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0

        203.
        2012.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원에 따른 식물의 생육은 새싹채소나 실내 작물재배에 여러 용도로 연구되어왔다. 최근 여러 분야에서 그 이용용도가 연구되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 LED (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생육반응을 알아보고자 용외국화와 산국을 이용하였다. 용뇌국화는 마키노국화, 뇌향국화라고도 하며, 산국과 비슷하지만 잎의 뒷면에 솜털이 빽빽이 나는 것이 다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어서 나무처럼 단단해지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3개로 얕게 또는 중간까지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다시 1∼2개로 갈라져서 국화잎 비슷하게 보인다. 꽃은 가을에 피며, 두상화(頭狀花)는 지름 3∼5cm이고 흰색이며, 관상화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젖으면 끈끈한 성질이 생겨 서로 붙는다. 산국은 개국화라고도 하며, 꽃은 진정·해독·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두통과 어지럼증에 사용한다. 관상용으로 식재하며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이와 같은 기능성 산채류로 활용이 가능한 용뇌국화 및 산국을 공시재료로 LED 광질 종류에 따른 생육차이를 분석하였다. LED 광원으로 red와 blue 혼합구, red, blue, white 혼합구를 사용하였고, 광도를 각각 2처리구로 구분하였다. 형광등 처리구 및 대조구와 함께 조광 15시간, 암조건 9시간, 온도는 주간 25℃, 야간 18℃로 조절하여 60일간 생육시켜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용뇌국화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엽생장이 감소하였고, 광원별로는 red+blue 처리에 비해 red+blue+white 조합처리구의 생육이 더 좋았다. 산국은 고광도의 red+blue+white 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생산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204.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scaffolding in the English classes at a Kindergarte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forty English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private kindergartens to find out their perception of English class and the use of scaffolding patterns.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two teachers were selected for class observation. Their storytelling and phonics classes were videotaped once per week for a period of six weeks. The analysis of teachers` scaffolding showed that repetition, praise, and hint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both storytelling and phonics classes. The observed scaffolding pattern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ing that the teachers tended to rely on the limited patterns of scaffolding in their feedback.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teachers` feedback and classroom interaction, especially with young learners of English.
        209.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와 시각적 선호도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백화점 중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관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를 조사하고 일반인과 학생,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별 선호도와 선호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산술평균, t-test, 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수행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울 및 경기소재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조사 결과 대상지의 진입공간은 옥상정원이 시작되는 공간으로 출입문에서 정원을 바로 조망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으며, 시설물이나 식재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백화점 내부와 연결되는 공간의 특성상 바닥 마감은 화강석과 데크가 많이 사용되었다. 중심공간은 옥상정원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이용자의 활동도 많은 공간으로 주로 수경시설 및 휴게시설, 공간 장식요소 등이 도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수목의 식재는 플랜터를 활용한 주제목 위주의 단순한 형태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았고 하부식생은 잔디를 도입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주고 있었다. 경계공간은 건물의 시설물을 차폐하고 주변 경관의 시각적 저해요소를 차단하기 위해 주로 수직적 형태의 수목이 많이 식재되었다. 시설물로는 휀스의 설치가 두드러졌다. 백화점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되는 옥상의 이벤트공간은 공연과 전시, 음악, 패션쇼 등을 진행하기 위한 무대와 공간 장식요소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 존으로 구분된다. 무대로 조성된 경우는 목재 데크가 주로 사용되었고 무대의 배경을 위한 휀스가 설치되어 있었다. 선호도 분석 결과, 다양한 시설물의 도입과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고 시각적 개방감이 우수한 신세계백화점 죽전점(case 10)이 7.78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건물의 시설물이 많이 노출되어 있고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다양한 활동 공간의 부재를 나타내는 삼성플라자(case9)가 5.39점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공간 장식요소 유·무에 따른 선호도 분석결과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옥상정원의 경우 6.41점의 선호도 값을 나타냈으며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선호도는 6.05점으로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식재 위주로 조성된 공간에 조형미가 가미된 공간 장식요소가 볼거리의 역할을 하고 시각적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조성 면적에 따른 선호도 분석은 너무 좁은 면적에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우 면적의 제약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이나 공간 분할의 어려움이 있고 식재의 경우도 제한적이므로 시각적으로 개방감이 떨어지고 설치된 시설물이 조화롭지 못하게 보인 것으로 보였다. 반대로 넓은 면적에 조성된 경우 공간의 아늑함이 떨어지고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옥상정원의 선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충분한 편의시설, 아름다운 경관, 시각적 개방감, 풍부한 녹음, 세련된 분위기, 아늑한 공간감, 다양한 활동 공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스텝와이즈(stepwise)방식의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 모두 아름다운 경관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 집단에서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된 아늑한 공간감과 가장 영향력이 낮은 요인으로 나타난 충분한 편의시설은 일반인 집단에서는 영향력이 서로 상반되게 나타나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견해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근거로 하면 옥상정원 조성 시 이용자인 일반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편의시설이 충분한 아름다운 정원을 계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백화점 옥상정원은 도심에서 자연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공간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백화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이용하는 공간이자 쇼핑중의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장소이므로 이용자들의 휴식을 위한 벤치나 카페테리아 등 충분한 편의시설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백화점 옥상정원의 시각적 영향을 조사·분석한 연구로 조사시점의 서울 및 경기지역의 백화점 옥상정원의 전수를 실태 조사하고 선호도를 분석한 내용이므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일반적인 모든 백화점 옥상정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의 제시를 위해서는 시각적 영향과 더불어 실제로 그 공간을 이용하는데 따르는 실태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도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212.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is growing rapidly. The first thing that can be recognized in the current image of the complex and chaotic urban city environment is the deprivation of pedestrian space due to the rapid growth of pathways for automobiles. Pedestrians became secondary to automobiles. Therefore, to offer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city life and bring vital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pedestrian-only space will be needed; not the space with strong exclusion of pedestrian rights over the current industrialized urban environment but the space with emphasis in terms of pedestrian walks. In other words, the space design for the pedestrians is urgently needed and it has to be developed through extensive studies. Therefore, this paper is based on the possibilities of pedestrian space that can promote urban activities. It is dealt with the general theories, traffic problems, environmental problems and historical space development. In addition, the current pedestrian conditions in domestic pedestrian-only roads and the examples of the streets that have no cars will be presented; both domestic and foreign. By observation of the pedestrian-only roads, the feasibility of pedestrian-only road and potential capability will be discussed Improvements in the street without cars can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21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produce fundamental database for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by monitoring vertical structure of the atmosphere due to the mountain valley wind in spring season. For this, we observed surface and upper meteorological elements in Sangin-dong, Daegu using the rawinsonde and automatic weather system(AWS). In Sangin-dong, the weather condition was largely affected by mountains when compared to city center. The air temperature was low during the night time and day break, and similar to that of city center during the day time. Relative humidity also showed similar trend; high during the night time and day break and similar to that of city center during the day time. Solar radiation was higher than the city, and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was observed later than the city. The synoptic wind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was west wind. But during the day time, the west wind was joined by the prevailing wind to become stronger than the night time. During the night time and daybreak, the impact of mountain wind lowered the overall temperature, showing strong geographical influence.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atmosphere in Dalbi valley, Sangin-dong had a sharp change in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potential temperature and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when measured at the upper part of the mixing layer height. The mixing depth was formed at maximum 1896m above the ground, and in the night time, the inversion layer was formed by radiational cooling and cold mountain wind.
        218.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problematic point of residential care facilities in the area of exterior environment. It considers the somato-type of the external space creation in order to consider the size of the exact facilities. Also, it presents a facility standard of the average number of old people who are possibility suitable to each facility. The walking space of residential care facilities must reflect the exact height, shoulder height, shoulder width, the length of arms, and the height of hands of the elderly person, and it must recalculate facilities to the exact size based on a measured standard. The parking space needs to consider the height, length, width and of walkers, wheel chairs, etc. The open space must consider the body weight of old people and must reflect the somato-type of seat height. Also, each space should reflect the quality of life that each old person desires and must plan for it accordingly. The design must consider the viewpoint of the external space as a paid provision for old age facilities. It must create a space according to each body's con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oceeding research, and it must create a space suitable to the actual condition of elderly people.
        21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landscape plan for a suburban housing complex presents a new orientation for residential housing to meet the changing demands of modern people as their attitudes toward nature evolve. Unlike most residential developments which tend to over cut the existing slopes, this new housing complex utilizes the pre-existing natural topography and contours of the site. The plan also considers the privacy of the residence by using the existing local vegetation with a natural, midlands style environment. It also provides a garden for strolling or contemplation. The majority of the homes are marketed for buyers with families in their 30s to 60s with lower budgets. Thus the site offers the maximum of consideration and convenience to its dwellers.
        220.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관련종사자들이 구기자의 잠재적 수요를 진작시키게 하는 방법은 첫째, 세계 각지에 생산되는 모든 구기자의 성분을 철저히 분석하고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구기자의 강점을 소비자들에게 투명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구기자 구매자들이 구기자를 구입할 때 어떤 속성을 기준으로 구매하는지도 사전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고 구기자 수요를 창출한다는 것은 매우 미시적 대응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셋째, 구기자의 여러 성분 가운데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