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조사는 국내 양돈전산프로그램인 피그플랜를 2017 년에 사용하는 양돈농장의 번식관련 모돈의 생산성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별 돼지 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 사용자 중에서 모돈 관련 데이터를 모두 입력한 554 농가를 선발하였고, 지역은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로 9 개 도단위로 구분하였다. 모돈은 후보모돈을 제외한 276,104 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체 농장의 평균 상시 모돈두수는 498 두이며,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으로 665 두이고, 제주는 328 두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총산자수는 전체 농장의 평균이 12.2 두이며, 충남, 전남, 전북이 12.5 두로 평균보다 0.3 두 높았고 강원은 11.6 두로 평균보다 0.6 두 낮았다. 상위지역과 하위지역의 차이는 1.0 두 나타났다. 모돈당 실산자수는 전체 농장 평균이 11.2 두이며, 충남, 전남, 전북이 11.5 두로 평균보다 0.3 두 높았고, 강원이 10.6 두로 가장 낮았다. 포유자돈 개시율은 전체 평균이 91.6%이며, 경남이 92.3%로 가장 높고, 제주가 91.1%로 가장 낮았다. 포유자돈 육성율은 전체 평균이 89.7%이며, 충북이 90.9%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88.1%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이유두수는 전체 농장의 평균이 10.0 두이며, 전북과 전남이 10.3 두로 높았고, 제주가 9.4 두로 낮게 나타났다. 모돈의 분만율은 전체 평균이 79.5%이며, 전북이 80.6%로 가장 높았고, 강원이 76.3%로 가장 낮았다. 모돈의 연간비생산일수는 평균이 48.6 일이며, 전북이 43.6 일로 가장 낮앗고, 제주가 61 일로 가장 높았다. 연간 모돈 회전율은 전체 평균이 2.27 이며, 전북이 2.32 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2.17 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연간이유두수는 전체 평균이 22.9 두 이며, 전북이 24.0 두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20.4 두로 가장 낮았다. 제주지역은 2016 년 돼지열병 발생에 따른 영향으로 모돈의 번식성적이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모돈의 번식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생산일수를 줄여서 모돈회전율을 높이는 방법과 산자수와 포유능력이 우수한 종돈을 보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한 것으로 사료된다.
        2.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조사는 국내 양돈전산프로그램인 피그플랜를 2017 년에 사용하는 양돈농장의 번식관련 모돈의 생산성 자료를 수집하여 상시 모돈의 사육규모별 돼지 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 사용자중에서 모돈 관련 데이터를 모두 입력한 554 농가를 선발하였고, 모돈 사육 규모는 100 두 미만 A 그룹, 100~199 두 B 그룹, 200~299 두 C 그룹, 300~399 두 D 그룹, 400~499 두 E 그룹, 500~999 두 F 그룹, 1,000 두 이상 G 그룹으로 7 개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모돈은 후보모돈을 제외한 276,104 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체 농장의 평균 상시 모돈두수는 498 두이며, A 그룹 78 두, B 그룹 150 두, C 그룹 247 두, D 그룹 343 두, E 그룹 448 두, F 그룹 711 두, G 그룹 1556 두 이다. 모돈의 분만율은 전체 농장의 평균이 79.5%이며, G 그룹은 83.5%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은 74.3%로 가장 낮았다.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의 분만율 차이는 9.2%이며 상시 모돈의 규모가 클수록 분만율은 높게 나타났다. 모돈당 총산자수는 전체 농장의 평균이 12.2 두이며, D 그룹이 12.5 두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이 11.7 두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실산자수는 전체 농장 평균이 11.2 두이며, D 그룹과 F 그룹이 11.4 두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이 10.8 두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이유두수는 전체 농장의 평균이 10.0 두이며, D 그룹과 F 그룹이 10.3 두로 높았고, A 그룹이 9.5두로 낮게 나타났다. 모돈의 연간비생산일수는 평균이 48.6 일이며, G 그룹이 42.3 일로 가장 낮앗고, A 그룹이 65.7 일로 가장 높았다. 연간 모돈 회전율은 전체 평균이 2.27 이며, F 그룹과 G 그룹이 2.33 으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이 2.15 로 가장 낮았다. 모돈당 연간이유두수는 전체 평균이 22.9 두 이며, F 그룹이 23.9 두로 가장 높았고, A 그룹이 20.6 두로 가장 낮았다. 상시모돈의 규모가 높은 농가들은 번식관리에 전문인력이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모돈의 번식성적이 높은 반면, 상시 모돈의 규모가 적은 농가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인력으로 인해 번식관리에 집중관리가 되지 않아서 번식성적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시모돈 200 두 미만인 양돈농가 대상의 번식관련 재교육이 체계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feeding fermented milk on growth,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suckling pigs. A total of a hundred birth piglets (Landrace×Yorkshire×Duroc)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eeding group and control group during suckling period that ten pigs per sow. Fermented milk contained 3.0×108/g of Bacillus and 3.5×108/g of Lactobacillus, and was supplied by top dressing method. Fermented milk fed to the sulking pigs indicated tendency to increase weaning body weight (p=0.052) and average daily gain (p=0.094). Total microbial flora and Escherichia coli in the feces were lower (p<0.05) in the feeding group than the non-feeding group. Reversely, Lactobacillus was higher (p<0.01) in feces of the pigs fed fermented milk than the pigs of the control group. Hydrogen sulfide emitted in feces was decreased in feeding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Similarly, fecal total mercaptans was diminished in the feeding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1). Therefore, the fermented milk fed to the sulking pigs may improved growth and can influence positively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4,000원
        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기 때 사료 내 다른 에너지 수준 및 비테 인 첨가 급여가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변화 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삼원교잡종(L×Y×D; initial body weight, 73.5±0.5kg) 거세 수퇘지 12두를 사용하였고 대사틀에 배치하였다. 실험기간 은 고온기인 7~8월에 실시하였다. 실험계획은 에너지 2수 준(3,300 및 3,400kcal/kg)과 비테인 2수준(0 및 0.5%)이며 4×4 Latin square로 하였다. 조단백질 소화율은 고에너지 사료(3,400kcal/kg)가 저에너지 사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 다(p<0.01). 그러나, 비테인급여는 영양소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생화학적 분석 결과에서는 에너지 수 준 및 비테인 첨가가 육성돈 내 생리적 변화를 보이지 않 았다.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혈중 IgG에서는 고에너지 사료 가 저에너지사료보다 높았으나(p<0.05) 스트레스 지표를 나타내는 cortisol농도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고, 비테인 첨가급여는 IgG 및 cortisol 농도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료 내 비테인 첨가급여보다 에너지 수준을 높이는 것이 돼지 체내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여 름철 고온스트레스를 받는 돼지 사료 내 고에너지를 급여 했을 때 어떠한 결과가 나오는지 추후 더 연구해 볼 만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료이용 측면에서 유지 및 성장에 필요한 섭취량과 체내에 이용되지 않은 섭취량으로 구분할 수 있 으며, 체내에 이용되지 않은 섭취량을 잔류사료섭취량(Residual Feed Intake; RFI)이라 한다. 본 실험 은 국내 종돈의 RFI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14년까지 태어난 Duroc종 8,696두의 검 정자료를 활용하였다. 일당증체량과 RFI의 육종가 상관관계는 -0.2로 음의 상관으로 조사되었는데 (P>0.01), RFI를 낮추면 일당증체량 개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회귀추정 방식에 따른 RFI1(일당증체량)과 RFI2(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의 유전력은 각각 0.37, 0.45로 고도의 유전력을 나타내었다. 향후 국내에서도 개체단위 사료섭취량 측정으로 추정된 RFI를 개량에 활용한다면 농가 수익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swine AI and boar stud in South Korea using survey and data analysis. This survey included 48 boar studs registered as ‘semen processing business’.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by direct visitation, FAX and/or telephone conversation for 7 months from June through December in 2013. 48 boar studs owned a total of 3,537 boars and the Duroc breed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75.3%) of all boar breeds. In case of ownership, agricultural management corporations was the highest (50.0%) and followed by individual ownership (33.3%). Large-scale boar studs in terms of own over 151 boar were surveyed as 4.2% and most boar studs owned less than 100 boars (77.1%). The amount of liquid semen provided by 48 boar studs were 1,889,000 doses and each boar stud provided average of 39,000 does, which is represented for 90% consumption by sows in South Korea.
        4,000원
        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성 불포화지방산 복합제로 이루어진 보조사료를 첨가하여 이유자돈의 균일성과 증체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일반 종돈장의 Landrace 모돈 110두와 포유자돈 248두를 공시하였다. 시험구는 모돈시험에서는 장쇄지방산 복합제제를 분만사입식부터 이유시까지 약 4주간 급여하였고 자돈시험에서는 액상 중쇄지방산 complex를 포유기간 중 2회 구강투여 하였다. 모돈 시험에서 복당생존자돈수와 복당생시체중은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복당이유자돈수와 복당이유체중에서는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모돈의 사료섭취량은 시험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발정재귀일령은 유의적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시험구에서 평균 0.3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포유기간내 일당증체량 역시 이유체중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돈시험 결과 시험구는 포유기간내 이유체중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생시체중 대비 증체량도 같은 기간에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돈의 이유체중에 대한 변이의 지표를 보면 시험구와 대조구간 변이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개체간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처리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포유기의 장쇄지방산 급여는 모돈의 젖에서 올레인산, 리놀산 등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젖 분비량과 사료섭취량을 증가시켜 자돈의 초기증체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돈에 대한 중쇄지방산의 급여도 이유체중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4,000원
        8.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of 30 Korean native pigs (gilt 15, boar 15)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by gender. The carcass weight of bo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ilts, whereas the carcass yield of gilts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boars (p<0.01). Boars ha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s in loin muscle than gilts, whereas the protein contents of loin muscle had significantly higher in gilts than boars (p<0.01). In the results of meat quality analysis, the cooking loss (p<0.01), shearing force (p<0.05),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in meat color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but the pH was significantly lower (p<0.01) in gilts compared with boars. Arginine (p<0.05), alanine, aspartic acid, histid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serine, threonine and tyrosin (p<0.01) for gil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boars. The results of fatty acid composition showed that gilt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C16:1n7, C18:1n9, C20:1n9 (p<0.01) than boars in intramuscular fat, whereas boar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C18:2n6, C20:4n6 (p<0.01) and C18:3n3 (p<0.05) than gilts in intramuscular fat.
        4,000원
        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ment paternal selection indices for improvement of meat production ability in Korean Native Pigs which were raised at the swine farm. Records on 1,053 Korean native pigs for average daily gain (ADG), age at 70 kg (D70 kg) and backfat thickness (BF) made between 2001 and 2010 in herds on National Institutes of Animal Science in Korea were us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TDF-REML (Derivative-Free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program of Boldman using a multi-trait animal model. The results to estimatethe genetic parameters were as follows. Heritabilities were 0.26, 0.09, and 0.29 for ADG, D70 kg and BF, respectively. The phenotypic correlations of ADG with D70 kg and BF were -0.89 and 0.15. The phenotypic correlation of D70 kg with BF was -0.16. The genetic correlations of ADG with D70 kg and BF were -0.28, 0.93, respectively. The genetic correlation of D70 kg with BF was -0.34. Selection indices were calculated as follows using genetic parameters and economic values estimated in this study. I1=100+9.72(ADG–)–1.33(BF–), I2=100–0.14(D70 kg–)–1.16(BF–), where ADG is individual average daily gain, is average daily gain of contemporary group, BF is individual backfat thickness, is backfat thickness of contemporary group, D70 kg is individual days to 70 kg and is days to 70 kg of contemporary group
        4,000원
        12.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andidate genes associated with litter size trait in pigs of inbred Large Yorkshire and Landrace populations. 86 sows were screened for candidate genotypes along with litter size data recordings. Association of litter size with genotypes of candidate genes were investigat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each gene's genotypes as markers for the trait. For the lines of Large Yorkshire, PRLR3 and RBP4 genes were genotyped. Frequency distribution of PRLR3 with genotypes AA, AB and BB were each 0.14, 0.44 and 0.42. And the average litter size by PRLR3 genotypes were 8.83, 10.81 and 10.70 piglets per litter, the average estimated breeding values of which were 0.243, 0.332, 0.365, respectively for AA, AB and BB genotypes. Genotypic frequencies of RBP4 by AA, AB and BB genotypes were 0.10, 0.44 and 0.46. The average litter size by genotypes of RBP4 were 10.40, 10.57 and 10.35 piglets per litter and their corresponding average estimated breeding values were 0.451, 0.353 and 0.261, respectively for genotypes AA, AB and BB. Significance in differences among genotypes were not observed, but B allele of RBP4 seems to be associated with litter size. In Landrace lines, frequencies of RBP4 genotypes, AA, AB and BB were 0.29, 0.55 and 0.16. And the average litter size of these genotypes were 10.50, 11.08 and 11.00 piglets per litter. The corresponding averages of estimated breeding values of each genotypes were 0.172, 0.135 and 0.104. In Landrace lines, allele A wa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litter size, even if differences among average litter size were not significant. We conclude that genotyping of two candidate genes is a helpful tool to identify genetic potentials of litter size in pigs.
        3,000원
        13.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men extenders on the motility, viability and fertility in vitro of spermatozoa during storage of fresh boar semen diluted in different commercial extenders used for pig artificial insemination (AI). In this experiment, semen were diluted in Androhep plus, Beltsville Thawing Solution (BTS), Modena, Seminark and Vitasem LD. Five ejaculates were collected from three Duroc boars and sub-samples were diluted (30×106 spermatozoa/ml) in different extenders. Semen was stored at 17℃ for 10 days.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was assessed using 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 (CASA) and flow-cytometry on 1, 3, 5 and 10 day post collection. The motility of spermatozoa stored in different extenders was gradually decreased by increasing the duration of storage of semen.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among other extenders. On the other hand, the in vitro-matured oocytes were fertilized and cultured in vitro to assess the fertility of boar spermatozoa stored for 3 and 10 days in different extenders. The percentage of morula and blastocyst were taken as indicators of fertility in vitro of spermatozoa. Therefor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ate of embryos developed to the molular and blastocyst stag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otility and fertility in vitro among 5 kinds of commercial boar semen extender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