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21.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액구조 고분자는 일반적으로 전도성, 착체형성, 색, 광학 비선형성, 높은 기체투과도, 광 및 전기 발광 등의 특성을 보인다. 다양한 유형의 전도성 고분자 중에서 폴리(아로마틱 헤테로사이클릭)은 해당 단량체의 화학적 혹은 전기화학적 중합을 통하여 합성되는 주쇄 방향족성 고분자이다. 이들 소재는 발광소자, 화학센서, 수퍼커페시터, 유기 태양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스마트 윈도우 등 다양한 응용 영역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폴리(아로마틱 헤테로사 이클릭)의 합성과 응용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동향을 제시하였다.
        4,000원
        22.
        201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접착제 가장 큰 단점인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용성 첨가제를 개발하였다. 수 용성 첨가제는 diisocyanate 그룹을 가지는 분자들을 아황산수소나트륨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었다. FT-IR 측정 결 과 isocyanate 그룹이 완전히 사라진 것을 볼 수 있었고, DSC의 측정결과는 150℃ 이상의 온도에서 아황산수소나트 륨이 제거되어 isocyanate를 재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된 수용성 첨가제를 본사 제품인 DM-95 접착제 에 0.5 wt% 첨가하였을 때 높은 접착성능 및 향상된 내수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기존의 복잡한 접착 공정을 요구하는 2 액형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생산 공정이 간단한 1 액형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산업 전반에 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3.
        201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VA 부직포의 방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OCl3로 방염처리하였다. POCl3로 처리한 PVA 부직포의 물리적 및 열적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개질한 PVA 부직포는 대부분 물에 용해하지 않았으나 수축과 스웰링 특성을 보 였다. POCl3로 방염처리한 PVA 부직포의 열적 특성이 우수하고 방염특성이 원시료 보다 많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라프트 비와 염색성 사이의 선형관계는 PVA 부직포의 히드록시기와 POCl3가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것에 기인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24.
        201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성능 복합재료는 기존의 소재에 비해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보이며 특히 높은 비강도를 보인다. 복합재료 의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는 이들의 독특한 화학반응성, 경화반응에 사용되는 경화제의 적절한 조합으로 많은 다양한 특성을 보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고성능 복합재 구조물 제작에 사용되어온 에폭시 수지 시스템을 소개 하고자 한다.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와 프리프레그 제조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의 조성과 특 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4,000원
        25.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성능 복합재료 제조에 사용되는 고온경화용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성형성을 연구하였다. 테트라글리시딜 메틸렌 디아닐린계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조성과 화학구조를 여러 가지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확인하였다. 이 수지 시스템은 보통의 작업온도 조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상승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 경화 모니 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선정한 수지 시스템의 경화거동을 연구하였다.
        4,000원
        26.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분자 주쇄가 공액구조를 갖는 고분자는 일반적으로 전기전도성, 비선형광학특성, 기체투과성, 자기성, 광 및 전기발광 등의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공액구조 고분자의 이러한 특성을 근간으로 유기발광소자, 유기태양전지, FET, Schottky 다이오드, 배터리, 화학센서 등에서 중요한 소재로 이용되어 오고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의 공액 구조 고분자가 설계되었는데, 특히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구조 내의 많은 부분이 이온화가능하거나 이온성 부분을 갖는 분자량이 큰 물질을 말한다. 본고에서는 공액고분자 전해질의 분자설계와 합성, 더 나아가 이들의 응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제시하였다.
        4,000원
        27.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2-디브로모에탄을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중합을 통하여 이온성 전도성 고분자를 높은 수율로 합 성하였다. 합성한 고분자의 분자구조를 여러 가지 분석장비로 측정한 결과 설계한 N-(2-브로모에틸)피리디늄 브로마 이드를 갖는 공액구조 고분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고분자의 UV-Visible스펙트럼에서는 800 nm 까지 흡수 피 크를 보여주는데, 이는 공액구조 고분자의 π→ π* 전이에 기인한 것이다. 아울러 고분자의 전기전도도 및 전기광학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 고분자는 도핑과 탈도핑 사이에서 매우 안정한 비가역 전기화학적 거동을 보였다.
        4,000원
        2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in Korea various kinds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have been imported and used as a raw material to manufacture foods and livestock feeds, but the different social concerns about the benefits and the potential risks of GM crops are being shown with a different reaction from the public. Thus a persistent management is required for the safe uti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PCR analysis of transgene into crop is generally performed for the efficient post management of GMOs. The most important prerequisite for the application of nucleic acid detections is to decide the effective DNA-extraction method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processed feeds, the nucleic acids of which may be damaged by heating, high pressure, pH treatments, fermentation, etc. in processing, DNA must be extracted with high sensitivity from the samples to perform the PCR successfully. In this study, seven of DNA-extraction methods used commercially and non-commercially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yields and quality of DNA extracted from livestock feeds and those crop materials. Amounts of genomic DNA obtained from the extraction methods varies according to feed configurations and crop materials. The DNA yield and uniformity of samples extracted with PG, CTAB, and QF method is greater than that obtained from other extraction methods. In the DNA integrity of the selected extraction methods, PCR analysis showed distinct amplifications and similar patterns in detecting crop endogenous genes and GMO genes. These results would be applicable for the selection of an adequate DNA-extraction method in extracting processed feeds and/or crop materials.
        4,000원
        29.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질량비의 SiO2, Hollow SiO2 나노 파티클들을 Poly(methylmethacrylate) (PMMA) 용액에 분산하여 OLED 내부 광추출용 산란층을 제작 하였다. 구형의 실리카 나노 파티클들은 약 300 nm의 평균 입자 사이즈를 나타내었다. 실리카 나노 파티클 고분자 분산액은 스핀코팅을 통하여 기판위에 코팅 되어 제작되었다. 내부가 비어 있지 앉은 SiO2 나노 파티클 산란층의 경우 높은 산란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30wt%, 588 nm, Haze 0.37) Hollow SiO2 나 노 파티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산란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 wt%, 588 nm, Haze 0.16). 하 지만 Hollow SiO2 나노 입자의 경우 매우 낮은 back-scattering으로 인한 높은 투과 특성을 나타내었다 (30 wt%, 588 nm, 85%). 또한 입자의 함량 증가에 따른 투과도의 감소와 산란의 증가 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30.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dO와 황의 사용량을 달리하며 콜로이드상태의 CdS 양자점 물질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물질의 흡 수 및 발광스텍트럼으로 볼 때 약 1:3의 몰비 이하에서는 사용량에 관계없이 동일한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이 로부터 반응물질의 사용량 비율에 관계없이 약 3.6nm 크기의 동일한 양자점 입자가 만들어짐을 확인할 수 있 었다. 1:9의 반응비율에서는 의미있는 흡수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었으며 발광스펙트럼의 모양도 매우 달라 앞 의 경우와 동일한 물질의 형성이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로부터 CdS 콜로이드 양자점 물질의 합성은 반응 물질의 사용량에 크게 의존하지 않으며 그 비율이 너무 큰 경우에는 반응 자체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볼 수 있 다.
        4,000원
        31.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차세대 조명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로서의 상용화에 이미 성공하였고, 대체 조명 시장에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OLED의 급격한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OLED의 유 기층/투명전극과 기판에서 발생하는 내부 전반사에 의해서 일반적인 OLED의 외부 광자 효율은 현재 20~30%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효율의 OLED의 구현을 위해서는 고성능의 광추출 구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 다. 내부 광추출 구조를 소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소자의 누설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광추출 구조의 표면 거칠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ZnO 나노파티클-투명 고분자 복합 구 조의 광추출 구조를 쉬운 제작 방법으로 구현하였으며, 나노파티클의 분산에 따른 광추출 구조의 광학적 특성 및 표 면 구조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4,000원
        32.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 M, Y, K 색상의 출력물에 대하여 20°, 60°, 85°의 고정된 각도를 사용하는 상용 광택계를 이용하 여 광택값을 측정하고 이 결과를 전각 측각 광택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BDRF와 비교하였다.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도 상용광택계로 측정한 광택값은 사용한 각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며 BDRF 곡선의 전체 면적과 최 대높이와 비교하였을 때 입사각이 큰 85°에서의 측정값이 가장 유사한 값의 변화를 보였다. 다리미를 사용하 여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퓨징작업을 한 후 광택을 측정하니 BDRF의 최대값은 입사각이 작은 20°에서의 측 정값과 가장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DRF의 면적은 85°에서의 측정값과 가장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 다.
        4,000원
        33.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구조물용 고 종횡비의 외팔보 제작을 목적으로 초임계 이산화탄 소를 사용한 건식 식각 실험을 진행하였다. 건식 식각 실험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50% 불산 (HF) 원액과 공용매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희생 실리카 층을 식각하여 드러난 MEMS 외팔보 빔 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HF원액을 사용한 건식 식각 실험은 종횡비 1 : 150의 외팔보 빔까지 기 판과 접착없이 단독으로 서 있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공용매로 메탄올과 에탄올을 사용한 건식 식각의 결과에서는 종 횡비 1 : 75 까지 접착없이 제작할 수 있었고, 이소프로필 알콜을 공용매로 첨가한 실험 결과에서는 종횡비 1 : 37.5 까지 접착없이 제작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건식 식각과정에서 알콜계 공용매의 첨가는 대체로 식각 성능을 저 하시킴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박 흰가루병은 호박 재배에서 중요한 병중의 하나이다. 호박 흰가루병 발생을 억제한는 최선의 방법은 흰가루병 저항성 유전자원의 선발과 이를 이용한 저항성 품종의 육성 일 것이다. 본 연구는 호박 생산에 걸림돌이 되는 흰가루병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저항성 품종 육성하고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보존되고 있는 유전자원으로부터 흰가루 저항성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흰가루병 저항성 평가를 위해 248점의 유전자원을 흰가루병에 감염된 잎을 가지고 접종하였으며 비닐하우스에서 접종 한달 후에 평가하였다. 호박 흰가루병 저항성으로 Cucurbita maxima 3점과 Cucurbita moschata 1점이 선발되었으며, 5점이 중도저항성으로 평가되었다. 흰가루병 저항성 정도는 표피세포와 큐티클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표피세포와 큐티클층의 두께가 흰가루병균의 침입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저항성 자원 4점은 흰가루병 저항성 육종의 재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5.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 종횡비 MEMS 구조물의 습식 공정에서 세정 이후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 종횡비의 MEMS 구조물의 건조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MEMS 구조물 습식 제조방법의 세정은 HF/water에서 식각된 cantilever beam을 isopropyl alcohol (IPA)로 치환하여 진행되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IPA의 제거율은 VOC 분석법을 통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측정 되었고, 건조된 cantilever beam은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자연 건조를 통한 방법으로는 종횡비 1:15의 cantilever beam까지 stiction 없이 제조할 수 있었으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MEMS 구조물의 건조는 기존의 건조방법 보다 고 종횡비를 가지는 1:75의 cantilever beam까지 stiction 없이 제작할 수 있었다.
        4,000원
        3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동 내 난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난류격자를 사용한 수동적 방법이나 난류발생장치를 활용한 능동적 방법을 활용한다. 그 중 격자에 의한 방법은 상대적으로 손쉽게 다양한 크기의 난류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격자에 의해 생성된 난류의 강도는 격자요소의 크기, 격자요소의 간격, 격자로부터 측정점까지의 거리에 좌우된다. 단일 격자요소에 의해 발생된 난류에 대하여 세 가지 요소의 효과를 먼저 분석하였다. 격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격자요소 간의 간격이 가까워질수록, 그리고 격자로부터 측정점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난류강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1m의 폭을 갖는 풍동에서 측정점 기준 좌우 350mm 내의 범위에 대해 측정된 난류는 적정 수준의 균질성도 확보하고 있었다. 교량 거더의 연직 와류진동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수준의 연직 난류강도를 2.5%로 보고 이와 같은 낮은 수준의 난류강도를 구현할 수 있는 격자를 제작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파악된 현상 등을 제시하였다.
        4,000원
        3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외화부채의 사용이 기업가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유가증권시장기업을 대상으로 외화부채 조달기업과 이에 대응하는 원화부채 조달기업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화부채사용기업의 기업가치는 원화부채 사용기업의 기업가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의 가치가 상승하던 2002년-2006년 기간에도 기업가치 상승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세계금융위기가 있었던 2007년-2009년 기간에는 기업가치의 감소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달러 이외의 외화부채의 경우는 기업가치 감소가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달러부채의 경우와 대조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업의 외화부채 사용이 기업가치 증가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지지하고 있다. 기업특성과 부채비율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화부채의 결정요인과 원화부채의 결정요인은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외화부채와 원화부채의 결정요인은 기간과 기업의 특성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다. 투자활동과 부채를 통한 자본조달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기에는 외화부채 조달을 통해, 후반기에는 원화부채 조달을 통해 투자활동에 필요한 현금을 준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5,800원
        38.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임계 건식 식각 공정에서 HF수용액을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녹인 식각용액을 사용하여 희생막으로 사용되는 테트라에톡시실란막 (TEOS막) 층에 대한 식각성능을 조사하였다. HF에 대한 물의 조성에 따른산화막 식각률의 비교를 통하여 식각에 가장 효과적인 비율을 조사하였다. 50 wt%의 HF수용액을 이용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TEOS막의 건식식각을 진행 할 경우, 990nm/min의 높은 식각속도와 잔여물이 전혀 남지 않는 우수한 식각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3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노출을 결정하는 기업의 기본적인 영업활동을 이용해 예측환노출을 계산하고 이를 주가수익률을 사용해 계산한 관찰환노출과 비교분석해 환노출관리 활동과 환노출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관찰환노출의 환노출 정도는 예측 환노출의 환노출 정도보다는 낮게 추정되었다. 그러나 환노출관리가 필요한 수준보다 많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환노출관리와 관련해서는 예측환노출계수가 양수인 기업은 파생상품거래와 해외 관계기업과의 내부거래를 이용해 환노출을 관리하며, 예측환노출계수가 음수인 기업은 가격전가를 활용해 환노출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가 지분을 많이 보유할수록 환노출관리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예측환노출계수가 음수인 기업의 경우 해외기업과의 내부거래와 국내기업과의 매입내부거래 등은 환노출정도의 감소와는 반대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한국 기업들이 외화표시부채를 영업활동으로부터 발생한 환노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증거를 확인할 수 없었다. 금융파생상품거래는 예측환노출계수가 양수인 기업들만이 환노출관리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환율이 급등할 때 기업가치가 급락하는 환노출 즉, 환노출이 음수인 경우의 환노출관리 필요성을 고려할 때 환노출이 음수인 경우 가격전가만으로 환노출에 대처하는 한국 제조기업들의 환노출관리 특성은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환노출관리와 관련이 있는 변수들이 기업의 환노출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예측환노출의 방향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환노출 특성 분석 및 환노출관리를 주제로 한 연구에서 예측환노출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7,800원
        4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마토의 토양 수분결핍조건에서의 생장과 생리적인 반응을 근본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토양에 두가지 수분조건, 심한 수분결핍(-100kPa)과, 대조구인 약한 수분결핍 처리(-25kPa)는 실시간 토양수분함량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토양센서와 관수 모듈을 갖춘 micro-irrigation 시스템을 고안, 온실에서 유지되었다. 토양수분함량은 30일동안 변동되었으며, -25kPa로 맞춰진 처리구는 평균 -47kPa, -100kPa 처리구는 평균 -119kPa로 차이를 나타냈다. 이 두 가지 다른 토양수분상태에서 자란 식물체 사이의 생육을 비교해 본 결과 수분결핍상태(-100kPa)에서 자란 식물체가 대조구인 약한 수분결핍(-25kPa) 처리구에 비해 절간수의 차이없이 신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건물중의 축적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건물중 당 엽면적의 차이 없이, 엽면적과 엽건중이 수분 결핍이 약한 처리구에 비해 수분결핍이 심한 처리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생육상의 차이는 심한 수분스트레스가 엽두께의 변화없이 생체중의 증가와 엽면적 확보를 통해 토마토의 수분스트레스에 적응을 야기시킬 수 있음을 제시했다. 수분결핍에 따른 토마토 생육기간동안, 생리적변화를 조사한 결과, -100kPa 처리구에서 자란 토마토가 대조구인 -25kPa 처리구에 비해 엽의 상대수분함량의 증가와 잎의 삼투압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수분스트레스아래서 토마토의 더 나은 수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생리적인 적응을 설명해준다. 아울러 심한 수분스트레스는 대조구에 비해 PSII 활성과 수분활용도를 증가되었으며, 낮은 기공저항도를 나타내었다. 처리간의 광합성의 차이는 없었으며, 토마토 과실의 수와 생육량의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토마토 'Picco'가 엽형태의 변형과 삼투압, 수분활용도와 PSII의 활성을 통해 수분결핍상태에서 적응할 수 있게 만들 능력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토마토의 수분스트레스 적응 메커니즘은 토마토의 가뭄저항성 스크린에 있어서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