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

        4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genus Chrysanthemum, repetitive DNA sequences, the dominant part of a genome, are still to be elucidated. To explore the matter, the present study applied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to the mitotic metaphase chromosome of Chrysanthemum boreale with C0t DNA as probes. Based on DNA re-assotiation kinetics, three kinds of C0t DNA exhibiting different degrees of repetitive nature were fractionated and used as FISH probes to map the repetitive sequences. Signals from all C0t DNAs were successfully observed but their coverage on the chromosomes was different among C0t-1, C0t-10, and C0t-100. C0t-1 FISH signals resulted to have its intensity on the telomeric region and were also dispersed on both chromosome arms except for some distal regions. In C0t-10, signals were observed in all parts of the chromosome with greater intensity around pericentromeric regions. FISH with C0t-100 DNA was observed in bright signals all over the chromosome. Signals of C0t FISH found in this study covered the regions where ribosomal DNAs and telomeric repeats of C. boreale have been distributed (previous report), thus signifying their repetitive attributes. The present results could enhance the efficiency of studying genomes, chromosomes and repetitive sequences of C. boreale and subsequently hasten the realization of the genetic scheme of Chrysanthemum.
        4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LED 파장이 스프레이 국화의 화아분화 및 생육에 미 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스프레이 국화 ‘핑크프라이드’와 ‘예스 송’ 품종에 LED 590, 610, 630, 660, 680nm와 형광등을 정식 후 부터 단일처리일 전까지 40일간 1일 4시간(22-02시) 광중단 처리 하였다. ‘핑크프라이드’의 발뢰소요일수와 개화소요일수는 형광 등(14.9일, 67.7일)과 LED 660nm(14.7일, 66.7일) 처리에서 가 장 길었다. ‘예스송’의 발뢰소요일수는 ‘핑크프라이드’와 유사하 게 형광등(15.0일)과 LED 660nm(15.1일) 처리에서 가장 길었으 며, 개화소요일수는 형광등(53.0일) 처리가 가장 길었고, LED 660nm(51.5일) 처리가 다음으로 길었다. 단일처리일부터 발뢰일 까지의 초장 생장량은 두 품종 모두 형광등 처리가 가장 길었으며, LED 660nm 처리가 다음으로 길었다. 절화장 또한, ‘핑크프라이 드’의 경우 형광등 처리에서 가장 길었고, LED 660nm 처리가 다 음으로 길었으며, ‘예스송’은 형광등과 LED 660nm 처리에서 가 장 길었다. 절화장을 제외한 다른 절화특성에는 처리간의 뚜렷한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스프레이 국화의 화아분화, 개화 조 절 및 초장 생장에는 형광등과 LED 660nm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4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rysanthemums (Asteraceae) are important ornamental crops in worldwide that are well known as commercial valuable cultivars for cut flowers, potted plants, and garden flowering plants. Genus chrysanthemum consisted of 41 species that are mostly distributed in East Asia. Chrysanthemum has diverse ploidy levels with the basic chromosome number of x=9 from 2n=2x=18 (diploid) to 2n=10x=90 (decaploi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is a useful tool for studying the distribution of ribosomal DNAs. In this study, we have confirmed ploidy level by chromosome counting method. The somatic metaphase chromosome numbers were observed 2n=2x=18 in Chrysanthemum boreale, and 2n=6x=54 in C. indicum and C. zawadskii. More detailed Karyotype was constructed based on FISH method using 5S and 45S rDNA probes. Two (2) loci of 5S rDNA signals were detected in interstitial region of long arm chromosome in C. boreale and six (6) loci were in C. indicum and C. zawadskii. All of 45S rDNAs were located in terminal region of short arm chromosome which were visualize in six (6) loci in C. boreale and C. indicum and twelve(12) loci in C. zawadskii. In this study, it was the main topic to perform physical mapping of the location of 5S and 45S rDNA. Three of wild chrysanthemum showed variations in number of ribosomal DNAs.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will help to further study of genome sequencing project in chrysanthemum.
        4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rysanthemum white rust, caused by Puccinia horiana,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fungal diseases in chrysanthemum cultivation worldwide.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resistant breeding, molecular markers linked to chrysanthemum white rust resistance gene were developed in pseudo F1 cross population between ‘Puma White’ as susceptible and ‘Dancer’ as resistant using bulked segregant analysis (BSA). Of 280 RAPD primers (Operon 10 mer), 18 primers found to be polymorphic. After screening of these primers in 20 individual lines, only OPI-13520 was selected as closely linked marker to white rust disease resistance. Based on correspondence between phenotypic resistant level and marker in 187 segregation population,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white rust resistance gene and OPI-13520 marker assumed to be 3.8 cM. For OPI-13520 marker conversion into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marker, the amplified fragment of OPI-13520 was purified, cloned and sequenced. Based on the DNA sequence of OPI-13520, SCAR maker was generated and verified in 20 individual lines used in BSA-RAPD.The results showed SCAR marker could be used to identify white rust resistance in chrysanthemum.
        45.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프리콧스타’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8년에 육성된 FA 아속간 잡종 나리 품종이다. 1999년에 ‘FA97-30 (Raizan × A61)’ 계통을 모본으로 하고, 아시아틱나리 ‘Sgl Pepper’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화주절단수분법(CSM)으로 교배하였다. 교배 6주 후에 미숙 꼬투리를 배주 배양하여 획득한 유식물체를 순화, 양구하여 2003년에 상향개화성이고, 화형이 안정되고 화색이 우수하여 ‘FA03-10’ 계통으로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조직배양에 의한 대량증식, 순화 및 구근생산 과정을 거쳐 생육 및 특성검정을 수행하였다. 2008년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실시한 나리 육성계통 평가회에서 소비자 및 전문가들의 기호성이 높게 평가되어 최종선발 되었다. ‘아프리콧스타’ 품종의 개화기는 6월 하순이다. 초장은 152 cm이상 신장한다. 꽃은 상향으로 개화하고, 화색은 연오렌지색이다. 꽃가루는 불임이다. 꽃의 주년재배를 위해서는 -1.5℃에 구근을 동결 저장하여 정식시기를 달리하여 활용할 수 있다. 다습시기에는 잎마름병의 철저한 방제가 필요하다.
        46.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1997년부터 백색의 내병성 프리지아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초세는 약하나 조생종인 백색 홑꽃 품종 ‘Athene’의 자가교배 실생을 모본으로 하고 내병성이 약한 백색 겹꽃 품종인 ‘Vienna’를 부본으로 하여 2001년 3월 교배를 실시하여 ‘Grace Girl’을 육성하였다. 종자를 파종하여 얻은 실생으로부터 2003년 백색의 조생 겹꽃인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에 걸쳐 생육특성 및 수량 검정을 실시 하였으며 안정성, 균일성, 초세, 절화수명, 및 구근 증식력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Grace Girl’ 이라 명명하였다. ‘Grace Girl’은 백색(RHS, W155D) 다화성 겹꽃 품종으로 잎과 화경의 직립성이 강하고 고성종이며 초세가 강하다. 절화 수확량은 주당 8.3개로 매우 많고 구근증식률도 우수하다. 개화소요일수는 약 135일로 대비품종에 비해 11일 정도 빠르며 포장 내 바이러스의 자연발생이 적어 국내 시설재배 환경에 적합한 품종이다.
        4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1년 거베라 신품종 ‘Purple Queen’을 품종 육성하였다. ‘Purple Queen’은 2007년 절화장이 긴 ‘Selma’와 자주색 반겹꽃 ‘Marathon’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선발된 절화용 품종이다. 꽃은 암갈심의 자주색(RHS RP66B)으로 평균 직경이 11.4 cm인 반겹꽃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은 각각 6.1 cm와 2.3 cm이다. 화경장은 50.3 cm 정도로 매우 길며, 꽃목 직경은 5.0 mm 정도로 굵다. 절화수명은 12.2일로 대조품종에 비해 3일 이상 , 연간 채화량도 51.4본/주로 대조품종보다 4.4본/주 더 많은 다수성 품종이다.
        4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st of cultivated chrysanthemums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have been found to be polyaneuploid with hexaploid, 2n=6x=54, predominant. Cytological studies has shown that bivalent were normally formed and multivalent were rare during meiosis. These meiotic behavior reflected that the chromosome of chrysanthemum paired with its homologue preferentially and diploid-like inheritance was occurring. However, several genetic researches was in contrast to this hypothesis, based on the results of genetic analysi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the mode of inheritance in chrysanthemum is disomic (selective pairing) or hexasomic (random pairing). ‘Dancer’ and ‘Puma White’, and their 94 crossing progenies were genotyped using 84 SSR primers. Alleles of each SSR locus were determined by length of PCR product with fluorescently labeled primers using ABI 3730 DNA Analyzer and GeneMapper 3.0 software (Applied Biosystems). A total of 210 types of alleles were detected in 49 SSR loci (4.29 allele types/locus). The observed segregation ratio of these alleles for 94 crossing progenies showed better fits to hexasomic than disomic. Moreover, based on the genotyping results, the genotypes of ‘Dancer’ and ‘Puma White’ were analyzed as BCDEFF and AACEEE in ChSSR-61 locus, respectively. And the genotypes of PD-33 and PD-51 were analyzed as ABDEEF and ABDEEF, respectively. It means that BDF alleles of PD-33 and BEE alleles of PD-51 were given from ‘Dancer’. If the chromosome is paired preferentially, the B allele would pair with C allele, D with E, and F with E at this locus of ‘Dancer’. But it was found PD-75 as AADEEF without B and C alleles. This is a clear evidence that the mode of inheritance in chrysanthemum is not disomic but hexasomic.
        4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7년 백색 반겹꽃 'Wonder King'과 연녹빛의 백색 반겹꽃 'Ever Green'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초세가 강건한 흑심의 순백색(RHS W155D)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Whiteny'를 품종육성하였다. 꽃의 직경이 11.5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이 각각 7.8 cm와 2.2 cm이었다. 절화장은 52.2cm로
        5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골든센터'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8년에 육성된 절화용 FA 아속간 잡종 나리 이다. 연황색 FA 잡종인 'Migreen'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적색의 아시아틱나리 'Sanzio'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6주 후에 미숙 꼬투리를 채취하여 기내에서 배주 배양하여 2004년 'FA04-24'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2005년부터 조직배양에 의한 대량증식, 순화 및 양구를 거쳐 2007년까지 생육 및 특성검정을 수행하였다. '골든센터'
        5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8년 연분홍색 겹꽃 프리지아 신품종 육성을 위한 목적으로 2003년에 'Michelle'과 'Rossini' 조합의 실생계통 'Pink Jewel'과 'Purple Rain' 품종을 교배하여 연분홍색 겹꽃, 동시개화성 품종 'Pink Ribbon'을 개발하였다. 2003년 2월 교배하여 종자를 획득하였으며,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연분홍색 겹꽃 동시개화성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4년
        5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8년 진분홍색 반겹꽃 프리지아 신품종 육성을 위한 목적으로 2000년에 'Michelle'과 'Rossini' 조합의 실생계통인 'Pink Jewel'과 'White Lace' 품종을 교배하여 진분홍색 반겹꽃, 다화성 품종 'Happy Birthday'를 개발하였다. 2000년 2월 교배하여 종자를 획득하였으며,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진분홍색 반겹꽃 다화성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
        5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6년 밝은 녹심의 백색 반겹꽃 'Himalaya'와 초세가 강건한 흑심의 파스텔 크림색 홑꽃 'Vital'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화색이 밝고 선명하며 초세가 강건한 밝은 녹심의 파스텔톤 분홍색(RHS R48B)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Noble Pink'를 육성 하였다. 꽃의 직경은 11.8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이 각각
        5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6년 분홍색 반겹꽃 ‘Pavlov’와 ‘Patrick’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화색이 밝고 선명하며 초세가 강건한 대륜계통의 연한 황색(RHS Y9C)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Sunny Lemon’을 품종육성하였다. 꽃의 직경은 11.0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이 각각 7.63 cm와 2.59 cm 정도이다. 정식 후 개화까지
        5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렌지크라운’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에 육성된 절화용 FA 아속간 잡종 나리이다. 1995년에 1차 교배로 신나팔나리 ‘라이잔’과 아시아틱나리 ‘A61’ 계통간의 교잡에서 ‘FA97-30’ 계통을 선발하였다. 그러나, 만생종이며, 하엽의 발생이 심각하여 다시 2001년에 ‘A01-187’ 적색 아시아틱나리 계통을 교잡하여 2004년 ‘FA04-27’ 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2005년부터 조직배양에 의한 대량증식, 순화 및 양구를
        5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Prima Donna’ was release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08. The cross was made between ‘Plano’ and ‘Yeonja’ in 2005. Trials were conducted from 2006 to 2008 for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cultivar, including shading cultures in summer and retarding cultures in spring. The natural flowering time of ‘Prima Donna’ is late October, but year-round flowering is possible by photo-periodic control. The cultivar has single type flowers with pink petals, green center and good inflorescence. The growth of plant is very vigorous. The diameter of flower is 7.0cm. The number of flowers per stem and petals per flower are 13 and 42, respectively. Days to flowering under the short day treatment is about 59 and its vase life is 26.1 days in autumn season.
        5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7년 황색 겹꽃프리지아 품종 육성을 위한 목적으로’02년 2월에 ‘Golden Crown’과 ‘White Wing’ 조합의 실생계통과 ‘Yvonne’ 품종을 교배하여 연황색 다화성 품종 ‘Shiny Lemon’을 개발하였다. 2002년 2월 교배하여 300개의 종자를 획득하였으며,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연황색 다화성 겹꽃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에 걸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