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

        21.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는 일반적인 평면교차로보다 상충횟수가 적고 진입속도가 느려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피해정도 가 작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회전교차로 관련 각종 사고 자료나 연구들로 증명되고 있다. 이에 정 부에서는 회전교차로의 도입활성화 방안 추진에 따라 회전교차로의 설치를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회전교차로에서도 기하구조, 운전자의 부주의 등으로 교통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측면충돌, 후미추돌, 기타 등 다양한 충돌유형이 존재한다. 또한 오늘날 우리나라는 영업용 택배차량의 증가에 따라 화물차 등록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화물차의 경우 무거운 화물을 싣고 있고, 차량자체도 크기 때문에 사고가 일어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기존 회전교차 로 사고와 관련된 연구들 대부분이 전체차량에 대한 연구이며, 화물차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 회전교차로에서의 화물차 충돌유형을 측면충돌, 후미추돌, 기타로 나누어 모형을 개발하고 충돌유형별로 어떠한 요인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국내 회전교차로 76개소에서 발생한 2007~2014년까지 8개년도 화물차 교통사고건 수이며, 독립변수로는 교통류특성을 나타내는 교통량과 기하구조요인 등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프 로그램 LIMDEP 8.0과, SPSS20.0을 이용하였으며, 모형은 가산자료 모형인 포아송과 음이항 회귀모형 중 추정에 의해 더 적합한 모형을 선정하였다. 모형추정결과 충돌유형별 사고모형의 공통변수는 화물차 턱 폭이 채택되었으며, 특정변수로 측면충돌사고는 차로분리섬 유무, 화물차 턱 유무, 후미추돌사고는 유 입차로 폭, 제한속도표지판 유무, 기타사고는 내접원 직경, 교통량이 채택되었다. 또한 우도비 검정을 수 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모형이 개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2.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의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며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교통사고에 영 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크게 인적・환경적・물리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들 중 특히 토지이용에 중점을 두어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한다. 토지이용과 교통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하여 토지이용과 교통사고의 관계를 분 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토지이용은 교통수요를 유발하므로 교통사고 분석에 있어 서 토지이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회전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교통량이나 대형차 비율 등 통행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다를 것이 다. 따라서 이 연구는 ʻ회전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이 회전교차로 내 교통사고 발생에 차이를 보인다.ʼ는 가설을 전제로, 토지이용별 회전교차로 사고모형을 구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으로는 국내 회전교차로 100개소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TAAS에서 수집한 2007~2014년 에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이며, 독립변수로는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교통량, 기하구조, 환경 및 운전자 요인 등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분석에 앞서 먼저 회전교차로 주변의 용도지역(주거지역, 상업지역, 자연녹지지역)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토지이용의 분석 범위는 회전교차로 중심으로부 터 250m내에서 가로망을 따라 형성된 토지용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유형 Ⅰ은 상업용도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 해당되며, 유형 Ⅱ는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이 혼재된 지역, 유형 Ⅲ은 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은 지 역, 그리고 유형 Ⅳ는 자연녹지지역으로 이루어진 지역이 해당된다. 따라서 분류된 토지이용 유형별로 SPSS 20.0을 활용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사고모형을 구축하고자한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토지이용 유형별 교통사고 발생 요인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교차 로에서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대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3.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이며, 근본적인 교통사고의 감소를 위한 연구와 대책 마련 이 필요하다. 기존에 다수 진행되었던 차량여건이나 사고건수 연구는 단편적인 지표이기 때문에 복합적인 사고 예방과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사고밀도모형의 연구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모형을 적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이 연구는 심층적이고 다양한 교통 특성과 인구지표를 전국에 반영할 수 있는 교통사고 밀도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의 되는 자료는 전국 460개의 광역시 및 시・군구를 하나의 존으로 선정하여 2008~2015 년까지 발생한 교통사고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독립변수와 그에 따른 종속변수 사이의 관계를 도출하고,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다. 종속변수는 사고밀도로 정하고, 독립 변수는 인구밀도, 경제활동인구, 1인가구수, 고령인구수 등과 같은 인구 기반지표와 토지이용 및 사회경 제적인 지표들로 정하였다. 결정된 변수들의 상관분석 및 F검정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유의성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가장 신뢰성 있는 교통사고밀도 모형을 결정한다. 중점적인 관련 변수로는 인구밀도, 경 제활동인구, 고령인구수, 상업면적, 장애인비율 등과 같은 변수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 고, 반대로 속도방지시설과 같은 변수들은 음의 상관관계일 것으로 예측된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결과적 으로, 전국 시・군구 단위의 설명력있는 모형 개발과 이를 통한 정책평가나 장래의 계획에도 활용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24.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일반적으로 회전교차로의 유형은 기본유형과 특수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는 설치형태에 따라 초소형 회전교차로, 평면형 회전교차로, 입체형 회전교차로로 구분한다.(ʻ회전교차로 설 계지침ʼ(국토교통부,2014), ʻ도로용량편람ʼ(국토해양부,2013)) 또한 행정안전부에서는 생활도로형 회전교 차로를 1차로형 회전교차로와 2차로형 회전교차로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생활도로형 회전교차 로란 현재까지 회전교차로로 관련된 연구를 검토해보면 주로 기본유형에 관련된 분석이 많았다. 일부 소 형 회전교차로, 생활형 회전교차로 관련 연구들도 있지만 기본유형에 해당하는 회전교차로에 대한 분석에 비해 적은 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최근 교통 정온화 사업이 확산됨에 따라 기존 대 형차량의 통행이 적은 주거지역의 진입로를 회전교차로로 전환시켜 지역주민들의 안전성 확보 및 미관 향 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을 이용하여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에서의 교 통량별 평균지체를 분석하였다. 교차로의 유형은 행정안전부에서 제시한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의 설계 기준에 따라 1차로형과 2차로형으로 나누어 지체를 분석하였고 회전교차로가 아닌 비신호의 3지와 4지 교차로와 지체도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진입 교통량은 4지교차로에서는 시간당 100대~1000대 까지 100대씩 증가시켜 분석하였고, 3지교차로는 120대~900대까지 90대씩 증가시켜 총 60개의 시나리 오가 분석하였다.(10×6) 분석결과는 기존 운영되던 비신호 교차로보다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에서 평균 지체의 감소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는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 중에서 특수유형 회전교차로 중에서도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의 지 체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이는 대형차량의 통행이 적은 이면도로나 주거지역의 진입로에 회전교차로 설 치하는데 적합한 기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아가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 설치 증대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ltrasonic measured traits (Eye muscle area : EMA, backfat thickness : BF and marbling score : MS) of Hanwoo cows by months of age and periods around 1st calving.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aken 2,636 cows which were measured from 20 months old to 28 months old and within 5 months around 1st calving. According to comparison of cows' month of age, ultrasonic measured EMA, BF and 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1 months old and 26 months old, 21 months old and 25 months old and 23 months old and 27 months old, respectively. According to comparison of periods around 1st calving, ultrasonic measured EMA, BF and 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45 days and 30 days, -15 days and 75 days, -105 days and 90 days around 1st calving, respectively. The selection of cows could be possible based on the phenotypic ultrasonic measurement performance if the traits are measured between 23-month old and 25-month old and between - 15 days and 30 days around 1st calving.
        4,000원
        26.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가단위 개량체계에서 이용하는 도체형질 및 12개월령 체중과 부분육간의 유전 모수추정을 통하여 각 형질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형질은 1996년도부터 2013년까지 당·후대 검정한 한우 수소 및 거세우 총 10,351두의 부분육 중량 및 수율, 도체형질 그리고 12개월령 체중측정 자료이다. 유전모수 추정을 위하여 부분육 형질에는 차수, 검정지, 도축일의 고정효과와 도체 중을 공변량으로 포함하였으며, 도체형질은 동일한 고정효과에 도축일령을 공변량으로 하였다. 유전모 수 추정 결과 부분육 수율(%)의 유전력은 안심, 등심 및 채끝이 각각 0.53, 0.58 및 0.65였다. 등심수 율은 12개월령 체중,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그리고 근내지방도와 유전상관이 각각 0.13, 0.15, 0.61, -0.44 그리고 0.37이었다. 따라서 등심단면적이 크면 10가지 대분할육 중 경제적가치가 가장 높은 형질인 등심의 비율이 증가 할 것으로 사료되며, 도체의 육질을 결정하는데 주요한 형질인 근내지방도의 등급도 다소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2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ects of special roundabouts at large-scale rotaries in Korea.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comparing standard roundabouts with special roundabouts. METHODS: This study reviews the various types of roundabouts, creates 270 scenarios, builds networks, and comparatively analyzes the operational effects by using VISSIM simulation model and SSAM(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RESULTS : First, the operational effects of standard and signalized roundabouts were analyzed, and it was determined that standard roundabouts are the best in the case of under-saturated traffic volume, and signalized roundabouts are the best in the case of over-saturated traffic volume. Second, the operational benefits of a Turbo roundabout were evaluated to be generally lower than the benefits of a standard roundabout, and the benefits of a Turbo roundabout increase when right-turn traffic volume increases. Finally, the safety conflicts of a Turbo roundabout were determined to be the least and decrease when right-turn traffic volume increase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urbo roundabouts rank highest for safety, and signalized roundabouts are best for oversaturated traffic volume.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policy decision-making.
        4,000원
        2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henotypic relationships among calving difficulty, calf birth weight and gestation length of Holstein dairy cattle under the environment of Korea. A total of 1,834 calving records collected by Dairy Science Division of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2000 to 2014 was analyzed. General linear multivariate models for calving difficulty scores (CD: 1=no assistance, 2=minor assistance, 3=two to three persons assisted, 4=more than three persons assisted, 5=cesarean section), calf body weight at birth (BW), and gestation length (GL) included fixed effects of year and season (spring, summer, autumn, winter) of births (YS), sex of calves, and parity. For GL and BW, all three fixed effects (YS, sex of calves, parity) were significant (p<0.05). For CD, the effects of YS and sex of calves were significant (p<0.05). Bull calves were born with heavier BW by 3.18 kg, with greater CD by 0.18 point and with longer GL by 0.6 days than heifer calves. The least squares mean of BW was the heaviest at the third parity (44.1 kg) compared to those at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fourth parities or later (41.3-41.9 kg). The least squares mean CD at the first parity was 1.74 point, which was higher than CD at the second and later parities (about 1.68 points). Phenotypic correlation (partial residual correlation) between GL and BW was 0.36. But those between GL and CD and between BW and CD were -0.03 and 0.04, almost zeros. To conclude, we observed higher incidence of calving difficulty in the first calving than in the later ones.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f’s birth weight and calving difficulty is needed
        4,000원
        2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deals with the traffic accidents classified by the traffic analysis zone. The purpose is to develop the accident density models by using zonal traffic and socioeconomic data. METHODS : The traffic accident density models are developed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three multiple linear models were develop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raffic accident density, which is a measure of the relative distribution of traffic accident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various traff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CONCLUSIONS : Three traffic accident density models were developed, and all mod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oad length, trip production volume, intersections, van ratio, and number of vehicles per person in the transportation-based model were analyzed to be positive to the accident.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ratio and transportation vulnerability ratio obtained using the socioeconomic-based model were found to affect the accident. The major arterial road ratio, trip production volume, intersection, van ratio, commercial ratio, and number of companies in the integrated model were also found to be related to the accident.
        4,000원
        30.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케토시스 지표형질에 영향하는 환경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비유단계, 계절 및 착유시간에 대한 생산형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유량은 비유일수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고, 유지방 함량, 유단백 함량, 무지고형분 함량은 DIM1(비유초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생산형질의 변화를 살펴보면 유량은 봄·겨울에 높게 나타났고, 유지방 함량과유당 함량, Acetone 및 BHBA 모두 가을에 높게 나타났다.또한 유량은 오전 착유시간이 높았고, 유지방 함량 및 유단백함량은 오후 시간대가 높게 나타났다. 환경요인에 따른 생산형질 및 케토시스 지표형질의 함량은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분석모형을 설정함에 있어 위의 환경요인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생산형질과 케토시스 지표형질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유량의 경우 Acetone 및 BHBA의 수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추세를 보였고, 유지방 함량은 반대로 Acetone 및 BHBA의수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유단계와BHBA의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기존의 결과와 반대로 분석결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전력은 착유일5 ~ 20일에서 0.03 착유일 21 ~ 40일은 0.05 착유일 41 ~ 60일은 0.04 착유일 61 ~ 80일은 0.08 착유일 81 ~ 100일은 0.04의 유전력을 보였다. 이는 비유 5일째에 준임상형 케토시스의발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때 유전력이 낮게 추정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1산차의 분석 자료수가 충분치 않은 결과로 추정된다. 케토시스 저항성개체 선발을 위한 유전평가모형에 적용가능한 선발지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해의 축적된 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능력검정체계에 이용되는 선발형질에 따른 부분육 중량 및 수율의 간접선발반응을 파 악하고 부분육 형질을 선발형질로 포함하였을 경우 선호부위의 유전적 개량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ZPLAN+를 이용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1996년도부터 2013년까지 농협 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 도 축산연구센터,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육종농가에서 당·후대 검정한 한우 수 소 및 거세우 총 10,351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후보 및 보증씨수소 선발가중치와 동일조건 하에서 등심단면적의 가중치를 각각 1, 3, 6으로 하였을 때 등심수율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은 각각 0.222%, 0.282%, 0.328%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현재 선발가중치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분육 형질 을 선발형질로 포함하여 등심수율에만 가중치를 주었을 경우 갈비, 채끝수율은 등심수율과 함께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심수율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또한 안심, 등심, 채끝 등 의 선호부위에 8가지의 경우의 수(가중치: 1 또는 2)로 그룹별 가중치를 주었을 경우, 가중치가 각각 2:2:2인 그룹에서 선호부위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선호되는 부위의 생산량 증대 를 위해서는 이들 부위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한우의 선발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4,900원
        3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roundabouts are generally influenced by location as well as traffic volum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urban and rural roundabout accident models and to discuss safety improvement guidelines based on the model. METHODS : To analyze accidents, count data models are utiliz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accident data from 2010 to 2013 for 56 roundabouts collected from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SS) of Road Traffic Authority.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using NLOGIT 4.0.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es that there are distribution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ccidents and injuries/fatalities among rural and urban roundabouts were accepted. Second,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ccident models, which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developed. Seven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adopted. Third, the common variable of models was evaluated to be traffic volume. CONCLUSIONS : This study developed two negative binomial roundabout accident models and suggested some accident reduction strategie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the safety improvement of roundabout.
        4,000원
        3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는 지체감소, 안전성 증진, 도시미관 개선 등 많은 장점을 가진 교차로로 국외뿐 아니라, 국 내에서도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초반 회전교차로 도입 검토를 시작으로 2004년 회전교차로 잠정지의 발간 및 2010 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발간을 통해 도입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2011년 정부의 적극적인 도입 장려를 통해 활발하게 설치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 회전교차로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도 입 효과 분석 및 시뮬레이션 분석에 국한되어 있었던 연구 분야도 실제 운영 중인 회전교차로의 자료를 통한 사고모형 개발 및 용량 모형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내 회전교차로에 대한 연구는 연구 기간 및 장소의 한계, 급진적인 도입으로 인한 운전자의 혼란 등으로 연구의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최근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1960년 초반 회전교차로를 도입을 시작한 유럽이나 미국 등에 비해 누적된 연구가 부족한 것도 현실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회전교차로의 연구 성과를 비교 및 정리하고, 향후 연구 분야 및 과제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 연구를 활성화하고 연구 결과를 고찰하는데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발간 이후 국내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2013년까지 전국 364개의 회전교차로가 설치되었으며, 향후 2022년까지 1,592개소를 설치할 예 정이라고 밝혔다(안전행정부, 2014). 그러나 회전교차로의 경우 특징이 설치조건 및 운영특성이 명확하기 때문에 도입 가능한 교차로가 한정되어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2015년부터는 1일 15,000대 미만인 구간을 대상으로 회전교차로의 확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밝힌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국내와는 달리 회전교차로가 일찍이 도입되어 왔던 미국, 유럽 등 세계 여러나라의 경우 기존에 도입되고 있던 표준적인 회전교차로에서 많은 진전이 이루어져 왔다. 2차로 회전교차로의 단점을 극복한 Turbo형 회전교차로, Flower형 회전교차로, Target형 회전교차로가 개발되었다. 또한 높은 진입교통량 으로 인한 지체증가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신호형 회전교차로가 운영되고 있다. 이 외에도 자전거 이용자 들과 진입차량의 합리적인 이용을 위한 C-Roundabout, 교통량 방향비에 따라 설치되는 햄버거형, 좌회 전 Slip-lane형 등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가 존재한다. 이처럼 많은 유형의 회전교차로가 개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는 표준적인 회전교차로 의 도입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국내 회전교차로 도입이 최근에 이루어졌으며, 아직 정착단계에 이르 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착단계 이후에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향후 국내 정서에 적합한 회전교차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다양한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를 소개하며, 이 중 기존 회전교차로와 기 하구조 및 운영방식이 상이한 Target형 및 Turbine형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35.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통사고는 2013년 한 해 동안 총 215,354건이며, 최근 5년간 교통여건 및 교통안전정책의 발전으로 평균 1.84%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OECD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2012년 기준으로 OECD평균인 310.4건에 비해 약 1.4배 많은 447.3건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이는 교통사고가 아직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원인 규명과 대안이 필요하다. 기존 진행되어 왔던 교통사고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인적요인, 차량요인, 도로환경 요 인과 같은 점, 선적인 여건들을 중점으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근본적이 해결 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여건들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다양한 여건들을 아우르는 지역적 특성과 함께 복합적인 요인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공 간적 범위 대상지를 청주시로 하고, 면적인 차원에서의 토지이용변수를 활용하여 존별 특성을 반영한 교 통사고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주시의 30개의 행정동을 존으로 구분하여 각 존별 토지이용 과 교통여건, 사회경제적 특성을 변수로 활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36.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의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과 같은 장점은 국․내외 많은 연구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런 회전교차 로의 장점 중 높은 운영 효율은 신호 대기로 인한 불필요한 제어지체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 하지 만 일정 교통량 이상의 경우에는 교차로 내 잠긴 현상 등으로 인해 지체가 발생하여 오히려 운영 효율이 낮 아진다. 이런 이유로 회전교차로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회전교차로 전환의 국내 기준은 회전교차로 설계지침(국토해양부, 2010)에 나타나 있다. 회전교차로 설 계지침에서는 회전교차로 전환 기준을 일교통량 1차로형 12,000대/일 이하, 2차로형 20,000대/일 이하, 첨두시 진입로의 차로당 교통량 125~450대/시, 좌회전 비율 30% 미만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설계 지침 상의 교통량 기준은 기초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매우 보우적인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다. 회전교차로에서 많은 교통량을 처리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안은 신호 동시 운영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다. 하지만 신호 운영 회전교차로는 신호교차로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제어지체를 발생시킨다. 이소영 등(2012)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회전교차로에 램프 미터링 시스템 도입을 제안하였으 나, 이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어 다른 운영 형태와의 효율성 비교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와 회전교차로를 교대로 운영하는 교차로를 제안하고 운영 효율성을 분 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에 첨두시 신호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지체 분석을 통해 이런 교차로의 운영 효율 측면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회전교차로의 특성 및 제약 조건 등을 살펴보고, 국내외 연구를 고찰한다. 둘째, 국내 교통 운영 자료를 통해 회전교차로의 운영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설계 기준 및 교통량 자료를 토대로 신호 운영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aaSIDRA를 통해 시나리오별 지체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는 표 1과 같다. 총 540개의 시나리오를 분석하였으며, 회전교차로 6 유형, 진입 교통량을 100대부터 1,500대까지 100대 간격, 6가지 회전 비율을 토대로 하였다.
        37.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의 자료에 의하면, 2014년 교통사고 사망자는 4762명으로 2013년 5092명에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197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자동차 등록 대수 2천만 시대에 유의미한 성과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통안전 수준은 OECD 최하위 수준으 로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2012년 기준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 수는 2.4명으로 OECD 평균 1.1명(영국 0.5명, 미국 1.3명, 일본 0.7명, 독일 0.7명)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사망사고는 총돌 속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2년 발생한 교통사고를 살펴보면, 사고 직전의 속도가 높을 수록치사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제한속도 초과 사망자 수 1,137 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5,392명)의 21.1%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도로의 제한속도를 초과 한 경우 일반 사고에 비해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고 심각도와 속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국내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인 모형의 정립을 통해 속도와 교통사고 심각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도로의 설계 속도를 기준으로 그룹을 분류하여 도로의 설계 속도별로 속도 위반 정도가 사망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분석 모형은 random parameter ordered logit model을 활용하였으며, 분 석에 활용한 자료는 2012년 특별․광역시의 사고 자료 중 단일로에서 발생한 사고 중 속도가 확인 가능한 자료 26,582건이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관련 연구 및 분석방법론을 검토한다. 둘째, 설 계 속도에 따라 60km 이하, 60~90km, 100km 이상의 세 그룹을 분류하고, 그룹별 사고 심각도를 분석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 도로의 설계 속도가 높을수록 제한 속도 위반이 사고 심각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2당의 과속 여부보다는 1당의 과속여부가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 되었다.
        38.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는 교차로 중앙에 원형의 교통섬을 두어 통과차량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우회하여 통과하는 교차로이다. 사고감소, 안전성 향상, 운영비 감소, 연료소모 및 대기오염 감소 등 그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유럽, 미국 등 세계 곳곳에서 도입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도 2010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이 발 간되었으며,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 정책과제 중 주요 사업으로 중 하나로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적극 장려되고 있다. 회전교차로는 교통량, 회전비율, 상충감소 등 교통운영 특성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2차로 회전교차로의 상충지점 감소를 위한 터보형 회전교차로, 자전거 이용자들을 위한 C-Rounabout, 우회전 교통량 처리를 위한 플라워형 회전교차로 등이 있다. 이러한 특수 유형의 회전교 차로는 특정 교통운영특성을 지니고 있는 교차로의 문제점 해결과 운영효율 극대화 효과를 가져온다. 회전교차로는 국내의 경우 도입 및 정착단계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수유형 회전교차로 도입은 운전 자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정착단계 이후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다 양한 형태의 회전교차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기존 개발되어 있는 특수 유형의 회전교차로를 소개하며, 회전교통량 비율에 따른 운영효과를 일반 회전교차로와 비교분석 하 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미시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활용하여 일반형, 플아워형, 터보형, 좌회전 slip-lane형 및 햄버거형 회전교차로를 분석하였다. 총 375개(5×15×5) 시나리오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세부 시나리오는 표 1과 같다. 조건 1에서는 회전교차로 유형, 조건 2는 접근로당 교통량 으로 설정하였으며, 조건 3의 경우 교통량 방향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량 방향비에 따른 회전교차로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 대한다.
        3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vel cost according to transferring from rotary to roundabout in Korea. METHODS: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investigating the existing 48 rotaries in Korea and building the networks of before and after improvements using VISSIM, and analyzing their travel costs.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field survey, the domestic rotaries were analyzed to need many improvements of geometric structure for the effective operation. Second, the difference of travel cost at 3-legged rotaries were evaluated to be less than other types of rotaries due to low traffic volume. Finally, the travel cost of 4-legged and multi-legged rotaries were analyzed to rapidly increase by increasing volume.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using both real and simulation data unlike the existing studies.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future research topics which compare and evaluate the relations between real data and simulation outputs.
        4,200원
        40.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우리나라 65세 이상인 인구의 비율이 12%를 넘으면서 고령운전자가 일으키는 교통사고도 함께 늘 어나고 있다. 교통안전공단과 경찰청의 자료에 따르면 고령자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2008년 10,155건에서 2012년 15,190건으로 5년간 49.5%가 증가했으며, 작년과 비교했을 땐 11.7%가 증가했다. 또한, 고령운전 자 교통사고의 사망자와 부상자는 2008년과 2012년 사이에 각각 28.4%, 46.6%가 증가했다. 청주시의 2012년 기준 고령인구는 57,500인, 고령인구 비율이 8.62%로 고령화 사회의 기준인 7%를 넘 어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령운전자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에서 발생한 존별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의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사고빈도 모형 및 사고 심각도 모형을 개발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