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2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은-고분자 전해질 막에서의 프로필렌/프로판에 대한 순수 기체 선택도 (~10,000)와 혼합기체 선택도(~40)의 큰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였다. 먼저 기체 공급 조건이 혼합기체의 투과도와 분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프로필렌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 막을 통한 프로필렌의 투과도는 감소하고, 프로판의 투과도는 증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 프로판/프로필렌의 선택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프로필렌에 의한 가소화에 의한 것임을 실험적 결과 및 수학적 모델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또한, 압력과 무관한 투과도를 사용하였을 때의 이론적 계산에 의한 막 분리 성능은 실험치와 비슷하게 나왔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4.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진하중파 유사한 반 복 하증에 의한 철금 콘크리 프 부재의 설제 거동을 재생키 위한 해석적인 이력 모덴블 제시하였다. 특 히 RC 샤재의 동적거동의 증요한 현상뜰언 강성서하, 강도저하 그리고 전단 영향등의 해석 모 덴 올 소개하였으며 제안된 이력모덴의 정 확성 및 사용성 동 의 평가플 위하여 설험결과 의 하 중 변위 팍선윌 과 비 j니 분 석 하였다
        4,000원
        25.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내용은 혈간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가 지진 하중을 받을때의 거동에 대하여 관찰한 것 이다. 똑같이 제작된 두개의 시험체에 정적 반복하중과 동적반복하중을 가하여 하중-처집 곡선이나 파괴 성상동에 판하여 차이점을 기록하였다. 동적하중을 받는 시험체의 거동은 내진설계 규준에서일 반적으로 쓰여지는 정적 하중 하에서의 시험체의 거동과는 판이한 양상올 보여주었다. 시험체가 동적 하증을 받을때에는 정적하중올 받을때 보다 @ 극 한하중이 20-25 % 증 가하고 @ 높은 취성을 보이며 @ 균열이 집중되고, @ 휩파괴 보다는 전단파괴현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26.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푸른곰팡이병균의 종의 빈도와 발병환경 및 방제법을 구명코져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Trichoderma koningi, T. lignorum, T. glaucum과 미동정의 1종등 4종의 병원균이 분리되었고 이들의 빈도는 각각 와 이었다. 푸른곰팡이병균은 감자배양액, 왁스만배양액과 리차드배양액에서 생육이 잘 되었으며 중성-염기성배지에서는 생육이 불량한 반면 산성에서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최적산도는 pH4였다. 양송이 수확기간 중 재배사내의 온도는 내외 일 때 본명의 발생이 적었고 수량이 많으며 이상에서는 본병의 발생이 격심하였다. 푸른곰팡이병균은 복토흙 소독시 에서 60분, 혹은 에서 30분간 열처리하므로서 완전히 사멸하였고 퇴비 후발효 과정에서도 사멸되었다.
        4,000원
        27.
        201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잠재적인 생균제제 Lactobacillus plantarum P1201에 의한 유색 소립콩 분말 두유의 젖산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총 페놀릭스와 이소플라본 함량 및 항산화 활성(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 변화를 연구하였다. 콩 분말 두유의 발효 중 pH는 감소하였으나, 산도, 생균수 및 β-glucosidase 활성은 증가하였다.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풍산나물콩이 다른 유색 소립콩보다 함량이 높았다. 발효과정에서 배당체 이소플라본인 daidzin과 genistin 함량은 감소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인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발효 60시간 후 발효된 풍산나물콩 분말 두유의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은 87.37 μg/g and 51.29 μg/g으로 다른 시료들보다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페놀릭스 함량은 다른이 다른 유색 소립콩보다 함량이 높았다. 총 페놀릭스 함량은 색 소립콩 분말 두유의 젖산발효 중 0.44-2.92 mg/g(0 h)에서 1.79-3.03 mg/g(60 h)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끝으로, 발효된 콩 분말 두유는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은 각각 28.7-40.6에서 90-95.3%, 25.1-42.3에서 51.4-82.8% 및 0.73-1.54에서 0.98-1.79(OD593nm)로 증가하였다. 발효된 콩 분말 두유는 유색 소립콩의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28.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roduce fermented soy-powder milk (FSPM)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P1201 and to evaluate its anti-obesity activity. Isoflavon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f unfermented soy-powder milk (UFSPM) and FSPM and were analyzed via high-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as chromatography (GC).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α-glucosidase, α-amylase, and pancreatic lipase were assayed. Their anti-obesity activitie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ir inhibitory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and the expression of mRNAs associated with adipogenesis and lipid metabolism were analyzed via 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quantitative PCR (qPCR). FSPM with L. plantarum P1201 increased the isoflavone aglycones (daidzein, glycitein, and genistein) content and produced CLA in soy-powder milk (SPM), both of which possessed bio-activity. Both UFSPM and FSPM showed dose-dependent inhibitory activity for α-glucosidase, α-amylase, and pancreatic lipase. FSPM, but not UFSPM, suppressed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nd reduced their triglyceride content by 23.1% after treatment with 1,000 μg/mL of FSPM,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nti-obesity effect of FSPM can be attributed to CLA and isoflavone aglycones, which targete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down-regulated lipoprotein lipase (LPL), adiponectin, 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aP2),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cetyl CoA carboxylase (ACC) mRNA. Furthermore, FSPM enhanc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glucosidase and pancreatic enzymes and anti-obesity activi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anti-obesity effect of FSPM persists in an in vivo mouse model of diet-induced obesity.
        29.
        201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oy-powder yogurt (SPY) with enhanced level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and isoflavone aglycone was produced from sprouting high-protein soybeans (HPSs). The fermented steam-HPS sprouts (0 to 4 cm) were fermented (72 h) with Lactobacillus brevis, and the total free amino acids (FAAs) of the formed mixtures were determined to be 79.53, 489.93, 877.55, 780.53, and 979.97 mg/100 mL in the fermented HPS (FHPS), and the fermented steam-HPS with 0 cm (FSHPS-0), 1 cm (FSHPS-1), 2 cm (FSHPS-2), and 4 cm sprouting lengths (FSHPS-4), respectively. The levels of glutamic acid (GA) and GABA were observed to be the highest, 100.31 and 101.60 mg/100 mL, respectively, in the unfermented HPS (UFSHPS-1, 1 cm) and FSHPS-1 sprouts, respectively. Moreover, the total contents of the isoflavone glycoside form de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increasing total levels of isoflavone aglycones after fermentation in FSHPS-0, FSHPS-1, FSHPS-2, and FSHPS-4. The levels of isoflavone aglycones were detected as 350.34, 289.15, 361.61, 445.05, and 491.25 μg/g in FHPS, FSHPS-0, FSHPS-1, FSHPS-2, and FSHPS-4, respectively. While FSHPS-1 exhibited the highest DPPH (63.28%) and ABTS (73.28%)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SHPS-4 contained the highest isoflavone aglycone ratio (81.63%). All in all, the FSHPS-1 mixture prepared in this study exhibited high GABA content and functional prosperity, thereby making it suitable for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soy-dairy industry.
        30.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ntetnts of phenolic acid and isoflavon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oy sauce were compared the soy sauce added bitter melon powder (BMPs). After the fermentation, pHs were decreased from 5.83 (0% BMP), 5.47 (5% BMP), and 5.32 (10% BMP) to 5.28, 5.36, and 5.16 at 90 days, whereas the acidities of soy sauce were increased from 0.06%, 0.07%, and 0.09% to 0.30%, 0.28%, and 0.36% at 90 day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alinities of soy sauce were decreased, while viable cell numbers including Bacillus and yeast were increas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isoflavone-aglycone, and phenolic acid and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or 90 days, while the isoflavone-glycoside contents were decreased. In Particular, soy sauce with 10% BMP at 90 days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glutamic acid (GA, 9,876.09 mg/100 mL)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325.02 mg/100 mL) contents than among other samples. Additionally,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PPH, ABTS, ⦁OH, and FRAP)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soy sauce with 10% BMP at 90 days were shown to be high 96.07%, 97.27%, 59.47%, 1.98%, and 79.96%, respectively.
        31.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절임배추의 유통 중 단기 유통시스템에 따른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에 따른 품질지표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여름철에 제조한 절임배추는 탈수 후 바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에 포장하거나 2% 염수와 함께 포장하여 실온유통시스템(conventional system)과 저온유통시스템(cold-chain system)을 갖춘 1톤 트럭에 각각 구분하여 적재하였으며 약 6시간동안 유통하였다.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변화로 품온, 염도, 산도, pH, 수분감, 일반세균, 젖산균, 대장균,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온유통시스템의 경우 절임배추의 품온은 필름 내 염수포장 절임배추에서 19.57℃, 필름포장 절임배추에서 19.43℃, 저온유통시스템의 경우 필름 내 염수포장 절임배추에서 10.73℃, 필름포장 절임배추에서 12.90℃까지 증가하였다. 염도변화는 저온유통시스템의 경우 변화가 없었으나, 실온유통시스템의 경우 필름 내 염수포장 절임배추와 필름포장 절임배추에서 품온과 각각의 염도변화가 정의 상관성을 보이며 초기에 비해 1.2배 혹은 1.7배 더 높았다. 산도는 저온유통시스템에서 두 가지 포장조건 모두 약간 증가하였다. 실온유통시스템에서 필름 내 염수포장 절임배추의 총 호기성균과 젖산균수가 각각 7.62 log CFU/g 및 6.77 log CFU/g까지 증가하는 동안 필름포장 절임배추는 각각 5.62-5.85 log CFU/g과 4.33-4.83 log CFU/g의 범위를 나타냈다. 그러나 저온유통시스템의 경우 유통시간 증가에 따른 유의미한 미생물학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절임배추 유통 시 저온유통시스템을 이용한 경우 이화학적 품질 유지 및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이며, 실온유통시스템을 이용한 경우 품온 상승에 따른 염도 및 미생물 변화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염도, 총호기성균 및 젖산균은 실온유통시스템 내 품질지표로 이용가능하며, 산도는 저온유통시스템 내 품질지표로 이용가능하다.
        3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 yield is the most important trait in various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Many approaches to improve yield have been tried in conventional agricultural practice and recently biotechnological tools employed for same goal. Genetic transformation of key genes to increase yield is one way to overcome current limitation in the field. We are producing transgenic soybean plants through high efficient transformation method by introducing all gene member with AT-hook binding domain, hoping to obtain manageable delay of senescence. Many transgenic soybean plants are growing in greenhouse and GMO field, and will be evaluated their senescence and any association with yield increase.
        33.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is a crop of importance economically and nutritionally in many parts of the world. Thanks to many new genes brought from genomic research, It is possible to introduce various candidate genes through genetic transformation to see the performance of the genes in field. In our lab, soybean transformations have been tried for last 10 years to probe the possibility of traits improvement by transformation of new gene into soybean. For this purpose, three different genes were transformed into Korean soybean variety, Kwangan. First, the gene that controls early flowering of plant was transformed into Kwangan. Second, a candidate gene for soybean mosaic virus (SMV) resistance was transformed to produce transgenic plants. Third, another candidate gene for drought tolerance was transformed. All the transgenic plants from three genes transformation were produced for their gene insertion and their expression using PCR, qRT-PCR. Further analysis including harvesting seeds is currently undertaken.
        38.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베지클인 glyceryl citrate/ lactate/ linoleate/ oleate를 이용한 수중유형 형태의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에 대해 항산화 효과, 세포 생존력, 단백질과 관련한 효소의 영향, 피부 침투도 그리고 피부에 대한 보습 및 탄력 등의 약용화장품적인 측면에서의 전반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항산화력 및 세포 생존력에 대해선 각각 DPPH법과 MM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에 대한 또 다른 성질은 2D-Page를 이용한 단백질 분석 및 컨포칼, in-vivo 테스트를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은 MMP발현에 관련한 단백질 억제 및 세포외 기질의 분해를 막고 라디칼의 소거에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종전의 레시친을 이용한 나노에멀젼 보다는 새로운 베지클을 이용한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의 피부 침투가 매우 효과적임을 CLSM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28일 동안의 한국 성인 여성 11명을 통한 보습 및 탄력 인비보 테스트에서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tRabG3b and CaMsrB2 genes incorporated into pPZP vetor were transformed to Korean soybean cultivar Kwangan using highly efficient transformation system. AtRabG3b gene plays a positive role in xylem development in Arabidopsis and 64 transgenic plants were produced. CaMsrB2 gene is known to confer drought tolerance in rice and 63 transgenic plants were produced. As a result of PPT leaf painting assay, about 20% of transformation efficiency was observed from 2 times of inoculation. These transgenic plants were confirmed for gene introduction using PCR. Currently, the copy number and the gene expression is investigating using qRT-PCR and RT-PCR. Moreover, 62 lines and 53 lines of T1 seeds from AtRabG3b and CaMsrB2, respectively, were sown in GMO field.
        4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E7 gene incorporated into 3 different promoters including pCKLSL-35S, pCKLSL-TP and pCSENIF was transformed to Korean soybean variety Kwangan using highly efficient soybean transformation system. The gene is known to exhibit a delayed leaf senescence phenotype in Arabidopsis. Fourteen, Fifteen and nine transgenic plants were produced from pCKLSL-35S::ORE7, pCKLSL-TP::ORE7 and pCSENIF::ORE7, respectively. Moreover, transgenic plants were confirmed for gene introduction and their expression using PCR, qRT-PCR and RT-PCR. To identify the transgene insertion events, the analysis of flanking sequence was determined. As a results, T-DNA was integrated intergenically in transgenic line 1 of pCKLSL-35S::ORE7 and line 1 of pCSENIF::ORE7. Currently, flanking sequence analysis with pCKLSL-35S::ORE7, pCKLSL-TP::ORE7 and pCSENIF::ORE7 is carrying out to investigate the stable T-DNA insertion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