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15

        21.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the acceptance criteria for low-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cave disposal facilities of Korea Radioactive Waste Agency (KORAD) were revised, the requirements for characterization of whether radioactive waste contains hazardous substances have been strengthened. In addition, As the recent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otice (Regulations on Delivery of Low- Medium-Level Radioactive Waste) scheduled to be revised, the management targets and standards for hazardous substances are scheduled to be specified and detailed. Accordingl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needs to prepare management methods and procedures for hazardous substances. In particular,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chemical requirements (explosiveness, ignitability, flammability, corrosiveness, and toxicity) contained in radioactive waste, it must be proven through documents or data that each item does not contain hazardous substances, and quality assurance for the overall process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adioactive waste that will continue to be generated in the future, KAERI needs to introduce a management system for hazardous substances in radioactive waste and establish a quality assurance system. Currently, KAERI is thoroughly managing chelates (EDTA, NTA, etc.), but the detailed management procedures for hazardous substances related to chemical requirements in radioactive waste in the radiation management area specified above are insufficient. The KAERI’s Laboratory Safety Information Network has a total periodic regulatory review system in place for the purchase, movement, and disposal of chemical substances for each facility. However, there is no documents or data to prove that the hazardous substances held in the facility are not included in the radioactive waste, and there are no procedures for managing hazardous substa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ocedures for the management of hazardous substances, and we plan to prepare management procedures for hazardous substances so that chemical substances can be manag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at each facility during preliminary inspection before receiving radioactive waste. The procedure provides definitions of terms and types of management targets for each characteristic of the chemical requirements specified above (explosiveness, ignition, flammability, corrosiveness, and toxicity). In addition, procedure also contains treatment methods of radioactive waste generated by using hazardous substances and management methods of in/out, quantity, history of that substances, etc. As the law is revised in the future, management will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levant procedures. In this study, we aim to present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procedures being established to determine whether radioactive waste contains hazardous substance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the notice and strengthened acceptance criteria. Through this, we hope to contribute to improving reliability so that radioactive waste could be disposed of thoroughly and safely.
        22.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operties of bentonite, mainly used as buffer and/or backfill materials, will evolve with time due to thermo-hydro-mechanical-chemical (THMC) processes, which could deteriorate the long-term integrity of the engineered barrier system. In particular, degradation of the backfill in the evolution processes makes it impossible to sufficiently perform the safety functions assigned to prevent groundwater infiltration and retard radionuclide transport. To phenomenologically understand the performance degradation to be caused by evolution, it is essential to conduct the demonstration test for backfill material under the deep geological disposal environment.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suggest types of tests and items to be measured for identifying the performance evolution of backfill for the Deep Geological Repository (DGR) in Korea, based on the review result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ology conducted for the operating license application in Finland. Some of insights derived from reviewing the Finnish case are as follows: 1) The THMC evolution characteristics of backfill material are mainly originated from hydro-mechanical and/or hydrochemical processes driven by the groundwater behavior. 2) These evolutions could occur immediately upon installation of backfill materials and var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backfill and groundwater. 3) Through the demonstration experiments with various scales, the hydro-mechanical evolution (e.g. advection and mechanical erosion) of the backfill due to changes in hydraulic behavior could be identified. 4) The hydro-chemical evolution (e.g. alteration and microbial activity) could b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fully-saturated backfill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 Given the findings, it is judged that the following studies should be first conducted for the candidate backfill materials of the domestic DGR. a) Lab-scale experiment: Measurement for dry density and swelling pressure due to saturation of various backfill materials, time required to reach full saturation, and change in hydraulic conductivity with injection pressure. b) Pilot-scale experiment: Measurement for the mass loss due to erosion; Investigation on the fracture (piping channel) forming and resealing in the saturation process; Identification of the hydro-mechanical evolution with the test scale. c) Post-experiment dismantling analysis for saturated backfill: Measurement of dry density, and contents of organic and harmful substances; Investigation of water content distribution and homogenization of density differences; Identification of the hydro-chemical evolution with groundwater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directly used to establishing the experimental plan for verifying performance of backfill materials of DGR in Korea, provided that the domestic data such as facility design and site characteristics (including information on groundwater) are acquired.
        23.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uring PIV (Physical Inventory Verification), the IAEA has been inspecting the CANDU-Type spent fuels using an optical fiber-based scintillation detector. KINAC has developed a new verification instrument to deal with problems of the existing one such as low sensitivity, heavy and large dimension, and inconvenience-in-use. Our previous studies focused on how to develop the new instrument and had not included its performance tests. Field tests were carried out recently at Wolsung unit 4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and new instrument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background noise produced in the optical fiber signal cable itself. The verification equipment for the CANDU-type Heavy Water Reactor spent fuels uses a scintillation detector to bond a scintillation material to the end of an optical signal cable. At this time, the radiation signal obtained by a data acquisition system is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scintillator (p-terphenyl organic scintillator) and the optical signal cable ; The signal produced in the optical cable itself is background noise to degrade the spent fuel verification equipment. To characterize the background radiation noise, the spent fuel bundles at Wolsung Unit 4 were measured using the optical fiber cable without the radiation scintillator. This signal is generated by reaction of the optical cable and the radiation emitted from the spent fuel. From experimental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background noise signal of the optical cable increased as the optical cable went down in the downward direction, because the cable length irradiated by the radiation increased with the optical cable area in the spent fuel storage pool. Difference in the background noise signal was dependent on the loca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ignal of the new optical cable was up to about 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cable. While, the new cable has the cross-section area about 3.2 times larger than the old cable. Our past studies showed that total signal amplitude – sum of signals generated from the scintillator and optical fiber - of the new verification instrument was at least about 15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existing one. Considering the total signal and background noise signal, from this measur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cintillator characteristics – in particular, light output and decay time – has a dominant impact on the signal sensitivity of the newly developed instrument. More details will be discussed at the conference.
        2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bfamily Acronictinae is established by Harris in 1841 based on the type species, Acronicta leporina.. In the Korean penisula, the acronictine moth Acronicta cuspis was initially reported by leech in 1889, and a total 45 species have been recorded to date. This brief overview cover adult and larval morphology, as well as ecological data, for more profound comprehension of the Acronictinae.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direction could involve conducting a phylogenetic analysis and clarifying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s within the subfamily.
        2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가에서 곤충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프로그램의 개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곤충 돌보기 중심의 치유프로그램과 더불어 활용할 수 있는 야간 곤충채집 활동을 치유농업프로그램으로 개발하 고 시범 적용하였다. 야간곤충채집 활동은 대학생 9명에게 사전에 참여 동의를 획득하고, 전남대학교 학술림(장성)에서 1박 2일간 진행하였다. 18시부터 24시까지 야간 채집 활동과 익일 오전에는 채집한 곤충을 이용한 곤충 표본 제작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사전 (활동 전), 중간(채집활동 직후), 사후(표본제작 직후)에 뇌파, 맥파 검사 그리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뇌파 분석 결과, 야간 채집활동 직후 뇌파의 기초율동이 향상(10.67→11.44)하였다(p<0.05). 요인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분석 결과, 내적 스트레스는 3.22(사전)→2.96(사후)로 감소(p<0.1)하였고, 문제 수행능력 관련 스트레스는 2.92(중간)→2.70(사후)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야간 채집 활동 속에 서 이용되는 근육의 움직임이 뇌 기능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참여자가 적은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연령대별, 성별 등 다양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채집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2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총채벌레가 매개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로 고추 등 여러작물에서 심각 한 피해를 준다. 노지고추에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발생 경감을 위한 총채벌레 방제시기를 설정하고자 시기별 총채벌레 발생량과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2023년 전북 익산 노지 고추포장 에서 청색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총채벌레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4월 상순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여 5월 하순과 6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반면 고추 꽃에서는 정식 2주후부터 꽃당 10마리 이상 관찰되었다. 토마토반점 위조바이러스병은 정식 30일 이후 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노지고추에 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경감을 위하여 총채벌레 방제를 활착 이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 되었다.
        2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 대응과 새로운 소득작물로 아열대작물이 도입되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그린빈은 아메리카 중남부가 원산지인 콩과 작물로 미성숙 꼬투리를 다양한 요리에 이용하는데 최근 수요가 증가하면서 재배면적 이 확대되고 있다. 새로운 작물이 도입됨에 따라 안정재배를 위한 방제 대상 해충을 설정하기 위하여 재배시기별 해충 종류와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4월 중순에 파종한 그린빈에서는 생육초기부터 총채벌레 발생이 많았으 며, 5월 하순 이후 발생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7월 상순에 파종한 그린빈에서는 8월 하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피해가 증가하여 9월 상순에 피해엽률이 50% 이상으로 발생이 심하였으며, 응애류와 총채벌 레류 발생이 많은 경향이었다.
        2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차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유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내 진화속을걷 는정원과 부추속전문전시원에 식재된 울릉산마늘의 화분매개곤충을 조사하였다. 2023년 5월 22일부터 6월 2일 까지 꽃이 70% 이상 개화하였을 때 포충망을 활용하여 8일간 곤충을 채집하였고, 각 전시원 별 식생(피도), 기후 (온도·습도·조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진화속을걷는정원에서 피도 60% 온도 26.4℃, 습도 31.5%, 조도 40953.6lx, 화분매개곤충 20과 450개체, 부추속전문전시원은 피도 90%, 온도 25.6℃, 습도 31.6%, 조도 6387lx, 화분매개곤충 15과 196개체로 나타났다. 온도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화속을걷는정원이 채집된 곤충의 다양성과 방문 빈도가 높았다. 시간대별 곤충의 방문 빈도를 비교해본 결과 온도와 조도는 개체수가 증가할 때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2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왕담배나방은 기주범위가 넓은 다식성으로 토마토, 옥수수, 담배, 해바라기, 땅콩, 면화, 콩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며, 장거리 이동성 해충으로도 유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월동번데기의 성충으로 우화모델(2종)를 작성하고 포장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월동 번데기는 휴면을 종료한 후 안점소실 과정을 거쳐 정상의 번데기로 이행되고 비로소 성충으로 우화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첫 번째 모형(모 형 1)은 2단계 휴면후발육 우화모형으로 안점소실에 필요한 적산온도 59.9DD (발육영점온도 15.9℃)와 번데기 발육완료에 필요한 192.3DD (발육영점온도 10.2℃)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 모형(모형 2)은 온도자극 우화모형으 로 17.63℃의 온도자극 이후에 번데기 발육을 개시하는 모형이었다. 적산온도는 단순 평균온도법과 사인곡선법 으로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포장자료와 비교 결과 모형 1에 사인곡선법을 적용했을 때 실측치와 편차가 3일보다 작거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사인곡선법을 적용한 모형 2는 3~6.5일의 편차가 있었다. 평균온도법을 적용한 경우 두 모형 모두 실측치와 편차가 증가하였다. 모형을 활용하여 예측 우화시기와 트랩유살자료를 비교하여 왕담배 나방의 비래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3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level of Metcalfa pruinosa, Halyomorpha halys, and Spodoptera litura was investigated in persimmon tree and bean cultivation fields in 14 cities and counties of the Jeonbuk region in June and July. Metcalfa pruinose was visually inspected, while Halyomorpha halys and Spodoptera litura were investigated by installing pheromone traps and counting the number of captured individuals once, seven days after trap placement. Metcalfa pruinose nymphs occurred in eight cities and counties, which showed an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Halyomorpha halys nymphs had higher occurrences in the plains, with an average count of 5.5. The average count of Spodoptera litura was 26.7, which was lower than the previous year.
        3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열대거세미나방이 2019년 국내에 첫 비래한 이후 매년 비래하고 있으며 옥수수 등에서 피해를 주고 있음에 따라 전북지역 주요 옥수수 재배지역에서의 열대거세미나방 발생양상과 약제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2022년 도에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성충유인량을 조사한 결과 7월 1일 첫 채집되었으며 8월 중순이후 채집량이 증가 하여 9월 중순과 10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11월 상순까지 유인되었다. 2022년과 2023년에 식용 옥수 수 재배지역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유충 피해 조사 결과 6월 수확하는 옥수수에서는 열매피해가 없었으나 9월에 수확하는 옥수수에서는 피해열매율이 30% 이상인 포장들이 관찰되어 재배시기에 따라 피해 정도 차이가 매우 큰 경향이었다. 옥수수 포장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유충 방제를 위해 2~3령기에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를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결과 처리 7일 후 방제효과는 91.7%로 높았다.
        3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변 국가인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등에서 벼멸구(Nilaparvata lugens)와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를 채집하던 중, 벼멸구와 형태가 아주 유사한 이삭멸구(N. muiri)와 벼멸구붙이(N. bakeri), 그리고 흰등 멸구와 형태가 아주 유사한 흰등멸구붙이(S. kolophon), 피멸구(S. vibix) 그리고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가 동시에 채집이 되는 등 형태적 차이점이 거의 없어 전문가도 쉽게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형태가 유사한 상기 멸구류의 종 동정을 확실히 할 수 있는 PCR용 프라이머의 개발을 위해 벼멸구 및 흰등멸구의 미토콘드리아 내 COI 영역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고 종 동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3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의 양봉농가에는 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이상기후 악재와 초비극 상황인 꿀벌 군집 붕괴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으로 인하여 최대 60% 이상의 꿀벌이 폐사하거나 사라지는 등 양봉산업 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원인으로 약해진 꿀벌의 면역력과 봉군 세력을 향상시 키기 위하여 농업부산물 홍삼박을 활용한 화분떡을 자가제조하여 꿀벌 사양 먹이를 통한 봉군 세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가공부산물 홍삼박을 건조하여 130 mesh 이상 초미립자로 분쇄하 였으며, 조사포닌 725 mg 100-1을 함유하였고 화분떡 총중량의 0.5, 1.0, 2.5, 5.0, 10.0%로 첨가하여 완전하게 혼합 배합하여 화분떡을 제조하였다. 분봉벌은 4월 분봉한 봉군으로 이용하였으며, 2달 동안 1주일 간격으로 대조구 화분떡과 제조한 홍삼박 화분떡 5처리구에 급이하여 봉군의 세력을 조사하였다. 사양 먹이로 급이한 화분떡은 30일간 달관조사에서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꿀벌 먹이로 거부반응은 없었다. 봉군 세력 조사로 4월 분봉벌의 봉군은 1매 2갈로 시작하여 약 한 달 후에 6매 봉판으로 증소되었으며, 이때 조사된 봉군별 봉개율은 대조구 55%(100 기준) 대비 홍삼박 0.5~1.0% 처리구는 58~60%로 +(5~9)% 향상되었던 반면, 홍삼박 2.5% 이상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봉개율이 -(9~20)%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화분떡 먹이 소모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 평균 96.9%(100) 소모율 대비 홍삼박 0.5% 처리구는 97.7%로 다소 높았으나 홍삼박 2.5% 이상 처리구에서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주요 말벌류는 벌목(Hymenoptera)의 말벌아과(Vespinae)에 속하는 종들로 10종의 말벌속 (Vespa) 중 8종[장수말벌(V. mandarinia), 꼬마장수말벌(V. ducalis), 등검은말벌(V. velutina nigrithorax), 좀말 벌(V. analis), 말벌(V. crabro flavofasciata), 검정말벌(V. dybowskii), 털보말벌(V. simillima simillima), 황말벌 (V. simillima xanthoptera)]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2003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던 등검은말벌이 급속도로 확산되어 우리나라 양봉산업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충남 주요 양봉지역인 공주, 청양, 논산에서 말벌 유인액을 주입한 포획기를 이용하여 4월부터 6월까지 봄철 출현하는 여왕말벌의 포획된 말벌 류 개체들을 조사하여 분포도와 특성을 알아보았다. 말벌 포획 개체수 조사결과, 등검은말벌의 분포율이 공주 76.3%, 청양 74.1%, 논산 58.0%로 가장 큰 비율을 보였으며, 꼬마장수말벌이 다음으로 공주와 청양지역은 밤나무 숲으로 12.4~16.0%를 보였던 반면, 소나무 숲을 이룬 논산에서는 31.8%로 최대 2.5배 정도 높은 분포 비율을 나타냈 다. 그리고 장수말벌은 5.2~8.6%의 분포율을 보였으며, 다른 지역보다 해발이 높았던 청양지역에서 장수말벌이 많게 조사되었다. 봄철 3개 지역에서 포획된 여왕말벌류의 총개체수(266마리)에 대한 평균 분포 비율은 등검은말 벌 69.5%, 꼬마장수말벌 19.9%, 장수말벌 6.8%, 말벌 2.6%, 그리고 좀말벌 1.1% 순으로 조사되었다.
        3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벚나무류 수목은 생활권 수목(도시공원, 가로수 등)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식재되고 있으며 전라 남도 또한 벚나무류 수목이 가로수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복숭아유리나방은 농업환경 외에도 생활권 녹지공간에서도 벚나무류 수목을 가해하여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생활권 수목과 산림에서의 관련 연구는 그 필요성에 비해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 도 내 생활권 수목을 기주로 하여 발생하는 복숭아유리나방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여 생활권 녹지공간 을 관리하는 기초자치단체들의 효용성 있는 방제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복숭아유리나방의 발생 확인을 위해 육안 확인이 용이한 피해흔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성페로몬 루어와 트랩으로 복숭아유리나방 성체를 유인・채집하였다. 그 결과, 4월 중순 첫 우화를 확인하였으며, 5월 중순과 8월 중순에 2번의 우화 최성기를 확인하여 이때의 유효적산온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채집된 개체들 의 종 확인 및 유전적 다양성 확인을 위해 mitochondrial 내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 염기 서열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3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 2022년 제주도 애월읍 일대에서 콩 해충으로 알려진 콩은무늬밤나방(Ctenoplusia agnata) 성충이 검거세 미밤나방(Agrotis ipsilon)의 성페로몬 트랩에 대량으로 포획되었다. 검거세미밤나방 트랩은 목적 해충에 대한 포획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세 구성 성분, (Z)-7-dodecenyl acetate, (Z)-9-tetradecenyl acetate를 3:1 비율로 고정하고 (Z)-11-hexadecenyl acetate를 0, 1, 6, 10, 15로 각각 비율을 달리한 미끼를 사용하였다. 각 조성별 콩은무늬밤나방 성충 포획수를 비교한 결과, (Z)-11-hexadecenyl acetate가 첨가되지 않은 트랩에서 주당 평균 약 17.96마리로, 가장 많은 수의 개체가 포획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Z)-11-hexadecenyl acetate가 가장 많이 함유된 트랩에서 주당 평균 약 2.5마리로 가장 적은 개체가 포획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Z)-11-hexadecenyl acetate의 비율이 증가할 수록, 포획되는 콩은무늬밤나방의 개체 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거세미밤나방 미끼의 주성분인 Z)-7-dodecenyl acetate는 기존의 콩은무늬밤나방 유인 성분 중 하나이기도 하여 해당 성분의 구성비가 유인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추후에 해당 트랩들과 시판 중인 콩은무늬밤나방 성페로몬 트랩을 설치하 여 포획 양상을 비교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3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Erebidae is acknowledged as a highly diverse group in Lepidoptera. The genus Ischyja Hübner, 1823 has been known from India, Thailand, Laos, Vietnam, southern China, Borneo, and Sundaland, predominantly in the old world tropic region. This research presents identification of two species, which have been in Vietnam for the first time. With these new findings, the total number of Ischyja species has increased to four. We present a checklist of them, including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e newly recorded species.
        3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amulus mikado (Rehn, 1904) is an environmentally problematic species that has recently caused a severe outbreak on the mountainside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sulting in significant damage to forests and causing inconvenience to people in the city centre vicinity. In this investigation, we analysed the genetic diversity through sampling in the outbreak region. The outcomes confirmed the efficiency of COI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the usefulness of haplotype analysis in examining regional variat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