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양극화와 허위 정보는 민주적 숙의(deliberation)에 중대한 도전 과제를 제기하지만, 규범적 민주주의 이론가들은 합리적 담론과 제도적 안전장치가 궁극적으로 허위 정보를 교정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정치적 성향과 교육 수준이 허위 정보 신념 및 메타인지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성인에 대한 설문조사 데이터와 신호탐지이론(Signal Detection Theory)을 활용하여 허위 정보 판별 능력, 메타인지 효율성, 응답 편향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그 정당에 충성도가 높은 개인일수록 허위 정보를 판별하는 능력이 낮으며, 고학력자조차도 자신의 허위 정보 신념에 대한 과신에서 자유롭지 못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합리적 담론이 허위 정보 신념 형성을 교정할 수 있다는 숙의 민주주의 이론의 핵심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며, 허위 정보 신념 형성에서 합리적 사고보다 정치적 정체성과 동기화된 추론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규범적 민주주의 이론과 실증 연구 간의 간극을 좁히고, 허위 정보에 대한 숙의 과정의 구조적 한계를 조명함으로써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Combat-armored vehicles were equipped with an automatic-fire-extinguishing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the crew and vehicle from fires on the vehicle. When a fire was occurred, the automatic-fire-extinguishing system automatically detects the fire through sensors and detection lines, sprays a fire extinguisher, and notifies the crew visually and audibly. Recently, there had been cases of automatic-fire-extinguishing systems malfunction on combat-armored vehicles. In this study, in order to resolve the automatic-fire-extinguisher's malfunction phenomenon, ground noise and inter-circuit noise generated from the fire detection line were identified, and the resistance connected on the circuit was revised to remove noise. As a result of resistance revision, the noises was eliminated and the electromotive force difference between input circuits was made constant, thereby improving the malfunction of the automatic-fire-extinguishing system. By applying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ol device sensed a temperature similar to the actual temperature on actual vehicl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matic-fire-extinguishing system's malfunction phenomenon was not founded in the field vehicles after then.
Many people know the benefits of massage for people, especially if they have had an injury. It can also be a very relaxing experience. It the same way, dogs can benefit from pet massages. The owners can choose to do the massage thyself. Some of the benefits of massaging dogs were included to help him recover after an injury or strain, to be calm an excitable dog, to enhance blood circulation and other body functions, to restore and maintain muscle tone, also taken a chance to bond with dogs, to increase trust, and to provide relaxed effects. We are aimed to provide the available knowledges about the health-beneficial functional massage techniques for the companion dogs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the results, we reviewed the massage techniques like as stroking, effleurage, wringing and kneading etc. Massages can improve a number of physical body functions like as blood circulation, gastrointestinal functions, relaxing, muscular stretching, immune activation, human animal bonds in dogs. Also, dog massages could induce the decrease of stress, depression and the palpation of the disease of dogs.
Weissella viridescens와 Leuconostoc carnosum은 육가공 제품 변패 미생물 중에서 중요한 미생물 로 인식되어 왔다. 용아초(Agrimonia pilosa)는 아시아에 널리 분포해 있으며, agrimonolide, agrimophol, agrimoniin, agrimol, agrimonic acid A, agrimonic acid B와 같은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아초의 추출방법에 따른 W. viridescens와 Leu. carnosum에 대한 생육저해효과를 탐색하였다. pH 11로 조정된 물 추출물과 50%(v/v) 에탄올 추출물은 W. viridescens 와 Leu. carnosum에 대하여 각각 43%와 24%에 해당하는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용된 추출용매와 상관 없이, 추가적인 초음파 추출은 용아초 추출물의 항균활성 증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노무라입깃해파리(Nemopilema nomurai) 가수분해 추출물의 미백활성에 대하여 검색하였다. 가수분해 시료(NHE, N. nomurai Hydrolized Extract)는 노무라입깃해파리를 상업용 단백질분해효소(Protamex, Alcalase, Flavourzyme, Neutrase)를 이용하여 55℃에서 pH 5-8 조건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얻었다. 미백활성은 B16-F1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능 평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Neutrase로 처리된 시료(N-NHE)에서 100μg/mL의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이 가장 효율적으로 89.9%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시료는 또한 tyrosinase와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노무라입깃해파리 가수분해 추출물의 화장품 미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돌외 잎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섬유아세포 HDFn에 대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돌외 추출물이 세포 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돌외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리과정을 거쳐 2개의 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NMR 데이터 및 문헌치로 확인한 결과 이들은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Ombuine 3-O-rutinoside(1) 및 Quercetin 3-O-rutinoside(2)로 규명되었다. 섬유아세포의 type I procollagen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는 화합물 1과 2를 함유한 돌외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