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6

        12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붉은불개미는 남미가 원산인 외래해충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국가간 교역량의 증가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서식범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국내에서는 붉은불개미가 2017년 9월 부산 감만항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올해까지 4차례 추가로 발견되어 국내 침입 및 정착 가능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곤충에서 인슐린 신호체계는 일반적으로 산란, 생장 및 발육, 대사계, 스트레스 저항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붉은불개미의 인슐린에 대한 생물학적인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인슐린 수용체(insulin receptor)의 발현을 억제한 후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체내빙결점(supercooling point)에 영향을 미쳐 붉은불개미의 저온생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외래해충은 자연생태계 교란과 농업환경의 파괴를 가져와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에 엄청난 사회적 비용과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이러한 외래해충의 국내 정착 시 대상 해충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법과 천적 등의 부재로 박멸에 어려움이 있기에 검역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붉은불개미와 금지급 과실파리류는 변화하는 기후와 국가 간교역량의 증가에 따라 최근 국내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근연관계에 있는 일본열마디개미와 호박꽃과실파리를 대상으로 내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 종의 곤충은 저온처리(8℃에서 2시간) 후 체내빙결점의 저하가 나타났다. 또한 저온처리 후 –5℃에서 생존율은 호박꽃과실파리가 일본열마디개미 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2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population densities of mosquitoes in Gyeongbuk region from March to November, 2017 and pathogens were detected from the mosquitoes. Mosquito populations were investigated at 3 sites in downtown and 1 site in cowshed in Andong, 3 sites in Yeongdeok downtown and 3 sites near migratory birds habitat in Sangju by collecting trap. Total collected female mosquitoes were 7 genus, 13 species, 9,892 individuals and relatively dominant ratios are Aedes vexans (40%), Ae. albopictus (20%), Culex pipiens (16%). Flavivirus were monitored in 9,125 collected mosquitoes by real-time PCR and no target flavivirus causing infectious diseases were detected in Gyeongbuk area in 2017.
        12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struxins (Dtxs) are insecticidal cyclic hexadepsipeptides produced by the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Media composition for dtxs production was optimized with industrial grade media. Glycerol and casein peptone were selected as a carbon source and a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Dtxs production varied with C/N ratios. High yields of dtxs were observed at C/N ratios ranging 0.3 to 1.5, with concentrations mostly higher than 800 mg/L. Low yields were caused by high C/N ratio ranging from 3.0 to 8.0, resulting in less than 500 mg/L. The highest yield of Dtxs was obtained with 2% glycerol and 3% casein peptone, showing 192.2 mg/L of dtx A, 911.1 mg/L of dtx B, and 113.3 mg/L of dtx E,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txs production is highly influenced by C/N ratio, especially the content of nitrogen source.
        12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라인 게임의 인기와 이용자 수가 늘면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불법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부정행위자의 수도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기 FPS 게임인 배틀그라운드의 로그 데이터와 해당 게임의 퍼블리싱을 맡은 카카오게임즈가 공개한 부정행위자 정보를 수집하여, 부정행위자가 게임 상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다른 플레이어들과 어울리는지 확인하였다. 부정행위자는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배제되거나, 제재를 피하기 위해 소극적으로 활동할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 결과, 부정행위자는 정상 이용자보다 더 활발하게 게임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팀플레이 모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행위자는 정상 이용자보다 더 많은 친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정행위자가 일부러 다른 플레이어와의 불화와 갈등을 야기한다는 측면을 제시한 선행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부정행위자가 팀 내에서 정상 이용자에 비해 더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점 역시 발견하였다. 본 연구가 밝힌 온라인 게임 부정행위자의 특성은 부정행위 대응 방안 수립 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의 반사회적 행위자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26.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3차원 축대칭 몰수체에 대해 소스 코드가 공개된 OpenFOAM 4.0을 이용하여 첫 번째 격자의 높이와 레이놀즈 수에 따른 마찰저항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마찰저항 계산을 위해 경계조건, 수치조건을 정립하였다. 축대칭 물체의 3차원 효과로 인해 거칠 기가 매우 작은 12 μΜ에서도 부드러운 표면과 비교해 마찰저항이 다르게 계산되었다. 레이놀즈 수가 커질수록 경계층의 두께 증가가 감소되었으며 이로 인해 마찰저항의 증가량이 감소되었다. 첫 번째 격자의 크기인 y+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첫 번째 격자가 log layer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마찰저항과 표면의 전단력이 과도하게 예측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계층이 두껍게 예측되어 난류 에너지가 과도하게 예측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표면의 거칠기가 커질수록 경계층이 두꺼워지고 표면의 난류에너지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찰저항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y+ 값, 거칠기 및 벽함수가 적절한 영역에 위치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2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s Antimicrobial activity for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Production of lactacin B was pH dependent, with maximum activity detected in broth cultures maintained pH 6. As a result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 acnes in the pH culture, the clear zone was the largest at pH 6 and persisted for a long time.
        13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초향은 항동맥경화나 항박테리아의 특성을 가지는 한약재에 널리 사용되는 영년생 약용식물이다. 연구의 목적은 수경재배에서 배양액의 종류와 PPFD값에 따른 배초향의 생장 및 항산화 물질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배초향은 주야간 16:8 시간의 일장조건에서 150과 200 μmol·m-2·s-1 PPFD 조건과 일본원시(HES), 서울시립대(UOS), 유럽채소연구소(EVR), 오오츠카 배양액(OTS)을 이용하여 6주간 재배하였다. OTS 배양액조 건에서 자란 배초향의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은 다른 배양액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배초향의 틸리아닌 함량은 OTS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EVR, HES, UOS 순서로 낮아졌다. 총 아카세틴의 함량은 EVR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나 OTS처리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200 μmol·m-2·s-1 PPFD 조건에서 자란 배초향은 PPFD 150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며 기능성 물질은 틸리아닌과 아카세틴의 함량도 높았다. 본 연구는 수경재배 방식을 이용하여 식물공장에서 배초향을 재배할 경우 200 μmol·m-2·s-1 PPFD 조건과 OTS 배양액 조건에서 경제적인 광원조건으로 최적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틸라아닌과 아카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4,000원
        133.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hmic heating is one of advanced thermal processing techniques which utilize conversion of electrical energy into heat. In our study, a feasibility of ohmic heating was tested to cook instant rice cake to improve energy efficacy as an alternative heating methods of conventional electrical kettle. Ohmic heating was conducted using customized ohmic cell (7.5×4.5×9.5 cm) equipped with titanium electrodes. Instant rice cakes in soup were ohmically heated up to 100°C at different electric fields (9, 12, 15 & 18 V/cm) and temperature holding times (60, 80, 100 & 120 s). Thermocouple was placed into both soup and rice cake to evaluate the temperature profile and energy efficacy. Temperature, voltage and current across the sample were measured and recorded at every 3 s using data acquisition system (DAQ). Mathematical model was developed to calculate the internal energy generation rate (QR, W). Internal energy generation rate (QR, W) was integrated versus temperature come-up time (s) to compute the total internal energy dose (ET, J) using MATLBA software. For energy efficacy (Eff), it was calculated ratio of total internal energy dose (ET, J) to heat quantity (Qh, J). During ohmic heating, temperature come-up time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a function of elevated electric field (P<0.05). For example, 9V/cm of electric field showed 6.2±0.4 min of temperature come-up time up to 100°C. Higher electric field at 18 V/cm reduced temperature come-up time to 1.9±0.1 min. The electric field of 15 V/cm showed the best energy efficacy as 0.78 which meant 78% of electrical energy wa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for heating.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the most preferable harness was found as 6.191 N at 15 V/cm and 100 s holding time. Our study showed the potential of ohmic heating to cook instant rice cakes for home meal replacement (HMR) and outdoor foods.
        14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B is a powerful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Monochamusalternatus, a crucial mediator of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this study, production of destruxins(dtxs), insecticidal cyclic hexadepsipeptides, was monitored in the submerged culture of M. anisopliae B. Three typesof dtxs, i.e., destruxin A, B, and E, were produced during the culture. Among the three dtxs, the production yield ofdestruxin A was best, followed by destruxin B and E. Destruxin A production was increased when pH was controlledat 6.0, whereas production of destruxin E was not affected by the pH control. The highest yield of dtxs A, B, and Ewere 16.4, 7.3, and 6.1 mg L-1, respectively. Considering that process for dtxs production has not been optimized, M.anisopliae B has more powerful implication as a biocontrol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