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3

        202.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0% 알코올을 이용하여 5개월 동안 에서 담금한 매실 리큐르의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산도는 숙성 2개월까지 온도에 관계없이 증가하였으나. pH는 2개월 이후 를 제외한 숙성온도에서는 뚜렷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리큐르의 색도(420nm에서 흡광도)는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전 담금 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매실리큐르의 알코올 농도는 숙성 2개월 이후부터 와 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매실 리큐르의 환원당과
        203.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과 45% 알코올의 담금비 1:1, 1:2, 1:3 (w/v)의 비율로 조절하여 에서 5개월간 숙성시키면서 매실리큐르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산도는 매실의 담금 비율이 증가할수록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pH는 알코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높았다. 색도는 매실의 담금비가 증가할수록, 숙성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짙은 색도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농도는 매실의 담금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숙성 2개월째는 각각 24.3(1:1)
        204.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리큐르 제조시 사용되는 알코올 농도에 따른 숙성 중 매실 리큐르의 품질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산도의 경우, 알코올 농도 30%, 45% 처리구는 숙성 2개월까지는 농도에 관계없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이후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pH와 색상은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액의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숙성 중 polyphenol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높아짐에
        205.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황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서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쌀밥 부패에 관계하는 Bacillus sp. 대한 항균활성과 쌀밥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강황 에탄을 추출물은 쌀밥부패 미생물인 Bacillus sp.에 대하여 뚜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B. cereus와 B. subtilis의 경우 추출물 0.10% 이상에서, B. megaterium는 0.05% 이상에서 뚜렷하게 성장이 억제되었다. 최소성장억제농도(MIC)는 B. cereu
        206.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황 에탄올 추출물은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5,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21541,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73, Salmonella typhimurium ATCC 21541,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그리고 Aeromonas hydrophila KCTC 2358에 대하여 0.05-0.2% 범위에서 뚜렷한 성장억제효
        207.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에서는 품질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에서 저장한 경우 강황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pH는 높고 산도는 낮았으며, 총균수는 2-3 log cycle 적어 저장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조직감은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하여 강황 추출물 첨가구의 hardness, choesiveness, springiness가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농도가
        208.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 희귀식물인 백운산 나도승마 자생지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지의 식생은 전형적인 온대남부의 참나무림으로서 토양습도는 높고, 아고산지역의 평평한 지역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는 동아시아에만 한정적으로 분포하는 나도승마 보전을 위한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장기생태 관측을 통한 연구를 통하여 보전지구로의 지정 등의 보전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09.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 리큐르 제조 후 부산물로 폐기되는 폐매실을 식자원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의 검토하기 위해 폐매실의 첨가가 김치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매실 리큐르 제조후 부산물로 나오는 매실 분쇄 과육을 절임배추 무게에 10%, 20%를 첨가하여 에서 25일간 발효 중 젖산균수, 총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pH와 산도는 PLB 20% 첨가구는 발효 기간 동안 완만한 변화를 나타내어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김치 발효는 지연되는 경향을
        210.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lanning of Nosan Hasuk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ased on rural amenity. The Nosan Hasuk rural village is located in Hyundo-Myun Cheongwon-Gun Chungcheongbuk-Do. For this study, investigate the amenity, make the bill of developing plan, and discuss the problems in rural integrated developing project. The developing plan is composed of basic planning, developing direction, village plans, and details projects. And, indicate the problems of rural integrated developing project those are the main body, standardization of investigated data, and insufficiency of detailed reference.
        211.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량의 선박충돌 해석을 위한 설계선박을 결정하기 위한 선박충돌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확률기반 해석과정을 포함하는 Method II를 이용하여 선박충돌 위험도 해석결과로부터 선박충돌에 대한 설계선박을 선정하였다. 계산연간파괴빈도와 허용기준을 반복 비교하는 해석과정에서는 연간파괴빈도 허용기준의 분배방법이 포함된다. 주탑집중 분배방법이 주탑에 비해 과대평가되는 교각의 설계 수평내하력을 적절히 수정할 경우에는 보다 경제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만, 교량부재의 중요도를 고려한 가중치에 의한 분배방법이 설계인자의 특성들을 정량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선박충돌에 노출된 교각 각각에 대한 선박충돌위험도 평가로부터 교량의 대표 설계선박이 선정되었다. 설계선박은 같은 교량에서도 선박통행량 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212.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i-H pylori 항체를 함유한 면역우유를 에서 30분 열처리한 것과 열처리하지 않은 Anti-H. pylori 항체를 함유한 원유의 면역활성 비교시 99.99(100)%의 면역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상의 열처리에 의해서는 면역 활성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약 50%이하로 감소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열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총균수의 감소율이 증가하였다. Coliform bacteria의 경우는 원유에서 이 관찰되었으나 모든 열처
        213.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 0.1% ] chitosan 용액에 1시간동안 침지시킨 두부를 에서 저장하면서 두부의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의 경우 chitosan 처리구에서 저장 2일째까지 약 1 log cycle정도의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3일 이후부터는 대조구와 chitosan 처리구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의 경우 chitosan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저장 전 기간동안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10^7\;CFU/mL에 도달하는 시점이 대조구에 비해 chitosan 처리구가
        214.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p to recently building are constructed focusing on the convenience of residential condition. However,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s is required for construction as people are spending more time inside buildings and causes of many problems like sick-building syndrome are known due to the noxious gases and polluted air originated from construction materials. Although loess(hwangtoh) is an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 it has limitations in compressive strength far a construction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optimal ratio of loess(hwangtoh) mortar by tests of compressive strength comparing with standard strength of floor finishing mortar and evaluate the usability of loess(hwangtoh) mortar for floor finishing material through an impact test, a cracking test and a abrasion t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86% of loess(hwangtoh) and 14% of inorganic binder is suggested for the optimal mixture ratio of loess(hwangtoh) mortar.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loess(hwangtoh) is suitable for floor finishing material in impact, crack, abrasion.
        215.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월계곡의 소산관속식물은 재배종을 포함하여 1문 4강 3아강 34목 84과 178속 210종 1아종 33변종 4품종으로 총 248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과 우리나라의 남부·중부·북부·울릉도·제주도의 식물대와 공통분포 하는 분류군의 수를 비교하여 보면 남부와는 90.3%, 중부와는 98.0%, 북부와는 79.0% 울릉도와는 62.1%, 제주도와는 73.8%로 각각 나타났다. 한반도의 북부고유분자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중부고유분자식물은 3 분류군. 남부고유분자식물 1 분류군, 중북부고유분자식물 5 분류군. 남중부고유분자로는 23 분류군이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원식물은 식용 118 분류군, 약용 78 분류군, 공업용 46 분류군, 관상용 39 분류군, 목재용 14 분류군 그리고 섬유용 9 분류군과 한국특산식물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전반적인 식생은 참나무류와 철쭉류가 혼생하는 혼효림이라 할 수 있고, 한반도의 식물구계로 볼 때 온대 중부와 남부의 경계지역으로 생각된다.
        216.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actically, it is very hard to investigate the rural villages in North Korea. The Korean rural village in Yanbian is proximate from North Korea and most of inhabitants of the village have been emigrated from Hamgyeong-Do and Pyeongan-Do. In this sense, it can be meaningful to study Korean villages in Yanbian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ward researches of North Korean rural villages. In this study,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yongsan village, Ryongjeong city was studied as a representative korean rural village in Yanbian. The Ryongsan village has been formed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 of North Korea. The case of planning and design is provided through drawings of components for planning of rural villages based on the resul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alysis.
        217.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에서 우리는 대기 대순환 모형을 사용하여 지구 온난화에 따를 육지 대기로의 물 수송 변화를 평가했다. 해양으로부터 육지로의 물 수송 변화량은 지구온난화에 따라 거의 연중 증가한다. 유라시아대륙의 물 수송량은 연중 170∼350106 Mt/day 수준의 증가를 보인다. 아프리카로의 수송은 11월을 제외한 모든 달에 감소를 보이고 특히 8월과 9월에 -350106 Mt/day의 최대 감소를 나타낸다. 유라시아와 아프리카를 제외한 다른 대륙들에의 수송
        218.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체표면에서 분리한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E. coli O157:H7 CDF1와 A. sobria CDF3는 NaCl 4% 이상 농도에서 성장이 억제된 반면 lactic acid 0.1%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 aureus CDF2은 NaCl 농도 4%에 의해 성장이 뚜렷하게 억제되지 않았으나 lactic acid 0
        220.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쇠고기의 위생적 품질을 개선하고자 신선육의 HACCP의 위해 요소로 작용하는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를 도체표면에서 분리하여 이들의 성장특성을 검토하였다. 신선육의 도축처리단 계별 총균수는 세척 후가 세척 전 보다 ~ / 더 높았다. 냉각 후 총균수는 냉각 전보다 ~ / 감소하였고, 수송 후 도체표면의 총균수는 계절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