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 정부가 플랫폼(platform) 산업에 대한 이원적 접근을 추구한 원인과 그 과정을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정부는 2000년 대 이후 플랫폼 산업에 대하여 진흥과 규제를 동시에 추진하는 이원적 접근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플랫폼 산업에 대한 규제 중심 접근의 확대라는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는 과정 추적 접근법(process-tracing approach)을 활용하여 중대 분기점(critical juncture) 이후의 단계 내 변화를 설명하는 방식을 취한다. 즉, 2008년과 2014년을 두 개의 중 대 분기점으로 설정하고, 2008년~2013년과 2014년~2024년의 두 사례에 대한 ‘사례 내 분석(within-case analysis)’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1) 서비스(service) 부문을 포괄하는 플랫폼 산업의 특성이 이원적 접근을 촉진하였고, (2) 발전국가 모델 대 신자유주의 모델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서는 설명을 시도하며, (3) 규제 중심 접근이 확대되는 동태적 메커니즘 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experiences of new nurses trained by clinical nursing educat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July 27 and August 12, 2021. The collected data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Six themes and 19 subthemes emerged. The themes included: “Worried about not adjusting to work”, “Not feeling at ease with the preceptor”, “Experiencing the benefits of working with the clinical nurse educator”, “Getting practical support from the clinical nurse educator”, “Receiving mental and emotional support from the clinical nurse educator”, and “Appreciating successful adjustment”.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or’s role in helping new nurses adjust to the workplace and develop competence.
Nurses help patients not lose their humanity to the end in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Because the nurse's frequent judgments at the clinical site are associated with human dignity, the nurse is required to judge and act ethically, and is responsible for making ethical decisions. Therefore, nurses are trained from nursing colleges to have ethical competence, and such 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even after graduation. A Medical Center Nursing Department implements various forms of ethical education to improve the ethical capacity of clinical nurses. Education is divided into four types: lectures, e-learning, workshops and clinical ethics counseling. All education was organized around real-life cases to realize that nursing ethics were not far from the actual work site but the closest problem encountered, and the core theories and issues were repeatedly and continuously exposed so that they could permeate into the nurse's ethical decision-making process. Of course, there are still more task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such as expanding debate-oriented education, promoting clinical ethics counseling, setting up a forum for sharing opinions on ethical issues such as the Ethics Round, but we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nursing ethics education programs by sharing specific case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at a tertiary Hospital.
1989년부터 1998년 우리 나라에서 관측된 우박 발생일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박은 주로 서해안(약 70%), 남부 내륙 지방, 대관령 부근에서 관측된다. 평균 크기는 약 0.6 cm 이며 계절적 차이를 보인다. 겨울에는 봄 동안은 녹는 고도가 낮아 낙하 경로가 짧지만 대기 하층의 가용 습기도 적어 우박 크기가 작다. 그 결과 이 기간동안 작은 크기의 우박이 서해안에서 자주 관측된다. 반대로 여름철은 대기 하층의 가용 습기가 많아 우박이 크게
전선에 의한 강수는 종종 한반도에서 국지적인 집중호우를 유발한다. 그러나 관측자료의 결핍과 전선의 중규모적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강수량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레이더의 공간 해상도는 수 km, 시간 해상도는 수 분으로 중규모 이하의 현상에 대한 관측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더의 효용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대표적인 전선성 강수 사례를 선택하여 중규모적 특성을 레이더 연직 단면 관측자료에 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