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26.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ppa conspersa (Matsumura, 1931)를 포함한 Ippa Walker, 1864 속의 한국 분포를 최초로 확인하였다. I. conspera의 유충은 Lasius (Lasius) spp. 와 같은 몇몇 개미류를 포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국산 I. consper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 유충의 외부 형태를 기재하 고 도판을 제시하였다.
        4,000원
        27.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미기록속인 까마귀나비속의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최초로 보고한다. 푸른줄까마귀왕나비의 암컷 형태와 생식기, 채집 지 등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 바코드 염기서열을 정보를 제공하였다.
        3,000원
        2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가에서 수거한 돈분뇨 고형물을 원료로 하여 퇴비단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방법을 4 가지(T1, T2, T3, T4)로 구분하여 33일 동안 퇴비화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처리형태별 각 퇴비단의 온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송풍을 실시한 퇴비단 T1의 온도는 퇴비화 개시 직후부터 급격하게 상승하여 퇴비화 1일 이내에 65oC까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송풍 처리구간의 온도변화 곡선을 보면 공기 배출통 로를 설치한 처리구 T3, T4가 단순 송풍구 T2에 비해 퇴비단의 온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퇴비단의 pH는 전체 처리구 모두에서 퇴비화 초기 단계에서는 pH 수준이 약간 낮아지다가 퇴비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3. 실험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 처리구별 퇴비의 수분함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 감소 정도는 T1, T2, T3, T4 모두 다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4. 퇴비중의 VS 함량은 전체 처리구 모두에서 퇴비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VS 감소 정도는 T1과 T2에 비해 T3와 T4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T1과 T2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5. 퇴비화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EC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T4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6. 송풍조건에 따른 각 처리구별 종자발아 지수는 T2와 T3에 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T1과 T4는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 났다. 7. 송풍조건에 따른 각 처리구별 부숙도는 전체 처리구 모두에서 퇴비화 개시 후 9일 이후부터는 부숙이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숙도는 T2와 T3에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T1과 T4는 상대적으로 더 늦게 부숙 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자 발아지수를 기준으로 할 때는 T2와 T3 처리구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4,000원
        3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퇴비단 내에서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력 억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염소 분 퇴비, 젖소 분 퇴비 그리고 한우 분 퇴비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를 거즈에 싸서 퇴비단 내에 묻어놓고 1.5일, 3일, 10일, 20일 경과 후 종자를 회수한 뒤 발아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율은 가축 분의 종류와 퇴비화 방법에 관계없이 퇴비단의 온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60∼70°C인 조건의 퇴비단에서 1.5일 동안 머무른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는 발아력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반면에 퇴비단 최고 온도가 51°C 이하인 퇴비단에서는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가 퇴비단 내에서 20일간 머무른 후에도 10 % 정도의 발아력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가축 분 퇴비화단계에서 최소 55°C 이상의 온도를 3일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퇴비단 온도가 60∼70°C 정도 상승한다면 약 1.5일 정도 체류하는 것으로도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력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퇴비화 방법을 기준으로 보면, 호기적 퇴비화 방법이 퇴비단의 온도상승기간이 더 짧았다. 따라서 호기적 퇴비화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력을 억제하는데 더 효율적일 것이다.
        4,000원
        3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has been used as food material and traditional medicine in Asia. Using 1,603 valid patents from 6 countries, we analyzed the patent trend based on year, countries, applicants, and technology. The technologies are categorized into 6 groups which include material, additives, manufacture, cultivation, breeding and seed. The technology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were analyzed with quantitative factors such as cites per patent, patent impact index, patent family size and technology strength.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in the patent index, South Korea shows an increasing trend in patent numbers and total leverage ability, although the individual technology is lower than Japan and USA. Our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echnical trend to support the performance of new projects on balloon flower.
        4,000원
        34.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tanium carbide (TiC) powders a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carburization of titanium hydride (TiH2) powders. The TiH2 powders with size lower than 45 μm (-325 Mesh) are optimally produced by the hydrogenation process, and are mixed with graphite powder by ball milling. The mixtures are then heat-treated in an Ar atmosphere at 800-1200oC for carburization to occur. It has been experimentally and thermodynamically determined that the dehydrogenation, “TiH2 = Ti + H2”, and carburization, “Ti + C = TiC”, occur simultaneously over the reaction temperature range. The unreacted graphite content (free carbon) in each product is precisely measured by acid dissolution and by the filtering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maximal carbon stoichiometry of TiC0.94 is accomplished at 1200oC.
        4,000원
        3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속적인 대형 개발 사업에 노출되어 있는 수도권 서부의 습지 주변 6개 비오톱에 서식하는 육상곤충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5년 까지 총 11년간 장기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의 행정구역은 경기도 시흥시 및 화성시 일대였으며, 습지 주변 비오톱 6곳을 지정하여 조사지역으로 선택하였다. 조사시기는 4, 6, 8, 10의 2개월 간격을 최대한 유지하였으며, 매회 스위핑법(sweeping)을 활용한 주간조사를 하였고, 6월 조사에서는 1개 지점에서 유아등과 스크린을 이용한 야간채집을 함께 수행하였다. 2005년 총 10목 76과 255종 출현을 시작으로, 2006년 10목 83과 273종, 2007년 13목 86과 282종, 2008년 13목 110과 354종, 2009년 12목 107과 338종, 2010년 10목 97과 295종, 2011년 12목 106과 337종, 2012년 11목 75과 220종, 2013년 9목 85과 232종, 2014년 조사결과 총 10목 101과 314종, 2015년 조사결과 총 11목 99과 361종이 출현하였다. 2005년부터 연도별 출현종수를 비교하면 2005년 10목 76과 255종으로 시작해서, 2008년 13목 110과 354종으로 최대종수를 기록하였고, 이후 감소추세가 이어져 왔으나, 14년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기후변화 및 생물군집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3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과거, 국내에서는 1983년도까지 Crambidae과를 ‘벼명나방무리’라고 불렀다. 1983년부터 ‘포충나방과‘로 개칭된 이래로 현재까지 포충나방과로 불리고 있다. 보통 국명을 명명할 때에는 각 과에 해당하는 종들의 대표적 생태적, 형태적 특징을 이용한 이름을 이용하여 명명한다. 산명나방아과, 물명나방아과, 들명나방아과 등, Crambidae과가 속한 아과에는 주로 서식지를 특징으로 한 이름이 국명으로 지정되었다. 미국에서는 Crambidae과를 일반명으로 ‘Grass moth’로 명명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일반명을 ‘草螟科’로 명명하고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Crambidae과의 대표 아과인 Crambinae아과가 주로 서식하는 부들이나 옥수수 등의 초본류를 대표하는 ‘풀’이라는 단어를 따서 풀명나방과로 개칭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에 분포하는 Crambinae아과 48종 중, ‘포충’이란 국명이 들어간 40종에 대한 국명 또한 개칭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대중화하고자 한다.
        3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곡식좀나방과는 곡식좀나방상과(Tineoidea)에 속하며 전 세계적 으로 약 3,600여종이 광범위 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곡식좀나방과의 유충은 매우 광범위한 먹이원을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나비목의 유충이 섭식하는 식물성 먹이원을 섭식하는 종류부터 부식된 낙엽이나 썩은 나무, 버섯과 같은 균류를 섭취하는 종류, 동물성의 키틴이나 케라틴 조직을 섭취하는 종류까지 생태계에 있는 광범위한 종류의 유기물질을 섭식한다. 국내의 곡식좀나방과는 3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형태학적인 분류체계를 따르는 속단위의 분류군에서 비슷한 먹이원을 공유 하는 경우가 대다수 이기 때문에 파악한 먹이원의 종류를 연구에 적용한다면 다수의 국내 미기록 종 및 신종의 추가가 기대된다. 조사는 해외의 문헌을 기초로 하였으며 문헌조사결과에 따라 먹이원의 수집 및 먹이원을 활용한 트랩을 이용하였고, 곡식좀나방과의 옷좀나방아과 2종과 버섯좀나방아과 1종의 유충 및 성충의 사진을 첨부하였다.
        38.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densification of copper powders during high-pressure torsion (HPT) at room temperature is investigat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enter of the workpiece is the first to reach the true density of copper during the compressive stage because the pressure is higher at the center than the periphery. Subsequently, whole workpiece reaches true density after compression due to the high pressure. In addition, the effective strain is increased along the radius during torsional stage. After one rotation, the periphery shows that the effective strain is increased up to 25, which is extensive deformation. These high pressure and severe strain do not only play a key role in consolidation of copper powders but also make the matrix harder by grain refinement.
        3,000원
        3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남한강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수원지로서 수질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최근 국가사업으로 수행된 4대강 공사는 하천구조에 많은 변화를 가져 왔고 이에 대해 생태환경적으로 많은 의견과 우려를 낳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수환 경의 지표생물로 가치가 높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의 조사를 통해 서식 양상 과 변화를 확인한다면 현재 남한강 지역의 생태환경 분석에 간접적인 지표가 될 것 이라 판단하여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경기도 여주부터 북한강과 만나는 지점까지 남한강 구간에 총 12개의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2012년부터 2013년까지 분기별로 1회씩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Surber-net(30㎝×30㎝), scoop-net 등 의 Collector를 이용하여 정성채집을 실시한 다음, 1㎜ 체로 선별된 시료는 현장에 서 70% 알콜 용액에 고정하였다. 조사결과 총 7문 20목 62과 134종이 확인되었다. 조사시기별로는 1/4분기 48과 78종이 조사되었고, 2/4분기 45과 83종, 3/4분기 44 과 77종, 4/4분기 43과 70종이 확인되었다. 분류군별 출현종은 비곤충류에서 22종 (16.4%)이 출현하였고, 수서곤충은 하루살이목 26종(19.4%)으로 가장 많은 종수 를 나타냈으며, 잠자리목 22종(16.4%), 날도래목 20종(14.9%), 파리목 19종 (14.2%), 딱정벌레목 11종(8.2%), 노린재목 8종(6.0%), 강도래목 3종(2.2%), 뱀잠 자리목 2종(1.5%), 나비목 1종(0.7%) 순으로 나타났다.
        4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nano-scale copper powders were reduction treated in a hydrogen atmosphere at the relativelyhigh temperature of 350℃ in order to eliminate surface oxide layers, which are the main obstacles for fabricating anano/ultrafine grained bulk parts from the nano-scale powders. The changes in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beforeand after the hydrogen reduction treatment were evaluated by analyzing X-ray diffraction (XRD) line profile patternsusing the convolutional multiple whole profile (CMWP) procedure.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 from the XRD lineprofile analysis, transmitted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were performed on the specimen of the hydrogen reduc-tion treated powders fabricated using a focused ion beam process. A quasi-statically compacted specimen from the nano-scale powders was produced and Vickers micro-hardness was measured to verify the potential of the powders as thebasis for a bulk nano/ultrafine grained material. Although the bonding between particles and the growth in size of theparticles occurred, crystallites retained their nano-scale size evaluated using the XRD results. The hardness results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 powders for a nano/ultrafine grained material, once a good consolidation of powders isachieved.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