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4

        90.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nctional dyspepsia (FD) is a gastrointestinal disorder with diverse symptoms but no structural or organic manifestations. Benachio-F® (herein named ‘BF-1’) is an over-the-counter liquid digestive formulated with multiple herbal extracts, which has been reported to improve symptoms of FD. A total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First, we examined whether BF-1 can modulate the progression of FD through two experimental rat models. A total of three doses (0.3x, 1x, 3x of the human equivalent dose) were used. In the gastric emptying model, both 1x (standard) or 3x (3-fold-concentrated) BF-1 enhanced gastric emptying was compared with that of vehicle-treated animals. In a feeding inhibition model induced by acute restraint stress, treatment with 1x or 3x BF-1 led to a similar degree of restoration in food intake that was comparable to that of acotiamide-treated animals. Among the constituents of BF, fennel is known for its choleretic effect. Thus, we next investigated whether a novel BF-based formula (named ‘BF-2’) that contains an increased amount of fennel extract (3.5-fold over BF-1), has greater potency in increasing bile flow. BF-2 showed a superior choleretic effect compared to BF-1. Furthermore, the postprandial concentration of serum secretin was higher in animals pretreated with BF-2 than in those pretreated with BF-1, suggesting that the increased choleretic effect of BF-2 is related to secretin product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BF-1 can modulate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FD by exerting prokinetic and stress-relieving effects, and that BF-2 has a better choleretic effect than BF-1.
        4,000원
        91.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prepared MIL-101/graphene oxide (GO) composites with various mixing molar ratio of Fe-containing metal– organic frameworks (MOFs) against GO. When synthesizing MOFs, it was possible to synthesize uniform crystal powders using hydrothermal method. MIL-101 consists of a terephthalic acid (TPA) ligand, with the central metal composed of Fe, which was the working electrode material for supercapacitors.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alysis had been done to ascertain microstructures and morphologies of the composites. Cyclic voltammetr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electrodes in 6 M KOH electrolyte. By controlling the metal ligand mole ratio against GO, we prepared a changed MOF structure and a different composite morphology, which could be studied as one of the promising optimized electrode materials for supercapacitors.
        4,200원
        9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lybdenum is used in electrical contacts, industrial motors, and transportation materials due to its remarkable ability to resist heat and corrosion. It is also used to flame coat other met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molybdenum sputtered material, such a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tealth effects on infrared thermal imaging cameras. To this end, molybdenum sputtered samples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density of the base sample and the type of base materials used. Thereafter, the produced samples were evaluated for their surface state, electrical conductivity,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thermal characteristics, stealth effect on infrared thermal imaging cameras, and moistur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infrared thermal imaging, the molybdenum layer was directed towards the outside air, and when the sample was a film, it demonstrated a greater stealth effect than the fabric. When the molybdenum layer was directed to the outside air, all of the molybdenum sputtering-treated samples exhibited a lower surface temperature than the “untreated sample.”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electrical properties following the molybdenum sputtering treatment, it was determined that the film exhibited bett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abric. All samples that were subjected to molybdenum sputtering exhibited significantly reduced electromagnetic and IR transmission. As a result, the stealth effect on infrared thermal imaging cameras is considered to be a better way of interpreting heat transfer than infrared transmiss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ave future applications in high-performance smartwear, military uniforms, and medical wear.
        4,600원
        9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been recognized as a therapeutic tool for various diseases due to its unique ability for tissue regeneration and immune regulation. However, poor survival during in vitro expansion and after being administrated in vivo limits its clinical uses. Accordingly, protocols for enhancing cell survivability is critical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cell therapy is needed. CDDOMe is a synthetic C-28 methyl ester of 2-cyano-3,12-dioxoolean-1,9-dien-28-oic acid, which is known to stimulate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ARE) pathway. Herein, report that CDDO-Me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MSCs and increased colony forming units (CFU) numbers. No alteration in differentiation into tri-lineage mesodermal cells was found after CDDO-Me treatment. We observed that CDDO-Me treatment reduced the cell death induced by oxidative stress, demonstrated by the augment in the expression of Nrf2-downstream genes. Lastly, CDDO-Me led to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RF2. Our data indicate that CDDO-Me can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MSCs by stimulating cell survival and increasing viability under oxidative stress.
        4,000원
        9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프리지아 ‘Sunny Gold’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에서 2010년 노랑색 반겹꽃 프리지아 육성계통 ‘036010’을 모본으로 진노란색 홑꽃 ‘Golden Flame’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11년 진노란색 겹꽃의 향기가 강한 프리지아 계통을 선발하여 품종화 하였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개화 생육특성검을 수행하였으며 핵심수요자의 기호도 평가를 통해 선발되어 2017년 ‘Sunny Gold’ 로 명명되었다. ‘Sunny Gold’는 RHS color chart YO17B의 노란색 겹꽃 프리지아 품종으로 화폭은 6.7cm로 대조품종 ‘Golden Flame’ 6.1cm에 비해 크고, 분지수는 6.5로 다수확성 품종이다. 초장이 101.9cm로 초세가 강하다. ‘Sunny Gold’의 소화수 및 소화장은 각각 13.0개, 9.3cm이며 개화소요일수는 137.7일이다. 이 품종의 절화수명은 약 9일이며 자구번식력은 5.3배로 대조 품종 ‘Golden Flame’ 4.3배에 비해 우수하다. 전자코를 이용한 PCA분석결과 PC1과 PC2는 각각 99.3%와 0.6%로 전체 변이량의 99.9%를 반영하고 있다. Rader plot 분석결과 총 6개 센서에서 모두 ‘Sunny Gold’의 센서값이 향기가 강한 상용품종 ‘Yvonne’의 값에 비해 높게 나타나 ‘Sunny Gold’의 향기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8년 오리엔탈-트럼펫(OT) 종간잡종나리 ‘Pink Bella’를 개발하였다. 2008년 연노란색 OT 종간잡종나리 ‘Valparadiso’와 붉은색의 오리엔탈나리 ‘Scalini’를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화주 절단 수분법과 주 두교배법으로 각 3화를 인공교배하였고, 교배 후 미숙한 3개의 꼬투리를 수확하여 배가 형성된 배주를 기내에서 배양하여 잡종을 획득한 후 재배하였다. 육묘한 배양묘로부터 2011년 분홍색의 OT 종간잡종 나리 ‘OTO-11-43’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선발된 계통은 자구와 인편번식, 조직배양을 이용하여 번식 및 양구한 후 1, 2차 생육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2018년 3차 생육특성검정 및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분홍색(RHS, RP62C)의 조기개화성 절화용 OT 종간잡종 나리 ‘Pink Bella’를 육성하였다. 3배체의 OT 종간잡종 나리로 초장은 131.7cm로 초장신장성이 우수하였다. ‘Pink Bella’의 화폭은 18.6cm이며 대조품종 ‘Table Dance’의 18.4cm와 유사한 크기였으며, 내화피의 폭, 길이 역시 대조품종과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Pink Bella’의 개화기는 6월 15일로 대조품종 ‘Table Dance’의 6월 28일에 비교하여 개화기가 13일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000원
        9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베라 주산지인 경북과 경남 지역의 농가 재배 및 스마트팜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2020년 81 농가를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거베라 경영주 연령은 50∼60대가 71.6%로 가장 많았고, 30∼ 40대가 16%, 70세 이상이 9.9%, 30세 이하는 2.5% 순이었다. 거베라 재배 경력은 5년 이하가 37%였으며, 6∼10년 25.9%, 11∼20년 29.6%, 21년 이상 농가가 7.4%였다. 재배 면적은 0.3 ∼0.6ha가 61.7%로 가장 많았고, 0.3ha 미만이 30.9%, 0.6ha 이상이 7.4%였으며, 전체 평균재배 면적은 0.37ha였다. 거베라 재배 농가당 평균 인력은 자가 노동력 2.1명, 고용 노동력 0.8명 이었다. 재배 방식에서 토경 88.9%, 양액재배 농가는 11.1%였다. 국산품종을 전체 또는 일부라도 재배하고 있는 농가는 61.7%였고 외국산 거베라 품종만 재배하고 있는 농가는 38.3% 였다. 거베라 병해충 발생조사에서 병 발생이 많았다고 응답한 농가는 91.4%였으며, 충 발생이 많았다고 응답한 농가는 98.8% 였다. 스마트팜 시스템을 설치한 농가는 12.3%였으며, 설치하지 않은 농가에서 향후 설치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농가는 76.9% 였다. 향후 경영계획을 묻는 질문에서 현상유지 80.2%, 축소 8.6%, 경영확대 11.1%였으며, 경영 확대를 대답한 농가는 경북 지역이 8농가로 경남지역 1농가 보다 많았다.
        4,000원
        9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스탠다드 절화 장미의 품질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국내에서 재배되어 유통되는 품종과 수입되고 있는 대표적인 품종을 대상으로 외∙내적 품질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외적 품질 분석 결과, 국내에서 주로 재배 되는 적색 장미 ‘Fuego’ 은 국내로 수입되고 있는 콜롬비아산 ‘Freedom’, 에티오피아산 ‘Upper class’ 과 비교 시 노화 시점까지 개화가 지속되어 화폭이 증가하고 꽃이 만개하였으며, 노화 발생이 적어 절화수명이 3일 이상 연장되었다. 분홍색 장미 또한 ‘Hera’와 콜롬비아산 ‘Mandela’, 에티오피아산 ‘Visu’ 와 비교 시 수명이 다소 연장되었으며, ‘Fuego’, ‘Hera’ 모두 향기가 다소 진하였다. 내적 품질 분석 결과, 절화수명과 유사 하였으나, 적색과 분홍색 장미 모두 에티오피아산 품종의 수분 흡수량이 다소 높았다. 그러나, 박테리아 발생량은 유의차 가 없었으며 ‘Fuego’는 꽃의 당 함량이 다소 높았다. 또한, 개화단계, 엽록소 함량, 꽃과 잎의 당 함량과 절화수명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적색 장미 ‘Fuego’는 수입산 절화 와 비교 시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수분 흡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농가에서 채화하는 직후부터 소비자 판매단계까지의 단계적정 보존용액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