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地黃) 재배시(栽培時) 파종기(播種期)와 피복재료(被覆材料)가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지방종(地方種)을 공시(供試) 하여 파종기(播種期)를 4월(月) 10일(日), 4월(月) 25일(日), 5월(月) 10일(日), 피복재료(被覆材料)는 백색투명(白色透明) P. E.피복(被覆), 볏짚 피복(被覆) 재배(栽培)로 시험(試驗)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온(地溫)은 4월(月)부터 9월(月)까지는 백색투명(白色透明) P. E. 피복(被覆)> 노지(露地)> 볏짚피복(被覆)의 순(順)으로 높았다. 2. 출현(出現) 소요일수(所要日數)는 파종기간(播種期間)에는 대차(大差) 없었으나, 볏짚피복(被覆)은 노지(露地), 백색(白色) P. E. 피복(被覆)보다 10일(日) 정도(程度) 늦어졌다. 3. 엽장(葉長), 엽폭(葉幅)은 파종기(播種期), 피복재료간(被覆材料間)에 큰 차(差)는 볼 수 없었으며, 생존업수(生存業數)는 파종기(播種期)에서는 4월(月) 25일(日)>5월(月) 10일(日)> 4월(月) 10(일)日의 순(順)으로 감소(減少)되었다. 4. 뿌리 부위별(部位別) 당함양(糖含量)은 파종기간(播種期間)에는 5月(월) 10(일)日> 4月(월) 25일(日)> 4월(月) 10일(日) 순(順)이었고, 피복재료간(被覆材料間)에는 노지(露地)> 백색투명(白色透明) P. E. 피복(被覆)> 볏짚피복(被覆)의 순(順)이었다. 5. 10a당(當) 수양(收量)은 파종기간(播種期間)에는 4월(月) 10일(日) 파종(播種) 1, 150kg /10a에 비(比)하여 4월(月) 25일(日) 파종(播種)은 8% 증수(增收)되었지만 5월(月) 10일(日) 파종(播種)에서는 2% 감수(減收)되었으며 피복재료간(被覆材料間)에는 노지재배(露地栽培) 1,041kg에 비(比)하여 백색투명(白色透明) P. E. 피복(被覆) 재배(栽培)는 22%, 볏짚피복재배(被覆栽培)는 17%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다.
        2.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地黃)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화(影響)을 규명(究明)코자 지방재내종(地方在來種)을 공시(共試)하여 두둑 100cm에 휴폭(畦幅) 30cm × 주간(株間) l0cm 2열(列)(20주(株) / m2), 30 × l0cm 3열(列)(30주(株) / m2), 30 × l0cm 4열(列)(40주(株) / m2)로 하고, N-P2O5-K2O=12-12-l6kg / 10a, 퇴비 1,000kg/10a를 시용(施用), 4월(月) 11일(日)에 파종(播種)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出芽)은 재식밀도간(裁植密度間)에 차리(差異)가 없었고, 초장(草長)은 m2당(當) 20주구(株區) 15.5cm에 비(比)하여 30주구(株區)는 0.5cm, 40(주구株區)는 0.7cm가 각각(各各) 짧았으며, 엽장(葉長) 및 엽폭(葉幅)은 처리간(處理間)에 차리(差理)가 없었다. 2. 근장(根長)은 24cm 정도(程度)로 처리간(處理間)에 차리(差理)가 없었으나 근경(根莖)의 굵기는 m2당(當) 20주구(朱區)의 11.4mm에 비(比)하여 밀식(密植)일 수록 0.6mm, 1.2mm가 각각(各各) 가늘었으며, 주당근경수(株當根莖數)는 감소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10a당(當) 총(總) 수양(收量)은 m2당(當) 20주구(株區) 793kg에 비(比)하여, 30주구(株區)는 40%, 40주구(株區)는 45%가 각각(各各) 증수(增收) 되었고, 상품수양(商品收量)은 m2당(當) 20주구(朱區)의 420kg에 비(比)하여, 30주구(株區)는 48%, 40주구(株區)는 12%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으나, 중북부(中北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소득(所得)을 고려(考慮)한 지황(地黃)의 적정재식밀도(適正裁植密度)는 m2당(當) 30주(株)로 재배(栽培)하는 것이 유리(有利)하다고 판단(判斷)되었다.
        3.
        199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유질특성을 조사하여 품질 개선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보존 및 일본도입 100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Glycerides조성 분석에는 3품종을 공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대두 100품종의 기름함량은 12.1~23.0% 범위에 있었다. 2. 국내 육성종이 일본 도입종에 비하여 기름함량이 높은 품종이 많았고, 국내종 중에서는 추대두 품종이 하대두 품종에 비하여 기름함량이 높았다 3. 지방산 조성은 oleic과 linoleic산이 76 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4. 국내 품종들이 일본 도입종에 비하여, 그리고 추대두 품종들은 하대두 품종에 비해서 oleic산은 낮은 반면에 linoleic산은 높은 함량을 보였다 5. 공시품종들의 기름함량 증가는 palmitic산의 감소를 그리고 linoleic산의 상승을 나타내는 상관관계였다. 6. 종실중은 oleic산과는 정의 그리고 linoleic 및 linolenic산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7. 대두 3품종의 평균 Triglycerides 구성비율은 82.8%였는데 품종간에 차이가 컸다.
        4.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녹두재배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녹두의 지상부 형질,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종실성분 변화를 구명코자 숙전 및 개간전에 질소, 인산, 가리의 시비량을 달리하여 시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태는 토양류형에 관계없이 식물체 중앙부인 제5절간 > 기부절간 > 상위부위인 제9절간 순으로 굵었으며 특히 제5절간은 3요소시용과 상관이 있었다. 2. 식물체 상위 4개 절위의 엽병각은 숙전에서보다 개간전에서 증대되었다. 3. LAI는 어는 생육시기에서나 숙전에서 높았다. 특히 3요소 시용 및 3요소+퇴비시용구에서 높았으며 개간전에서는 인산의 효과가 현저하였다. 4. 개화후 20일의 LAI가 클수록 건물중 및 종실수량은 많아졌으며 NAR은 낮아졌다. 5. 숙전에서는 가리시용, 개간전에서는 인산시용에 의한 주당협수의 증가로 종실수량이 증가하였다. 6. 종실성분중 유지함량과 단백질함량과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7. 종실수량에 크게 영향하는 것은 개체당 협수로서 협수와 종실수량과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5.
        197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기도 부평군 소사(부천)에 가을 보리 품종 "칠보" 를 그리고 경북 칠곡군 동명에 품종 "제천 5초"를 각각 재식하고 각 지구에 보비 및 배비구를 설치하여 ethylene깨스 발생제인 Ethrel과 dl-methionine의 단응 또는 혼용으로 농도별 엽면살포를 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Ethrel은 보리초장을 작게 하는데 그 농도가 더함에 따라서 더욱 작아졌으며 이것은 지엽에서 이삭의 기부까지의 길이 즉 출수도가 작아짐으로서 이루어진 것이다. 2. 보리의 초장이 작을수록 도복은 적었으나 수장과 1000립중이 따라서 적어지며 결국 종실중 수량이 감소되었다. 3. 질소의 보비 및 배비의 무처리는 모두 도복되었는데 Ethrel 500ppm처리에서는 전혀 도복을 볼 수 없었고 도복된 무처리에 비하여 약 10%증수를 나타내었다. 4. 배비의 효과는 보비보다 초장을 좀더 길게하는 데 있었고 배비가 오히려 보비보다 수량이 적은 편이였다. 5. Ethrel보완제로서의 dl-methionine처리는 보리의 왜화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오히려 감수를 초래하였다. 우리나라 현 보리생산과 경제성의 관념에 입각하여 ethylene에 의한 왜화재배로 다비재배의 가능성과 증수재배의 전망을 논의하였다.능성과 증수재배의 전망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