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돈산업은 돼지고기 내 웅취발생 예방을 위한 방법으 로 수컷 자돈에게 물리적 거세를 관행적으로 실시해왔다. 그러나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일부 국가 들에서는 고통 최소화 물리적 거세법 권장 또는 대체 방 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거세돈(EM; entire male pigs) 및 거세돈(CM; castrated male pigs)에서 이눌린의 급여가 지방조직 내 웅취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동물 은 총 26두의 3원 교잡돈(EM, n=18; CM, n=8)을 사용하 였다. 시험 처리구는 3% 이눌린의 급여와 비급여를 설정 하여 총 4개 처리구(EM0, EM3, CM0 및 CM3)로 구성하 였다. 웅취분석을 위해 지방조직은 등지방, 목지방 및 삼 겹지방을 수집하였다. 등지방 내 인돌 농도는 EM0에 비 해 CM3에서 감소하였고(p<0.05) 목지방 및 삼겹지방에서 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지방조직 내 평균 인돌 농도 는 EM0에 비해 EM3, CM0 및 CM3에서 감소하였다 (p<0.05). 등지방 내 스카톨 농도는 CM0, CM3에서 EM0 보다 감소하였다(p<0.05). 또한, 목지방 내 스카톨 농도 및 지방조직 내 평균 스카톨 농도는 CM3에서 EM0과 EM3 보다 감소가 확인되었다(p<0.05). 그러나 안드로스테논 농 도는 분석된 지방조직들 모두에서 처리구간 통계적인 차 이가 없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눌린 급여에 의해 비거세 돈의 지방 내 웅취물질 저감에 부분적인 효과를 나타냈 을 뿐만 아니라 거세돈에서도 웅취물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물리적 인 거세가 전면 금지된다면 동물복지형 사양관리 기술개 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조사는 국내 양돈전산프로그램인 피그플랜를 2017 년에 사용하는 양돈농장의 번식관련 모돈의 생산성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별 돼지 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 사용자 중에서 모돈 관련 데이터를 모두 입력한 554 농가를 선발하였고, 지역은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로 9 개 도단위로 구분하였다. 모돈은 후보모돈을 제외한 276,104 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체 농장의 평균 상시 모돈두수는 498 두이며,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으로 665 두이고, 제주는 328 두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총산자수는 전체 농장의 평균이 12.2 두이며, 충남, 전남, 전북이 12.5 두로 평균보다 0.3 두 높았고 강원은 11.6 두로 평균보다 0.6 두 낮았다. 상위지역과 하위지역의 차이는 1.0 두 나타났다. 모돈당 실산자수는 전체 농장 평균이 11.2 두이며, 충남, 전남, 전북이 11.5 두로 평균보다 0.3 두 높았고, 강원이 10.6 두로 가장 낮았다. 포유자돈 개시율은 전체 평균이 91.6%이며, 경남이 92.3%로 가장 높고, 제주가 91.1%로 가장 낮았다. 포유자돈 육성율은 전체 평균이 89.7%이며, 충북이 90.9%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88.1%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이유두수는 전체 농장의 평균이 10.0 두이며, 전북과 전남이 10.3 두로 높았고, 제주가 9.4 두로 낮게 나타났다. 모돈의 분만율은 전체 평균이 79.5%이며, 전북이 80.6%로 가장 높았고, 강원이 76.3%로 가장 낮았다. 모돈의 연간비생산일수는 평균이 48.6 일이며, 전북이 43.6 일로 가장 낮앗고, 제주가 61 일로 가장 높았다. 연간 모돈 회전율은 전체 평균이 2.27 이며, 전북이 2.32 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2.17 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연간이유두수는 전체 평균이 22.9 두 이며, 전북이 24.0 두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20.4 두로 가장 낮았다. 제주지역은 2016 년 돼지열병 발생에 따른 영향으로 모돈의 번식성적이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모돈의 번식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생산일수를 줄여서 모돈회전율을 높이는 방법과 산자수와 포유능력이 우수한 종돈을 보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한 것으로 사료된다.
        3.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조사는 국내 양돈전산프로그램인 피그플랜를 2017 년에 사용하는 양돈농장의 번식관련 모돈의 생산성 자료를 수집하여 상시 모돈의 사육규모별 돼지 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 사용자중에서 모돈 관련 데이터를 모두 입력한 554 농가를 선발하였고, 모돈 사육 규모는 100 두 미만 A 그룹, 100~199 두 B 그룹, 200~299 두 C 그룹, 300~399 두 D 그룹, 400~499 두 E 그룹, 500~999 두 F 그룹, 1,000 두 이상 G 그룹으로 7 개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모돈은 후보모돈을 제외한 276,104 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체 농장의 평균 상시 모돈두수는 498 두이며, A 그룹 78 두, B 그룹 150 두, C 그룹 247 두, D 그룹 343 두, E 그룹 448 두, F 그룹 711 두, G 그룹 1556 두 이다. 모돈의 분만율은 전체 농장의 평균이 79.5%이며, G 그룹은 83.5%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은 74.3%로 가장 낮았다.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의 분만율 차이는 9.2%이며 상시 모돈의 규모가 클수록 분만율은 높게 나타났다. 모돈당 총산자수는 전체 농장의 평균이 12.2 두이며, D 그룹이 12.5 두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이 11.7 두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실산자수는 전체 농장 평균이 11.2 두이며, D 그룹과 F 그룹이 11.4 두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이 10.8 두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이유두수는 전체 농장의 평균이 10.0 두이며, D 그룹과 F 그룹이 10.3 두로 높았고, A 그룹이 9.5두로 낮게 나타났다. 모돈의 연간비생산일수는 평균이 48.6 일이며, G 그룹이 42.3 일로 가장 낮앗고, A 그룹이 65.7 일로 가장 높았다. 연간 모돈 회전율은 전체 평균이 2.27 이며, F 그룹과 G 그룹이 2.33 으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이 2.15 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연간이유두수는 전체 평균이 22.9 두 이며, F 그룹이 23.9 두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이 20.6 두로 가장 낮았다. 상시모돈의 규모가 높은 농가들은 번식관리에 전문인력이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모돈의 번식성적이 높은 반면, 상시 모돈의 규모가 적은 농가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인력으로 인해 번식관리에 집중관리가 되지 않아서 번식성적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시모돈 200 두 미만인 양돈농가 대상의 번식관련 재교육이 체계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feeding fermented milk on growth,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suckling pigs. A total of a hundred birth piglets (Landrace×Yorkshire×Duroc)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eeding group and control group during suckling period that ten pigs per sow. Fermented milk contained 3.0×108/g of Bacillus and 3.5×108/g of Lactobacillus, and was supplied by top dressing method. Fermented milk fed to the sulking pigs indicated tendency to increase weaning body weight (p=0.052) and average daily gain (p=0.094). Total microbial flora and Escherichia coli in the feces were lower (p<0.05) in the feeding group than the non-feeding group. Reversely, Lactobacillus was higher (p<0.01) in feces of the pigs fed fermented milk than the pigs of the control group. Hydrogen sulfide emitted in feces was decreased in feeding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Similarly, fecal total mercaptans was diminished in the feeding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1). Therefore, the fermented milk fed to the sulking pigs may improved growth and can influence positively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4,000원
        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기 때 사료 내 다른 에너지 수준 및 비테 인 첨가 급여가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변화 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삼원교잡종(L×Y×D; initial body weight, 73.5±0.5kg) 거세 수퇘지 12두를 사용하였고 대사틀에 배치하였다. 실험기간 은 고온기인 7~8월에 실시하였다. 실험계획은 에너지 2수 준(3,300 및 3,400kcal/kg)과 비테인 2수준(0 및 0.5%)이며 4×4 Latin square로 하였다. 조단백질 소화율은 고에너지 사료(3,400kcal/kg)가 저에너지 사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 다(p<0.01). 그러나, 비테인급여는 영양소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생화학적 분석 결과에서는 에너지 수 준 및 비테인 첨가가 육성돈 내 생리적 변화를 보이지 않 았다.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혈중 IgG에서는 고에너지 사료 가 저에너지사료보다 높았으나(p<0.05) 스트레스 지표를 나타내는 cortisol농도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고, 비테인 첨가급여는 IgG 및 cortisol 농도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료 내 비테인 첨가급여보다 에너지 수준을 높이는 것이 돼지 체내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여 름철 고온스트레스를 받는 돼지 사료 내 고에너지를 급여 했을 때 어떠한 결과가 나오는지 추후 더 연구해 볼 만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nge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2 produced by dry aging, and compared the quality of dry-aged strip loin with that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1+. Hanwoo strip loins with quality grade 1+ (SL1) and 2 (SL2) after a day of slaughter and dry-aged strip loin (DSL2) aged for 21 days at 2℃ with 85% humidity were obtained from local markets.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cooking loss, lipid oxidation, instrumental color (CIE L*, a* and b* value)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strip loins were measured. DSL2 contained low moisture and high protein contents compared with SL2, and low fat, high protein, and high ash contents compared with SL1 (p<0.05). The pH and cooking loss were higher and lower, respectively, in DSL2 compared to SL2 (p<0.05). SL1 had a higher pH than DSL2 (p<0.05). However, the cooking loss was not different between SL1 and DSL2. The TBARS value was the highest in DSL2 and the lowest in SL2 (p<0.05). DSL2 had higher L* and b* value compared with SL2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L*, a* and b* values between DSL2 and SL1. Sensory properties such as th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of DSL2 were higher than those of SL2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all sensory properties between DSL2 and SL1. According to the results, dry aging can improve the nutritional and sensorial quality of strip loin with quality grade 2 to quality comparable to quality grade 1+.
        4,000원
        7.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enzyme on diarrhea and immune responses of weaned pigs. A total 36 weaned pigs (5.92 ± 0.48 kg BW; 28 d old) were randomly allotted to 2 dietary treatments (3 pigs/pen, 6 replicates/ treatmen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 typical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 and CON with 0.1% multienzyme (Multi; mixture of β-mannanase, xylanase, α-amylase, protease, β-glucanase, and pectinase). Pigs were fed their respective diets for 6 wk. Frequency of diarrhea, levels of packed cell volume (PCV), white blood cells (WBC), immunoglobulins, cortisol,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TGF-β), and C-reactive protein (CRP) were measured. Multi group tended to decrease (p<0.1) diarrhea frequency than CON group during 2 wk after weaning. Lower values of PCV on d 3 (p<0.05) and d 7 (p<0.1) were found in Multi group compared with CO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WBC number and immunoglobulin (Ig) M and A between Multi and CON groups. However, Multi group tended to increase (p<0.1) Ig G on d 7 than CON group. Moreover, Multi group showed modulated immune responses, indicated by decreased levels of cortisol (p<0.05) on d 7 and 14, TNF-α on d 3 (p<0.05) and d 7 (p<0.10), TGF- β on d 2 (p<0.05) and d 7 (p<0.10), and CRP (p<0.10) on d 3 and 7 after weaning compared with CON group. Consequently, inclusion of multi-enzyme in diets for weaned pigs improved gut health and modulated immune responses of weaned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