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1

        181.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phene fiber is considered as a potential material for wearable applications owing to its lightness, flexibility,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fter the graphene oxide (GO) solution in the liquid crystal state is assembled into GO fiber through wet spinning, the reduced graphene oxide (rGO) fiber is obtained through a reduction process.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herein, we report N, P, and S doped rGO fibers through a facile vacuum diffusion process. The precursors of heteroatoms such as melamine, red phosphorus, and sulfur powders were used through a vacuum diffusion process. The resulting N, P, and S doped rGO fibers with atomic% of 6.52, 4.43 and 2.06% achieved the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ies compared to that of rGO fiber while preserving the fibrious morphology. In particular, N doped rGO fiber achieved the highest conductivity of 1.11 × 104 S m−1, which is 2.44 times greater than that of pristine rGO fiber. The heteroatom doping of rGO fiber through a vacuum diffusion process is facile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structure.
        4,000원
        18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끼의 분쇄번식 시, 가장 적합한 배양토, 광, 온도를 구명 하기 위해 날개양털이끼(Brachythecium plumosum)와 쥐꼬리이끼(Myuroclada maximowiczii)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개시 4주 후에 사진을 찍어 Photoshop에서 이끼 면적과 녹색 평균값을 구하여 이끼의 생육 정도를 나타내었다. 배양토의 경우, 두 이끼 모두 다스란 상토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고, 상토:마사토(50:50), 원예상토, 마사토:피트모스(50:50) 에서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버미큘라이트 단용에서는 생육이 부진하였다. 광도실험에서는 날개양털이끼는 25umol・m-2・s-1 에서 100umol・m-2・s-1까지 광도가 높아질수록 생육이 조금씩 좋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쥐꼬리이끼는 3개의 광환경에서 비슷한 수준이었다. 온도 실험에서는 두 이끼 모두 23℃에서 면적과 녹색값이 가장 높아 생육도 좋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 하면, 건조한 이끼를 분쇄하여 번식할 때, 배양토로는 보습력이 좋은 다스란 상토나 원예용 상토가 무난하며, 광도는 25~100umol・m-2・s-1 범위, 온도는 20~23℃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97.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은 나트륨 통로를 차단하는 신경독소로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 해양독소 중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아시아에서 복어 섭취로 인한 테트로도톡신 중독사고가 많이 발생했었다. 최근 아열대 복어 종과 그 잡종 섭취로 인한 테트로도톡신 중독사고가 아시아 외 지역에서도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복어 종별 테 트로도톡신 및 유사체의 함량과 기관 내 분포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총설에서는 식품공전 복어독(테 트로도톡신) 분석법인 쥐를 이용한 생물학적 정량법, 효소 면역측정법,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분석법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최근 주로 사용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테트로도톡신과 테트로도톡신 유 사체 분석법을 소개하고 이에 사용된 전처리법, 컬럼 및 이동상을 비교하였다. 또한 복어 종별 테트로도톡신과 그 유사체 함량과 다양한 기관에서의 분포를 정리하였다. 이 총설은 테트로도톡신 분석법과 다양한 복어 종의 테트로 도톡신과 유사체 함량 및 기관에서의 분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