관계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노사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복수노조 허용은 다양한 법률적 쟁점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검토를 통해 정치하고 올바른 법 해석과 입법적 대안 모색이 필요한 것이다.복수노조 금지시대에는 일반적 구속력제도가 크게 문제될 여지가 별로 없었으나, 사업(장) 단위에 복수노조가 전면 허용됨에 따라 일반적 구속력제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사례가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노조와 개별적으로 교섭하는 경우 특정 노조의 단체협약이 일반적 구속력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단체협약의 구속력 범위, 소수노조의 단결의 자주성 및 단체협약의 자율성 존중 등의 이유로 개별 교섭하기로 하는 소수노조의 조합원에 대해 당해 단체협약이 확장․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교섭대표노조의 단체협약이 일반적 구속력의 요건을 갖춘 경우 불참노조, 교섭대표노조 결정이후에 설립된 노조, 미조직 근로자 모두에 대하여 단체협약의 효력이 확장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복수노조 허용에 따라 노조에 가입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근로자를 해고할 수 있는 유니온숍 협정 허용조항은 폐기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개정 노조법은 근로자 개인의 단결선택권을 보장하고 있고, 헌법상 단결권에는 소극적 단결권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 다수노조의 단결력 강화는 사업장 노사관계를 안정시킬 수도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현행 법규정이 타당하다고 본다.현행 노조 설립신고제도는 복수노조 시대에 부합되지 않으므로 새로운 제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노조 설립신고제도를 폐지하는 대신에 임의적인 제도로서 노조의 사전등록제와 지위심사제를 병행 도입한다. 등록된 노조는 노조법상 각종 지위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되, 교섭창구단일화절차에 있어서는 노사 모두의 동의가 있다면 등록되지 않은 노조도 창구단일화 절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당사자 어느 일방이라도 반대하는 경우 사전등록제보다 짧은 시간 내에 노조로서의 지위심사를 받아 교섭창구 단일화절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하청회사 근로자에 대한 원청회사의 사용자성을 인정한 대법원 판례에 따라 간접고용근로자로 조직된 노조도 원청회사의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에 참여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법률적으로는 원청회사가 간접고용근로자의 단체교섭 당사자로서의 지위를 인정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간접고용근로자 노조도 원청회사 노조의 단체교섭창구 단일화 절차에 참가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나, 원청회사가 교섭당사자로 인정될 수 있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차라리 직접 고용하여 논란의 소지를 제거하려고 할 것이므로 실제의 사례로 나타나기는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는 과학적 소양은 과학적 지식의 획득과 과학적 담화에 참여할 수 있는 언어적 능력을 통하여 길러진다는 전제하에 대기 중의 물의 상태변화에 관한 학생 글에서 나타나는 의미관계와 과학 언어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중학교 3학년 학생 67명이 참여하여 일상생활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현상과 학교과학교육에서 체계적으로 배우는 현상 에 관한 두 개의 서술형 문항에 대한 글을 작성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생들은 '이슬점' 같은 생소한 용어뿐만 아니라 '수증기', '김' 등과 같은 친숙한 용어에 대해서도 잘못된 의미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학교과학 교육보다 일상의 경험에서 형성된 지식에서 옳은 의미관계와 잘못된 의미관계 모두 더 많이 나타났다. 일상의 과학적 현상에 대해서는 행위와 절차를 중심으로 한 서술 양상이, 학교 교육에 의해 접하게 된 현상에 대해서는 전문용어와 명사구의 사용 양상이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험에 기초한 자발적 과정은 풍부한 의미관계 형성에, 형식적이고 이론적인 과정은 명사화를 중심으로 한 전문적이고 추상적인 서술의 측면에서 과학적 언어 능력 발달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신내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부적응 아동에게 대상관계이론을 적용하여 상담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사례는 내담자의 부모와의 과거 경험을 탐색하여 어린 시절에 형성된 분열된 대상관계가 현재의 대인관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새로이 통합시키고자 하였다. 내담자는 가족 내에서 부모의 무의식적 가정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어떠한 부정적인 소인을 가지게 되었는지 인식하게 되었다. 18회에 걸친 상담을 통하여 내담자의 많은 부분을 의식의 세계로 옮겨오고 표출할 수 있었으며 내담자는 부분적으로 통합된 대상관계를 내재화하였다.
1) The structural system of『Hwaeomgyeong』has its core in the fact it deals with certain themes repeatedly on the basis of 「Sipjipum」as a system of discipline.( The key of Euisang's ideas lay in referring to the whole 『Hwaeomgyeong』as Beopseong and expressing it with the term, 'Haeng'. Here 'Haeng' is a system of discipline based on 「Sipjipum」. This indicates that 『Hwaeomgyeong』can be fully represented just by 「Sipjipum」because the twos are structurally similar) (1) In 「Sipjipum」, a summary of 『Hwaeomgyeong』is contained. Thus descriptions of 「Sipjipum」may be like those of 『Hwaeomgyeong』. (2) 『Hwaeomgyeong』had a three-dimensional spatial structure which corresponds with the Heaven of Yok Gye Yuk Cheon and the Earth, when associated with places of preaching Buddhist sermons. 2)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stone platforms of the Buseoksa Temple with references to 『Hwaeomgyeong』and 「Sipjipum」. 1) All the platforms, whether their building is still remained on them or not, comply better with implications of 「Sipjipum」. 2) Different heights of the stone platforms and the axial refraction of the platforms brought by their shape changes all imply variations in discipline levels descrided in 「Sipjipum」, in terms of form and symbolic implication. Sites which mainly compose the stone platforms also comply with descriptions contained in 『Hwaeomgyeong』regarding the place, frequency and contents of preaching Buddhist sermons. In conclusion, the outside of the Buseoksa Temple is composed of architectural spaces for which contents of 『Hwaeomgyeong』and 「Sipjipum」and the frequency and place of preaching Buddhist sermons are fully considered and comprehended.
The purpose of study proffer the proper teaching method of sports club and the orientation and
the based data for the education of the trait hunanity and the school sports club programs in
elementary students, as searching the relations of the participati
본 연구는 협력적 노사관계를 통하여 조직의 성과로서 QWL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기본가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기업체 근로자 4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아울러 재직기간, 기업역사, 노조유무, 종업원 수 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되었고, 변수들의 타당성과 신뢰성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둘째로 협력적 노사관계가 성과변수 모두에 매우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faced in very quick change,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y a key role in sustaining corporate competitive advantage and boost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Based on a former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individual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effects business performance and labor relations. Business performance is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 royalty and devotion. Also it is more influ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industrial relation of corporat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find the significant influence from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and industrial re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s sport-club particip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here were two factors defining sport-club participation : the
type of sports event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