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29

        135.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의 잎은 광합성을 위한 주요 기관으로, 동화산물의 생산을 통해 벼의 수량 결정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상위엽의 형태적 특징은 다수성 벼 품종의 육성을 위한 필수적인 고려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차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3개의 엽폭 조절 QTL인 qLW4.1, qLW4.2, qLW7을 탐지하였다. 이들은 분석집단에서 나타난 엽폭 표현형 변이의 5.2~44.9% 를 설명할 수 있었다. qLW4.2 영역에 대한 후보유전자 분석 결과, 해당 QTL 영역에서 엽폭 조절 유전자인 NAL1을 발견하였다. 상위엽은 수량에 대해 정의 간접효과 나타냈으며, 그 효과의 크기는 수당립수에 대한 상위엽의 정의 직접효과와 수수에 대한 상위엽의 부의 직접효과에 의해 결정되었다. 한국 벼 유전자원에서 엽폭은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에서 표현형 변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특정 상위엽폭이 한국 자원에서 선호 되었음을 시사한다. NAL1의 하플로타입 분석결과는 대다수의 한국 자원들이 자포니카형 하플로타입을 지닌 반면에, 모든 통일형 품종들은 인디카형을 지니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용 대립유전자형인 자포니카형 NAL1의 도입을 통해 통일형 품종의 다수성 형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 한다.
        4,000원
        13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Willd. Ex Klotzch) ‘Flame’ 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5년에 육성한 품종이다. ‘Flame’ 은 단일감응기간이 짧은 적색 포엽의 깊은 열편을 가진 ‘Eckalba’ 와 밝은 적색의 포엽을 가진 국내 육성 품종 ‘Candle Light’를 2013년에 교배하여 획득한 실생 계통을 선발 육성하였다. 2014 년부터 2015년까지 생육 및 개화 특성, 균일성에 대하여 1, 2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2015년에 3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여 최종선발한 후 직무육성품종심의회에 상정하여 ‘Flame’으로 명명하였다. ‘Flame’ 품종의 포엽은 밝은 적색을 띠며 열편이 깊다. 초장과 초폭은 중간이나 적심하지 않아도 많은 분지가 발생하여 풍성한 수형을 이룬다. 단일처리후 약 7.5주가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하가 가능하다. 이 품종은 2018년 1월 24일에 국립 종자원에 품종등록(등록번호 6921호)되었다.
        3,000원
        137.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가 선호도가 높은 진적색 비모란 선인장 ‘Aul’(Gymnocalycium mihanovichii ‘Aul’) 품종은 황적색 ‘0809067’계통을 모본으로, 진적색 ‘0828039’ 계통을 부본으로 하여 2012년 7월 7일에 계통간 교배하여 육성된 교배종이다. 어린 비모란 선인장을 2013년까지 삼각주에 2번 접목하여 계통을 양성하였으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3회에 걸쳐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Aul’ 품종의 모구는 편원형 모양과 적색 구색(R44A)이다. 모구는 평균 9.7개의 능(rip), 3.0mm의 짧은 직립형 회색 가시, 혹(tubercle)이 돌출된 형태였다. 10개월 후 ‘Aul’ 품종의 구직경은 46.9mm였으며 황적색(R44A+Y9A) 자구는 평균 16.4개가 생성되었다. ‘Aul’ 품종 모구의 능마다 황적색의 자구가 1~2개가 착생되며, 형태적으로 균형미가 있다. 2016년 육성계통 평가회에서 ‘Aul’ 품종은 기호도 점수 3.8을 받았다. 2018년 5월 16일에 이 품종은 국립종자원에 등록되었으며 종 자산업법에 의해 품종보호(등록번호 7195)를 받는다.
        4,000원
        13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nine parvovirus (CPV) remains a leading infectious cause of death in canines, especially in young puppies. Though vaccination is being carried out regularly, immunization failures occur, and puppies may be exposed to infection. Virus-like particles (VLPs) act like a subunit vaccine, mimicking the structure of authentic viruses. Therefore, VLP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vaccine candidates. Since Viral Protein 2 (VP2), a major structural protein of CPV, is the crucial antigen for CP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recombinant VP2 of new canine parvovirus-2a using the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in SF9 insect cells. The results revealed that recombinant VP2 assembles to form VLPs with antigenic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natural CPV, the recombinant VLP can produce a hemagglutination assay (HA) titer (1:210) in SF9 cells. Expression of the recombinant 6-His-tagged VP2 in SF9 cells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t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combinant VP2 express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n efficient subunit vaccine against CPV infection.
        3,000원
        13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rcine parvovirus 2 (PPV2) was recently dete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is paper reports two near-complete genome sequences of PPV2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the lung tissue of aborted pig fetuses.
        14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luenza A virus (IAV) causes respiratory disease in birds and mammals, including pigs and humans. Infection by IAV in pigs increases not only economic losses in the swine industry but also the emergence of novel IAV variants via gene reassortment, which is important due to the susceptibility of both birds and humans to IAV. This study provides serological data obtained during a study to detect IAV infections in pigs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2018 and 2019. A total of 1,55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74 domestic pig farms.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 assays were performed using the A/Swine/Korea/25-13(H1N1), A/Swine/Korea/E102 (H1N2), and A/Swine/Korea/Cy10/2007 (H3N2) viruses as antigens. The HI assay results showed that 266 of the 1,559 samples were seropositive (17.0%). Among these, H1N1, H1N2, and H3N2 comprised 7.3% (114), 6.0% (93), and 8.8% (137) of the 1,559 samples, respectively. Co-infections of H1N1/H1N2, H1N1/H3N2, H1N2/H3N2 and H1N1/H1N2/H3N2 were observed in 2.1% (31), 1.5% (23), 1.5% (24), and 0.8% (13) of the 1,559 samples, respectively. Interestingly, IAV infections were detected in all nine provinces of the country.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