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8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e essential oils from Ixeris dentate (Thunb.) Nakai and I. stolonifera A. Gray were investigated.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by hydro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Ninety-thre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I. dentate (Thunb.) Nakai essential oil. Hexadecanoic acid(33.73%)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Z, Z, Z, )-9, 12, 15-octadecatrienoic acid(18.59%), 6, 10, 14-trimethyl-2-pentadecanonel(10.39%) and phytol(5.21%). Ninety-seven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I. stolonifera A. Gray. Hexadecano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39.7%), followed by (Z, Z, Z)-9, 12, 15-octadecatrienoic acid(12.63%), 9, 12-octadecadienoic acid, ethyl ester(12.36%), pentacosane(5.2%) and 6, 10, 14-trimethyl- 2-pentadecanone(3.18%). The volatile composition of I. dentate (Thunb.) Nakai was characterized by higher contents of phytol and phthalides than those of I. stolonifera A. Gray.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I. stolonifera A. Gray can easily be distinguished by the percentage of sesquiterpene compounds against I. dentate (Thunb.) Nakai essential oil.
        4,000원
        97.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구강암의 발생원인 중 하나인 인간유두종바이 러스(HPV)로 불멸화시 킨 구깅 각화세 포(1 HOK) 외 정상 인긴 구강각화세 포 (NHOK) 의 표지자를 비 교 연구하는 것은 정상과 그 전암냉소의 생화학적 및 세 포회 학적 띤호l을 평가히는 적젤힌 모탤이지띤 떤 구된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구강 각화 세 포의 형 질전환을 조절히는 분자적 상태를 연구하기 위 해 익 6000711 의 유전자가 pri nt된 cONA mì croarray를 이용하여 인간 정상 구강각화세 포(NHOK) 와 HPV16으로 불띨회한 각화세 포(J HO K) 간에 유전지 발현을 비교하였다, NHOK외 IHOK세포는 96%의 유전자가 유사한 발현을 보였으며 2배이 상의 발현을 보이 는 경우-는 NHOK가 IHOK에 비해 85개 유전지가‘ IHOK가 쩌OK에 비해 1477H 의 유전자 발현이 u p-regul at i on되 어 총 4%미 만이 발현차이를 보 였고 반복된 hybridì zation 으로부터 얻은 선택된 spot의 Pearson 싱관계수는 074 에서 091로 냐티 났다 NHOK외 IHOK간의 유전자 발현을 기능별로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주요 발현 유전자 그룹을 확인하였는데 세포부착 및 인식 세포주기 초칠인지 세 포자떨사, 전사인지- 성장인자 및 수용기 , 세포골격 및 세 포외기질 단백 . 신호진달 조절자 및 기 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IHOK에서 는 세 포인식 인자 중 endothelin 1, collagen IV, fibronectin , SPR1 이 발현증가 되었고 CK7, POG1"2, F'G1"1"R2가 세 포골격 및 성장인지중에서 upregulation 되었지만 신호전달 인지중 발현증가된 것은 없었고 동일힌 유전자를 나타내 는 cJ ustered gene map을 그릴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힌 Illicroan‘ay를 이 용한 분자학적 표지자 얀구가 구강 임 빌임과정 에서 유전지발현 을 확인히는데 큰 도웅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전자 조절에 의힌 진단 에 후. 치 료의 정획성을 개선시 킬 수 있으리리 여겨진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