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1.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evidence for a niche strategy for small and medium online shopping malls to run business against large famous shopping malls prevailing the E-commerce market. For thi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how chronic construal levels of consumers may affect their alternative choice for online shopping via various contexts (Experiment 1-3) and categories (Experiment 3-5). This series of experiments suggests that consumers with high construal level can be defined as a group that is relatively less susceptible to reputation of the shopping malls. Thus, strategically targeting this group of consumers will help small and medium-sized online malls lacking store reputation to mitigate their competitive disadvantage. Based on both existing literature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as above, this research discusses possible methods for small and medium-sized online shopping malls to target high-construal segmentation.
        2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fuse-derived fuel (RDF) produced using municipal solid waste was pyrolyzed to produce RDF char. For the first time, the RDF char was used to remove aqueous copper, a representative heavy metal water pollutant. Activation of the RDF char using steam and KOH treatments was performed to change the specific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the metal cation quantity of the char. N2 sorp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CP-AES),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char. The optimum pH for copper removal was shown to be 5.5, and the steam-treated char displayed the best copper removal capability. Ion exchange between copper ions and alkali/alkaline metal cations was the most important mechanism of copper removal by RDF char, followed by adsorption on functional groups existing on the char surface. The copper adsorption behavior was represented well by a pseudo-second-order kinetics model and the Langmuir isotherm. The maximum copper removal capacity was determined to be 38.17 mg/g, which is larger than those of other low-cost char adsorbents reported previously.
        4,000원
        23.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술 후 체액 저류는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로 이로 인해 사망률과 재원 기간이 증가할 수도 있다. 초음파내시경 유도 하 배액은 췌장 가성낭종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수술 후 발생한 체액 저류 치료에 있어서도 성공적인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60세 여성이 한 달 동안 4 kg의 체중감소와 5일 전 부터 발생한 황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 촬영 및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이용한 조직검사를 통하여 총담관암이 진단되어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2주째 발열, 복통, 백혈구 증가의 임상증상을 보였다. 진단을 위해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소낭의 위오목에 체액저류가 증가하여 내시경적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이후 합병증 없이 증상이 호전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한 체액 저류를 내시 경적 배액으로 치료한 증례가 보고된 바 없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24.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은 점액 생성과 췌관의 현저한 확장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유두상 종양이다. 드물게 주위 인접 장기와 누공을 형성한 췌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에 대해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약 6예만이 보고가 되었다. 61세 남성이 6개월 동안 15 kg의 체중감소와 한 달 전부터 발생한 황달, 식욕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췌장의 몸통과 꼬리 부분은 다방성 낭종으로 대체되었으며 췌-십이지장루를 동반하였다. 췌-십이지장루의 입구로 점액이 배출되고 있었고 누공의 입구와 누공을 통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염증세포만 나왔다. 병리진단을 위하여 일반적인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누공을 통하여 삽입하여 췌관 내부를 관찰하였고 융모성 병변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서 췌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을 수술 전에 진단하고 이후 췌장의 전절제술을 시행하여서 환자를 치료하였다. 누공을 통한 췌관경 검사가 수술 전 조직검사로 췌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을 진단하고 환자의 수술 결정에 도움을 주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2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ti-tumorigenic, anti-hypertensive, anti-thrombic, anti-diabetic, and anti- inflammatory properties of 18 different species of genus Pleurotu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amino acid, β-glucan, and polyphenol contents were also measured. The β-glucan and polyphenol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Pleurotus cornucopiae var. citrinopileatus (yellow Pleurotus) of all species. The yellow Pleurotus also exhibited the highest physiological activity as assessed by the DPPH IC, Cytotoxic activity, ACE activity and so on. To confirm the mechanism for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yellow Pleurotus, we performed further examinations within ICR mice. The yellow Pleurotus reduced glucose,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in the ICR mice blood for 4 weeks after feeding, and also significantly lowered both GOT and GPT levels. Taken together, our data indicates the yellow pleurotus is a promising functional food ingredient.
        27.
        201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A. distichum) leaves that were prepared via air-drying. Fresh and air-dried A. distichum leaves were examined via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measurements of the reducing power. The suppression effects on inflammation of the leaves were analyzed by a western blot and RT-PCR on LPS-induced RAW 264.7 cells. As a resul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esh leaves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air-dried leaves. Also, the fresh leaves were more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protein and mRNA levels of iNOS and COX-2 than the air-dried leaves, thereby indicating the better anti-inflammatory effect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acteoside were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eoside content decreased with the use of the air-drying method,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d that fresh A. distichum leaves potential antioxidant and suppression activities of various factors that are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NO, which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of air-dried A. distichum leaves. These biological activities were also found to be independent of the content of phonolic compounds and were assumed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of acteoside.
        2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o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variation of Ixeris dentata on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oducing area. Methods and Results : The samples were extracted with 70 % EtOH and then analyzed for total flavonoid contents, polyp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uteinol 7-O-β-D-glucoside, an index component of the Ixeris dentata, was analyzed by HPLC. The leafs of Ixeris dentata in Jinan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olyphenols (23.91 ㎎/g), followed by Jinbu (22.63 ㎎/g) and Eumseong (21.36 ㎎/g).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in Jinan (15.27 ㎎/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inbu (14.05 ㎎/g) and Eumseong (13.99 ㎎/g). The contents of luteinol 7-O-β-D-glucoside were confirmed in Jinan (0.68%), Jinbu (0.49%) and Eumseong (0.36%),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Ixeris dentata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oducing area, Jinan was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followed by Jinbu and Eumseong.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luteoline-7-D-glucoside varied among the different producing area.
        2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도시 인구의 증가에 따라 하수 및 분뇨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에는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수처리를 위한 다양한 공정에서는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bioaerosol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하수 및 분뇨에 포함된 병원성 박테리라 등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호흡을 통해 하수처리장의 근무자 및 주변 주민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으므로, bioaerosol의 발생 특성 및 감소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현실이다. 하수처리공정 중 bioaerosol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환경으로는 활성 슬러지 공정이 있으며, 폭기조에서의 대량 폭기로 인한 높은 농도의 bioaerosol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재래식 활성슬러지 공정(CAS,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보다 소요 면적이 적고, 고농도의 미생물 농도를 유지하고 있어 수질 처리 효율이 좋은 호기성 MBR(Membrane bioreactor)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호기성 MBR은 고농도의 미생물 농도 유지 및 멤브레인의 파울링 감소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공기 폭기를 유지해야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bioaerosol의 발생이 한정된 공간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호기성 MBR의 특성상 운전 조건에 따라서 반응기 내 미생물의 농도 및 특성이 달라질 것이며, 이에 따라 bioaerosol의 발생량 및 특성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하수처리 과정 중 호기성 MBR 공정에서의 bioaerosol 발생에 관한 연구가 전무하며, 이에 대한 기초 연구 및 발생량 감소를 위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MBR 공정에서 운전 조건에 따른 반응기 내 미생물 농도 및 특성을 확인하고, bioaerosol 발생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bioaerosol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고자 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