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뇨식이로 추천된 5가지의 식단과 설문조사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한국식단 설문조사 결과에서 가정식 10가지와 외식 9가지 식단을 선정하여 원칙적으로 500±10 kcal가 되도록 식단을 작성하였다. 남녀 정상인에게 섭취시킨 후 섭취전, 섭취후 15분, 30분, 60분, 90분, 120분에 혈당을 조사하고 glucose index(GI)를 계산하였다. 당뇨식으로 추천된 식단과 일반 가정 식단간 혈당 반응에는 큰 차이가 없이 일반적으로 곡규군의 단위수가 적으면 GI가 낮았으며 곡류군의 단위수가 같을때는 반찬의 종류에 따라 혈당반응에 큰 영향을 주었다. 곡류군에서는 밀가루 분식이 혈당상승 억제효과가 컸고 잡곡은 보리와 현미보다 약간 더 좋았다. 보리나 현미는 15%정도 이상 혼식하여야 효과가 있으며 5%이하는 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백미로 3단위 이상의 곡류군 섭취시는 혈당 상승이 높았으며 채소군의 섭취량과는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GI는 식사후 30분후의 혈당치와 RAR과는 고도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4,000원
        2.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오드가가 다른 4종류의 기본유(soybean oil, palmolein, coconut oil, corn oil)에 lecithin과 wax를 일정량 첨가하여 16종류의 시료 이형유를 만든 후 polyether sulphone로 피복한 철판에 케익을 구워 이탈율의 정도 그리고 이형유 제조 직후와 구운 후의 이형유 시료들의 산가와 과산화물가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첨가물보다 기본유 자체의 성질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오드가가 낮을수록 즉 포화 지방산이 많을수록 이탈률이 좋았다. 가장 좋은 이탈률을 보인 것은 coconut oil에 wax 2%와 lecithin 2%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으로 도포량에 관계없이 좋은 이탈률을 보였다. 2. 산가는 이형유 조제 직후에나 구운 후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Soybean oil, palmolein, corn oil, coconut oil은 각각 구운 후의 산가가 0.045, 0.048, 0.085, 0.044를 나타냈다. 3. 철판유 제조 직후 과산화물가는 soybean oil, palmolein, corn oil, coconut oil이 각각 1.19, 0.81, 1.00 그리고 1.10 이었으나 구운 후에는 7.9, 7.0, 10.9, 9.9로 고온에서 과산화물가가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4,000원
        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혐기성 광조건의 낮은 농도의 NH_4^+존재하에서 포도당으로부터 많은 양의 수소를 생성하는 홍색 비유황 광합성 세균을 수계혐기층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세균은 형태적, 배양적, 생리적 특성에 따라 Rhodobacter sphaeroides KS56으로 동정되었다.
        3,000원
        4.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솔잎 열수 증류액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값이 로서 매우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열수 증류액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한 돌연변이성 실험 결과 솔잎 열수 증류액 자체로서는 변이원성이 없었으며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직접변이원인 WNNG 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시료농도 에서 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NQO 에 대해서는 동일 농도에서 의
        5.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솔잎 열수 증류액 시료 자체의 음용수 적합성 여부와 향기성분 등 품질평가를 검토하였다. 음용수 평가 항목에 따라 총45종류의 성분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모두에서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인체에 유해한 비소 (As), 납 (Pb), 수은 (Hg) 및 카드뮴 (Cd)등과 같은 무기물이 검출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기타의 성분도 음용수 기준치 내의 함량을 나타냄으로서 음용수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솔잎 열수 증류액의 향기성분에
        6.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나무(Acer ginnala Max.) 껍질의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및 SRB assay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를 규명하였다. 시료자체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NNG ()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신나무 껍질 메탄올 추출물에서 시료농도 첨가시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일시료 농도에서 4NQO에 대하여서는 S. typhimuri
        7.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마늘 에탄올 추출물과 각종 유기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을 검토하였다. 시료자체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산마늘 에탄올 추출물(200/plate)에서 88.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동일 시료 농도에서 4NQO에 대해서는 S. typhimurim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에서 각각 76.4%와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