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한국과 중국의 수교 이후, 양국은 30년 동안 경제, 교육, 문화 등 다방면의 교류를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이룩하였다. 현재 급변하고 있는 세계질서 속에서 양 국은 인문교류를 비롯한 수많은 관계 속에서 전략적 동반자로까지 관계가 격상되었 으나, 최근 서로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시선을 넘어 혐오와 불신이 사회 전반으로 퍼 지게 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 제도적 장치와 지방정부 및 민간 차원의 인문교류 과정들을 분석하여 양국 교류 중에 나타날 수 있는 갈등 및 오해를 발생 요인들을 정치·안보, 역사·문화, 사회 등 다각적인 관점으로 규명하여 양국의 관계가 지속 발전될 수 있도록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인문교류 메커니즘의 보완적 필요에 대한 고찰과 함께 향후 양국관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제언 하고자 한다.
Family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enduring forms of education that mankind has ever known. The function and status of family education in China has develop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ew era. The legislation on family education is an important milestone for family education in China,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ouble reduction policy” has promoted the new development of family education. As a topic of family education research, parental Cooperative education has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is paper, the data of parental pairs were selected from the National Youth Mental Health Database of the Institute of Psychology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consistenc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parental relationship quality; parental depressive mood state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to parental relationship quality; and parental consistency had a greater impact on parental relationship quality when the parents were in an unstable situation. Based o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sistency, parental psychological state, and parental relationship quality, it is of positive significance to further explore parental cooperative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process of cooperative parenting and the need for parents to maintain a consistent philosophy of cooperation, a state of cooperation, and a cooperative relationship in accompanying their children can have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amily education in China.
The South Korea government has set a development goal of attracting 200,000 students from around the world to study in Korea by 2023. As the main exporter of Korean students,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has been declining year by year. According to the official data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South Korea,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chool and regional selection, education level and distribution of disciplines and majors, and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number of students. Based on the push-pull theory, the pull factor of studying in Korea and the push factor of China are summariz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ut forward practical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in order to reverse the current downward trend of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quality of cultivation can be improved through scientific policy making. We should balance educational advantages, rationally allocate resources, optimize professional structure, and expand the scale of overseas study. Strengthen the publicity of studying abroad and shape the ecology of studying abroad.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본 논문은 중국 정치체제의 특성과 관련하여 전통적인 황제-관료체제가 오늘날 중 국공산당에 의한 ‘당국가 관료체제’ 형태로 지속되고 있음을 강조한다. 제국의 해체 와 국민국가로 재탄생한 현대 중국은 서구적 성격과 가치를 지향하는 근대국가가 아 닌 전통 체제를 계승한 ‘구체제’의 산물이며, 중국의 근대화는 자신의 역사적 경로를 체제 내로 계승하는 ‘경로의존적’ 과정이었다. 따라서 중국 체제의 전환은 근대화론 에 의한 민주주의 체제로의 전환 과정이 아닌 ‘관료제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Zhang Yan-Yuan’s Fa Shu Yao Lu(法书要录) written in the Tang dynasty, is an important compilation of calligraphic theory from the Tang dynasty and before. With his own insight and vision in the art of calligraphy, as well as his rich family collection and other unique natural conditions, the editor, with a heart to pass o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took the essence from the vast literature, extracted the essence of it, and worked tirelessly to compile it into a huge volume. The editor does not say a word in the book, but through the selection and abandonment of the content, the order in which the content is presented, the book is logically clear, right and wrong, regardless of its own position and viewpoint. From the overall viewpoint of the book, the content emphasises art over technique; highlights its heritage and historicit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establishes the authentic status of Two wangs by declaring the banner; collates, catalogues, examines, discerns forgeries, criticises, authenticates, legends, and narrates different perspectives and aspects of the art of calligraphy by adopting different styles of writing at large; while focusing on a comprehensive system of information from eight dimensions, with clear priorities, prominent views, and The book also focuses on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 to the material in eight dimensions, with a clear distinction between major and minor points of view, either narrating or discussing, or writing or editing, showing in three dimensions the profoundness of ancient Chinese calligraphic theory and the orthodox calligraphic thought of respecting Two wangs. Secondly, the book also has a positive historical value in terms of preserving valuable documents, deconstructing historical documents to preserve their authenticity, promoting the orthodox status of Two wangs calligraphy, and establishing a paradigm of compilation style for future generations. Of course, Zhang Yan-Yuan could not have done it all on his own, and there are regrets in the choice of titles and unsatisfactory classification of documents in Fa Shu Yao Lu(法书要录), but the flaws do not obscure the merits, and his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calligraphy are indelible.
러시아 형식주의자 쉬클로프스키는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 개념을 최초로 제시하였다. 이는 자동화(automatization)된 인식을 돌파하고 새로운 심미적 감각을 자극하는 수단으로 건축, 패션 디자인, 미디어, 미술 등 시각적 연구 분야에서 활발 하게 논의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계에서 ‘문학성(literariness)’, 문학작품 비평에 대 한 검토도 꾸준히 이어져 왔다. 기존의 ‘낯설게 하기’ 연구방향에 따라 각 학자들은 음성학적, 어휘적, 통사적, 문체적 구조 등 다양한 언어적 위계에 초점을 두고 의미 가 있는 관점을 밝혔으나 이를 통합하여 전체적 텍스트를 분석하는 기준과 방법을 세우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중국 당대소설 ‘낯설게 하기’의 범위를 규명하고 체계 적인 분석 기준을 수립한 다음, ‘낯설게 하기’의 구체적인 변형 수단과 연구소설 「레 닌의 키스(受活)」의 ‘낯설게 하기’ 양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필자는 본고에서 刘荒田의 산문을 통해 기존의 북미 화인화문문학에서 보여주었던 이주와 초국가성의 특징으로 묘사되었던 작품 내용과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북미 화인화문문학에 대한 기존 연구의 양적, 질적 향상을 도 모하고자 한다. 刘荒田의 산문은 출발지 중국을 떠나 거주지 미국에서 살아가는 화 인들의 일상보다는 한 인간에 대한 관심과 관찰을 통한 인간 삶의 보편적이고 철학 적인 문제에 주목한다. 刘荒田의 관찰자적 시선은 특정 국가나 민족 또는 인종에 대 한 차별을 배제한 채 함께 연대해서 살아가는 한 인간의 삶의 태도와 인생에 맞춰있 다. 刘荒田의 산문에는 시간과 공간의 초국가성으로 인한 특징들이 나타난다. 이것은 어떤 특정 국가나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닌 다중적인 성격을 지닌 문학으로 화인화 문문학을 이주자 문학으로 간주할 수 있다. 초국적 이주자 문학이 가지는 경계와 틈 새의 특징은 화인화문문학에도 상당수 나타나고 이것은 또한 세계문학의 가능성도 동시에 지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고에서는 『홍루몽』 텍스트에 소품으로 등장하는 역대 명화와 서예 작품들이 해 당 공간에서 어떠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곳에 사는 인물들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 는지 분석함으로써 『홍루몽』 속 전통 서화 예술의 의의와 가치를 고찰해 보고자 하 였다. 『홍루몽』에서 서화는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 보여주고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하 나의 중요한 서사적 장치로 운용되었다. 처음에는 서화의 자체적인 형상으로 독자에 게 다가가나 어느 순간 공간 속의 인물과 어우러지면서 모종의 의미체계로 독자에게 수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홍루몽』의 서화 예술은 단순히 그림이나 글씨라고 하는 개별적인 소품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인물 감상 및 주제의 차원으로 확장되어 소설의 경계를 더욱 높은 수준으로 고양시켜 주었다고 하겠다.
오위업(1609-1671)은 명·청 교체기라는 왕조 변혁의 시대에 명 유신의 신분으로, 국가의 패망을 경험하고 청 왕조에 출사하여 역사에 ‘이신(貳臣)’으로 기록되는 수모 를 당한 시인이었다. 본고는 그의 시를 명조에 대한 충절과 이민족인 청조 출사에 대한 참회라는 두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충절은 유교 사상에서 신하의 정신적 표상이고 변절은 유학자에게는 도덕적인 생명줄의 상실이라고 볼 때, 시인 오위업은 명에 대한 충정이 강한 신하였지만 우유부단한 천성과 청조의 회유와 압박에 굴하여 절개를 지키지 못하고 죽는 날까지 참회의 시간을 보냈다. 이신이라는 오명을 가진 시인의 주체적인 자아의 작동은 진정성을 담은 시로 창작되어 감동을 선사한다. 또 그의 시는 청초 시단에도 큰 영향을 미쳐서 명·청 시사의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였다
본 논문은 『시경(詩經)』의 작품을 ‘정변(正變)’의 관점에서 설명하려는 ‘풍아정변론 (風雅正變論)’은 어디에서 비롯되었으며, 아울러 정현(鄭玄)의 ‘정변’은 어떻게 형성되 었는가를 탐색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서 『모시(毛詩)』 해석과 비교를 통하여 그 실마리를 찾으려 하였다. 정현은 어떤 방식으로 ‘정변’을 구분하였으며 모시해석 체계(모시해석체계)와는 어떻게 다른지, 『전(箋)』의 해석까지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이를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시경』의 작품을 ‘정변’을 통해 설명한 가장 빠른 시기 의 해석은 『모시서(毛詩序)』이고, 『풍(風)』과 『아(雅)』의 詩를 왕도흥쇠(王道興衰)에 따라 ‘정변’으로 시정(時政)의 善과 惡을 구분하였다. 유가 사상(儒家思想)을 이어받 은 漢儒는 통치에 대해서 역사적인 사실과 관련지어 是非를 판단하였다. 정현은 『序 』의 詩旨에 따라 ‘정변’을 구분하고 역사
With the rapid change of social outlook and the emergence of new things, neologisms and neologisms have also become an eye-catching and vigorous field of vocabulary research.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the social outlook has greatly changed , and new things have emerged one after another. New words and new expressions have also become an eye-catching, changing and vigorous field of vocabulary research.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neologisms and neologisms, the author sorted out 100 neologisms and neologisms released in the past ten years (2011-2020) of "Chinese inventory of the top ten neologisms and neologisms of the year", supplemented some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report on the living conditions of Chinese language (2005-2020), and selected 200 high-frequency neologisms and neologisms in the past 15 years based on the standard of modern Chinese neologisms and neologisms (including more than 10000 entries from 1990 to 2016). From definition to Motivation and semantic classification, phonetic and grammatical word-building features, word-making methods and teaching strategies ,all of the above are thoroughly analyzed from theory to practice.
In the past, the research on the new “Bei” structure mainly focused on its language form, usage and rhetorical function,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in-depth discussion on its formation mechanism and development trend. Based on the analysis of media corpus,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Bei”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pragmatics. We believe that the new “Bei” structure is a deviation from the prototype of “Bei” structure in the idealized cognitive model. Its emergence has its cognitive motivation and pragmatic motivation: language users use this language form to realize the cognitive prominence of some negative behaviors, and express their communicative intention in this economic way. The formation process of this structure is also the pragmaticization of the cognitive ability of language users, but with the increase of frequency, this structure gradually appears the trend of departure and lexical chun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helpful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new “Bei” structure, and it is also a supplement to the study of “Bei” sentences.
한중 조리동사는 의미의 범주가 달라 대응관계가 매우 복잡하다. 동일한 조리활동 을 가리키면서도 중국어와 한국어가 ‘일대일’의 대응관계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삶다(煮)류 의미장의 중국어 13개, 한국어 9개 조리동사를 대상으로 계열 관계와 결합관계를 통해 의미소를 설정하고 이들의 의미특징을 분석하여 한중 조리 동사의 대응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사전과 코퍼스를 활용하여 다의어 에서 다수의 의미소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방법과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한중 조리동 사의 의미 범주 차이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의미자질 분석을 통해 중국어 조리동 사에서 다의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의미의 범주가 크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Shuowen Jiezi compiled by XU Shen is the first dictionary in China to systematically explain meaning of character, decompose font and distinguish pronunciation of words. The book shows a variety of Chinese fonts before the Eastern Han and records ancient sound materials and culture of Chinese character. Scholars of all dynasties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Shuowen Jiezi after the publication of Shuowen Jiezi. A lots of classic ancient works regard the explanatory notes of Shuowen Jiezi as an important basis, and quote the content of Shuowen Jiezi to annotate has become a common method of academic research. Analysising and Researching content of the materials quoted from Shuowen Jiezi in all kinds of literature is helpful to explore the original appearance of Shuowen and the development law of Chinese characters. Wuche Yunrui is a non-official encyclopedias book compiled by Ming’s historian LING Zhilong which collected and collated classic words, poems and allusions to become an important tool for ancient literary creation to select words and allusions and rhyme couplets. Arrangement of Wuche Yunrui is following the rhyme. That is each word and allusion is collected into each rhyme according to the rhyme at the end of the word, and fully explainning the meaning, pronunciation and font of the first word of each rhyme. Wuche Yunrui widely quotes many ancient literatures and materials such as Shuowen Jiezi, Erya, Shiming, Guangyun, Yupian, Jiyun to definite the first word of rhyme, among which quotes the most from Shuowen Jiezi. This study takes definition content of Shuowen Jiezi quoted by Wuche Yunrui as the research object. On the basis of exhaustively collecting the definition materials of Shuowen quoted by Wuche Yunrui, taking current version of XU Xuan’s Shuowen Jiezi as the comparison object, the paper compares the definition materials of Shuowen quoted by Ling Zhilong’s Wuche Yunrui with current version of XU Xuan’s Shuowen Jiezi, corrects the errors and omissions of this two books, analyzes the reasons for the different definitions, and finds out meaning evolution process and law of Chinese characters.
중화회관은 각 국가에 있는 화교들이 만든 상공회의소 혹은 교민협회 같은 역할을 수행한 조직이다. 베트남은 중국과의 역사적 배경에 따라 17세기 중반 명향사라는 조직이 먼저 등장했는데, 이는 단순한 화교 커뮤니티로 출발해서 명향회관이라는 조 직화를 거쳐 중화회관을 조성하는 기반이 되었다. 두 기관은 지연(地緣)이라는 공통 점을 통해 자연스럽게 시기별로 연결되었다. 베트남 정권은 명향사를 화교를 관리하 는데 활용하였고, 이는 중화회관 시기에서도 이어졌다. 명향사의 특성은 베트남 중화 회관이 다른 국가와 다른 점은 갖게 하였다. 천후사당과 관우사당을 두고 복과 안녕 을 빌었으며, 중요한 화교 조상을 기리는 사당을 두었다. 또한 혈통별로 각기 달리 화교를 관리하여 중화회관의 효율적 관리와 회원들의 이익을 도모하였다.
Work, leisure, and subjective well-being are inextricably linked. Both work and leisure affect subjective well-being to varying degrees. Thus, seeking a balance between work and leisu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has always been a social issue that scholars are concerned about. In the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not shortened working hours and gave rise to the “leisure society” expected by scholars. Moreover, the increase in material wealth has not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happiness in some developed countries and emerging economies. These situations make people start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time, leisure tim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whether overtime work has an impa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o verify whether leisure activity time can moderate the effect of overtime work on subjective well-being.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2017 Chinese General Social Survey were utilized and twelve types of physical activity were included in statistical testing. The results found a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overtime work and subjective well-being. Reading activities in leisure time moderated the negative impact of overtime work on subjective well-being to a certain extent. Especially, as the working time became longer, the more frequently female workers participated in reading, the stronger their subjective well-being would be.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negative impact of overtime work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hinese workers.
The global economy has been hit har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urgently need to restore economic growth. As countries in Eurasia become more and more closely connected, it is inevitable for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South Korea's new Northern policy to connect. In this context, what matters is the connection of the railway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Terminal Railway (TKR) into the Eurasian railway network by connecting the Korean Terminal Railway (TKR) with China's China-Europe freight train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n interactiv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ailway freight volume and GDP, and South Korea is expected to become the logistics center of East Asia and improve its status and influence in the world center.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 railway connection can draw North Korea into a larger multilateral agreement system, and South Korea can use external forces within the system to push North Korea to seek more economic cooperation and actively promote the reunification process. The economic development of Northeast Asia also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economic recovery of the three provinces in northeast China.
본 논문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디지털 가전 및 휴대폰 등을 포괄하는 중국 전자산 업을 대상으로 OECD TiVA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0년~2018년까지의 중국 수 출을 부가가치 기준으로 분해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전자산업은 총 수출 액과 부가가치 수출액 모두 세계 1위로, 2018년 기준 중국 총수출의 약 30%를 차지 하고 있었다. 국내부가가치(DVA) 측면에서 중국은 해외 부품 조달을 통해 조립․가 공한 후 수출하는 비교적 저부가가치 활동을 담당하는 중간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것 이 아니라 자국 부품 조달 및 국내 생산 비중을 높여 부가가치를 높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주요국(한국, 대만, 미국, 일본)과의 비교에서 중국 전자산업의 국내부가가치 비중은 미국, 일본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부가가치 기준 현시비교 우위지수(VRCA)도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었다.
냉전시기 대만해협은 중국과 중화민국의 국내외 정치적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성 격을 달리하며 동아시아 냉전지형의 변화과정에 핵심적인 무대가 된다. 중화인민공 화국의 성립 이후 발생한 고령두전투에서 대만해협은 중국과 중화민국 간 세력싸움 의 전선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의 종식과 함께 동아시아가 공산 진영과 자유진영으로 분할되면서, 대만해협은 동아시아 냉전 진영을 가르는 분계선 이 된다. 이후, 제1차 대만해협위기에 미국이 본격적으로 참여하며 대만해협은 냉전 지영의 확대를 위한 전장으로 변모하였으나, 무력충돌의 확대로 인해 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안전의 위협이 되자 대만해협은 양자 간의 갈등을 안정시키는 진영봉쇄의 울 타리가 된다. 이후, 중동 혁명의 지원과 대만해방이라는 기치를 내건 중국이 제2차대만해협위기를 시작하면서 대만해협은 또 다시 열전의 공간으로 바뀌었고, 중국과 미 국의 회담이 진행되면서 대만해협은 중국과 중화민국간의 선전전이 진행되는 이념 전쟁의 장으로 변모하게 된다.
“Li chao jie lu”(历朝捷录) is a history book of Gangjian style compiled by Gu Chong(顾充) in the Ming Dynasty. It records the governance of the emperors of all dynasties during the 1,700 years from King Weilie of the Eastern Zhou Dynasty to Emperor Bing of the Song Dynasty. The style imitates Zhu Xi’s “Zi zhi tong jian gang mu”, but the narrative is more concise. Therefore, it has been favored by readers after its release. Especially it‘s convenient for beginner spreparing for imperial examinations. There are many versions of this book. Among them, in addition to the original version compiled by Gu Chong, various sequel versions and annotated versions have also been derived. However, under the strict banning policy of the Qing Dynasty, “Li chao jie lu” and its derivative versions have been repeatedly banned, but some versions are still circulated to today. In this article, the author investigated existing relevant versions, took “Li chao jie lu da cheng” 2 juan, “Xin juan zeng ding Li chao jie lu quan bian” 4 juan, “Xin juan zeng ding Li chao jie lu quan bian da cheng” 4 juan, “Chong ke yin zhu Li chao jie lu” 4 juan, “Xin ke kai ji han lin ping xuan Li chao jie lu zong yao” 4 juan, “Juan chong ding bu zhu Li chao jie lu shi jian ti heng” 4 juan, “Xin ke yu geng zhi xian sheng jian ding Li chao jie lu” 7 juan, “Li chao jie lu” 12 juan, “Li dai jie lu” 8 juan, a total of nine versions as the research object, analyzed the content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edition, and aimed to provide readers with a reference for the choice of e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