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wannoma, benign neoplasia derived from schwann cell, is rare tumor, and prevalent in tongue, palate, floor of mouth and buccal mucosa. Thirty-six-year-old male with asymptomatic protrusion of mandible angle was evaluated. We surgically removed the mass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gave the diagnosis of ancient schwannoma. We report a case of ancient schwannoma in masseter muscle and review of literatu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nutritionally evaluate Korean traditional fermentation food, Doenjang, and compare the nutrients in fish/meat-Doenjang and herb/fish/meat-Doenjang. In Doenjang, sugar, protein, fat, dietary fiber, and minerals, such as sodium and calcium, were analyzed using HPLC and the ICP analysis method authorized by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Doenjang is known to prevent arteriosclerosis, cancer and hypertension, and to aid liver function, as well as serving as a protein source. Doenjang, fish/meat Doenjang, and wild-herb/fish/meat Doenjang were made according to the original recipes in antique cookbooks. The highest levels of calories, carbohydrates, and sugar were contained in wildherb/ fish/meat Doenjang. Carbohydrate in the fish/meat Doenjang was higher than in ordinary Doenjang, and ordinary Doenjang had the lowest amount of sugar. Fat was shown to be the most abundant in fish/meat Doenjang, and the least abundant in ordinary Doenjang. Fish/meat Doenjang contained the most Na content, while wild-herb/fish/meat Doenjang had the lowest Na content. In terms of dietary fiber, ordinary Doenjang contained the most, while a wild-herb/fish/meat Doenjang contained the least. Ca content was shown to be most abundant in Doenjang, and the least abundant in fish/meat Doenja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ratio(0, 5, 10 and 20%) of various minor ingredients(prosomillet, glutinous barley, oat, wheat, yellow and black soybean, safflower seed, chocolate etc.) on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ulgiduk. In mechanical evaluation, hard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prosomillet, glutinous barley, oat and wheat to be added, and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the content of them to be added on yellow and black soybean, safflower seed and chocolate. In sensory evaluati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uk added with prosomillet, oat, yellow and black soybean and chocolate with 5~10%, respectively was better than those of Sulgiduk without the minor ingredients. Change of hardness on Sulgiduk added with oat, yellow soybean, black soybean and chocolate was lower than those of Sulgiduk without them during storage of room temperat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viability of bovine frozen4hawed in vitro produced (IVP) embryos and pregnancy rate by direct transfer method. Cumulus-oocyte complexes were aspirated from excised Hanwoo ovaries and matured in TGM 199 for 20~22 hours at 38.5 in 2% in air. Matured oocytes were fertilized with capacitated sperm for 6 hours and then co-cultured with cumulus cells for 9 days. 63% of the oocytes cultured was deaved and 29% out of them developed into blastocysts. Good or excellent grade of blastocysts on D 7 or 8 were frozen with 1.8M ethylene glycol as a cryoprotectant for direct transfer. Frozen embryos were thawed at 2 water for 10 sec following 4~5 second in air. For the survival assay of frozen4hawed lVP blastocysts, they were cultured in TCM 199 supplemented with 100M -mercaptoethanol and 20% FCS for 72 hours. The percentage of embryos developed to re-expanded or hatched after 72 hours culture was 95. 5 and 77.3%, respectively. When frozen-thawed Ivp embryos were transferred to 43 synchronized recipients by direct transfer method, eighteen recipients (41.8%) was pregnant. The highest pregnant was in naturafly synchronized recipients (71.4%), but induced estrus by using PRID(29.2%) and PGF(20.0%) was showed lower pregnancy rate. The pregnancy rate was higher in day 7 blastocysts(56.0%) than day 8 blastocysts(22.2%). (Key words: in vitro produced, blastocyst, frozen-thawed, direct transfer)
pH, 당과 Ca의 첨가량 및 혼합비율이 혼합유의 점도에 미치는 영향과 콩우유와 혼합유 제조시 가열과 혼합비율이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혼합유의 점도는 pH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pH 6.0에서 43.0 cp로 가장 높았고 우유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의 변화가 완만해졌다. Ca와 당의 첨가는 혼합비율별 혼합유의 점도에 뚜렷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유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감소되는 負의 관계를 보였다. 콩우유의 콩비린 맛과 냄새 그리고 풀냄새는 가열초기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고, 고소한 맛과 냄새 및 기호도의 증가를 보였는데 그 이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콩우유를 30분 가열한 후 우유와 혼합한 혼합유에서는 우유의 혼합비율이 증가하면서 비린냄새와 맛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고 익은콩 냄새와 단맛은 완만한 감소를, 우유맛과 우유냄새는 증가함을 보였다. 기호도는 우유의 함량이 높아가면서 증가하였으며 혼합유에서는 혼합비율이 50:50이었을 때 가장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능력이 높고 향도 좋은 Rhizopus japonicus T2와 밀가루로써 누룩을 제조할 때에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날밀가루로 누룩을 만들었을 때에는 가열처리 한 밀가루로 만들었을 때보다 당화효소의 생산은 현저하게 높아졌으나 산성 protease의 생산은 감소하였다. 밀가루에 0.5%의 염산을 함유하는 물을 급수했을 때에는 당화효소와 중성 protease의 생산이 감소하였다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에 가장 적합한 급수비율은 밀가루에 대하여 28%이었다. 곰팡이를 접종한 후 즉시 성형을 하는 것보다 10∼20시간 전배양을 한 후에 성형을 하는 것이 당화효소의 생산에 좋았고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은 성형을 하지 않은 것이 좋았다. 당화효소 생산의 최적온도도 28℃이었고 단백질분해효소 생산의 최적온도도 28℃이었다. 28℃에서 배양할 때에 당화효소 생산을 위하 최적배양시간은 36∼72시간이었고 단백질분해효소 생산을 위 한 최적배양시간은 36시간이었다.
A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366 was isolated to produce a strong sucrose hydrolyzing enzyme. After entrapment of yeast cell invertase with alginate, enzymatic properties of immobilized cell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ptimum pH of invertase in immobilized cells and non immobilized cells was 6.0 and 5.0, and pH stability of invertase in immobilized cells and non immobilized cells was 6.0 and 5.0, respectively. 2. Activation energy of immobilized cells was 4.7㎉/㏖. 3. The immobilized preparation exhibited high resistance to heat and urea induced denaturation. 4. The bead size less than 2㎜ in diameter was desirable. 5. In spite of repeated use, the enzyme activity of immobilized cells was inhibited slightly in batch reaction, and a small column of the immobilized preparation could hydrolyz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almost quantitatively to more than 6 days.
스톡은 수프와 소스를 만들기 위한 첫 과정으로 수프, 소스 및 주 요리의 맛을 좌우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호박만을 재료로 한 스톡 제조를 위하여 단호박의 첨가량, 물의 첨가량 및 에서의 가열시간 등의 3요인을 독립변수로, 단호박 스톡의 색상, 향, 맛 및 종합적기호도의 4가지 관능적 특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반응표면분석으로 단호박 스톡 제조조건을 최적화하고, 최적 조건에서 제조한 단호박 스톡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단호박 스톡의 최적
구기자 관련종사자들이 구기자의 잠재적 수요를 진작시키게 하는 방법은 첫째, 세계 각지에 생산되는 모든 구기자의 성분을 철저히 분석하고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구기자의 강점을 소비자들에게 투명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구기자 구매자들이 구기자를 구입할 때 어떤 속성을 기준으로 구매하는지도 사전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고 구기자 수요를 창출한다는 것은 매우 미시적 대응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셋째, 구기자의 여러 성분 가운데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구기자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구기자 표준 품종들과 이들의 교배종들의 순과 잎, 열매와 뿌리등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심혈관 질환 예방생리기능성과 노화억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구기자 표준품종들의 생리기능성 가운데, 항산화 활성은 청운품종의 구기순의 메탄올 추출물이 93%로 가장 높았고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은 청양7호의 지골피의 물 추출물에서 84.1%로 제일 높았다. 구기자 교배종의 생리 기능성중 항산화 활성은 명안A-2의 지골피의 메탄올 추출물이 93.1%로 제일 높았고 ACE저해활성은 DO148-72 (A11) 교배종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이 96.9%로 제일 높았다. 그러나 혈전용해활성과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표준품종과 교배종 모두에서 대체로 미약하거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청운 표준품종의 구기순과 명안A-2 교배종의 지골피가 우수한 항산화 자원으로, DO148-72 (A11)교배종의 구기열매가 훌륭한 항고혈압성 ACE저해제 자원으로 각각 기능성 제품생산에 유용하게 활용될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