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81.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식물을 이용한 실내소형 컨테이너정원 조성 및 원예치료활동 등에 활용하기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어린이 교육용 컨텐츠로는 주로 향이 나는 식물과 움직이는 미모사나 소리에 반응하는 무초나 식충식물 컨텐츠를 활용하여 흥미를 유발하거나 동화정원을 만들어 어린이 동화를 중심으로 인형을 만들어 배치하고, 동물형태 토피어리를 이용하며, 밀폐형 비바리움컨텐츠를 만들어 식충식물, 식물+물고기, 식물+곤충, 식물+애완용동물(거북이 등)으로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Table 1).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의 경우 노인의 건강상태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원예컨텐츠를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노인의 건강정도는 양호한 경우,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 관절이 부자유 하거나 치매를 앓고 있는 경우로 구분되며, 또한 신체적 장애 외에도 심리적 장애와 사회적인 장애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Table 2, 3).
        82.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의 유전자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보존되지만 자생식물의 화색은 꽃식물로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측면에서도 큰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화색을 anthocyanidin 분석에 의해 좀 더 진보된 유전자원으로서의 역할을 증진시키기 위해 1차적으로 문헌을 통한 자생식물의 계절별 화색을 알아보아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자생식물은 총 107종을 선발하여 분류하였으며(Table 1), 한국 자원식물명총람, 한국의 야생식물, 야생화쉽게찾기 등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국내에는 관상가치가 높아 화훼작물로 개발 가능한 자생식물이 많이 있으나 화색에 관한 연구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화색 육종이나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 보존을 위해서 폭 넓은 자생식물의 화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화색육종을 위한 안토시아니딘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고자 한다.
        83.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식물의 약용적, 심리적, 공기정화 기능들이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을 통합한 원예활동 및 원예치료활동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원예활동범위를 넓히고 조경사업, 원예치료활동, 원예관련사업 다각화를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계절과 월별로, 원예식물을 이용한 실내소형 컨테이너정원 조성 및 원예치료활동 등에 활용가능한 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식물의 생육시기와 기능을 분류하고, 절기별로 컨텐츠를 제안하였다. 관상화훼학, 약용학, 관엽식물, 채소학 등의 다수의 참고자료를 이용하였으며, Table 1은 장식식물의 유형에 따른 컨텐츠, Table 2는 채소/약용식물의 이용이나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기준으로 정리한 개발가능한 컨텐츠의 일례이다.
        88.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의 급격한 가치관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가정이 와해되면서, 아동의 심리적 부적응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결손가정 아동의 건전한 심신발달을 위하여 원예활동 및 글쓰기 병행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K-HTPF 그림에서는 활동 후 사회성, 안정감 및 역동성 등이 증진되었다. 또한 원예활동 및 글쓰기를 통하여 아동은 자연친화적 태도를 보여 주었다. 그중 자연물에 대한 관찰 및 관심증대, 자연과 식물에 대한 지식증가, 식물을 가꾸고 돌봄에 대한 의식증가 등이 뚜렷하였다. ADS검사결과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으며, 원예활동에 대해 새로운 경험으로 인식, 만족감을 표출하였다.
        89.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well-being perception and well-being behavior in reference to use of plant resources. We analyzed the survey of 94(25 male, 69 female) about the well-being perception and well-being behavior by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y using SPSS/W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outdid in perception of mind-oriented and self-oriented in contrast with male. In part of well-being behavior, females were more active on wellbeing behaviors for foodstuffs and environmental factors while males for clothes factor. Second, mind-oriented and self-oriented perceptions of well-being showed up significant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being with plants or forests for leisure for the last 3 months, and well-being trend, sport-leisure, clothes and housing features in well-being behavior also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it. And mind-oriented, self-oriented perception of well-being and environmental features in well-be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urchasing plants for emotional happiness showed up significantly differences. Third, the higher mind-oriented perception of well-being is, the more well-being behavior including wellbeing trend, foodstuffs, health, housing, and environment increase. The higher the self-oriented is, the more well-being behavior including sport-leisure, housing, and environment increase.
        9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ect of psychological-horticultural therapy for promoting ecmotional intelligence. We carried out the program which was designed for promot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bjects were 11 children at K welfare center in Jungrang-gu. Children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program applied for 8 weeks. Emotional intelligenc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us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data were analyzed by wilcoxon t-test using SPSS 12.0. The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increased slightly after the program, but it was not significant. In qualitative viewpoint, children were changed in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and empathy and they experienc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