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

        6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pplication of industrial by-products as an ultra rapid hardening cement substitute for semi-rigid pavement grout was evaluated. The examination of abrasion resistance showed that the loss ratio was 8.0~11.5% in every mixing condition, which indicates a good abrasion resistance.
        6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VA Fiber on flexural yielding coupling beam. Test variable of this study is material type of coupling beam. Test results showed that coupling beam with PVA material experienced multiple micro craks.
        6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ybrid coupled shear wall with steel coupling beam has often been used to resisting system of earthquake load and transverse load. This study addresses the strain characteristics of coupling beam in hybrid wall system.
        6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hydration heat of cementless mortar containing FGD gypsum i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using cementless binder is more convenient to apply to secondary product of concrete than ordinary portland cement.
        66.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hydration heat and chloride migration properties of marine concrete with respect to the water-binder ratio and binder type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TBC(Ternary Blended Cement) applied marine concrete has a large water-binder ratio, the heat of hydration was found to be reduced and the chloride ion diffusion coefficient was small.
        67.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합 병렬 전단벽(Coupled shear walls)은 커플링 보와 철근콘크리트 벽체로 구성되어 바람이나 지진 등의 횡하중으로부터 유발된 전도모멘트의 상당 부분을 철골 연결보의 커플링 작용에 의하여 골조 작용(Frame action)을 의하여 횡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 상세에 따른 복합병렬 전단벽의 접합부 강도에 대한 규준식을 정립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병렬 전단벽 접합부에서 커플링 보의 매립길이 및 벽체 두께를 주변수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접합부 상세에 따른 복합 병렬 전단벽 시스템의 거동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결과, 실험체의 거동 및 내력은 매립길이 및 접합부 상세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설계시 이에 대한 영향을 반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8.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ecure the early strength of ternary blended cement mortar, using 3.5% anhydrite with a fineness of approximately 10,000cm2/g, was found to provide the most outstanding early strength properties.
        69.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and strain characteristics of steel coupling beam-wall connection. Test variable of this study is embedment length of steel coupling beam in the embedment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Specimens PSH2C-ST and PSH2C-ST experienced bearing failure, based on the observation of strain of concrete in the embedment region.
        70.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ilure modes of steel coupling beam-wall connection. Test variable of this study is types of material used, concrete and with pseudo strain 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PSH2C). The results showed that Specimen PSH2C-SB with longer embedment length of steel coupling beam exhibits good seismic performance than Specimen HCWS-SB.
        71.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hybrid coupled shear wall connection with new toughness material, pseudo strain 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PSH2C). Test variable of this study is the embedment length of steel coupling in connection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Specimen PSH2C-ST with longer embedment length of steel coupling beam exhibits good seismic performance than Specimen PSH2C-STE.
        7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 방사선학적 중재적 시술은 순환기계 또는 소화기계 병변의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 나 시술과정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은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에게도 잠재적인 위험요소로 인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납유리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방사선 피폭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납유리의 설치 전후의 방사선 피폭량 측정을 통 해 차폐 성능과 방사선 장해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0년 9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S병원에서 방사선학적 중재적 시술을 시행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 차폐를 위한 납유리는 납당량 1.6mmPb, 폭 100 cm, 두께 0.8cm 높이 100cm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자 와 시술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방사선량의 측정은 X-선관구로부터 50 cm, 150 cm의 거리에서 신체 부위(머 리, 가슴, 골반)에 따른 방사선 피폭량을 차폐 전후로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 30명 중 남자 13명, 여자 1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9세였다. 환자의 평균신장은 159.7 ± 6.7 cm였으며 체 중은 60.3 ± 5.9 kg이었으며 평균 체질량지수는 20.5 ± 3.0 kg/m2였다. X-선관구로부터의 출력량은 환자 개개인의 체질량지수와 강한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r=0.749, p=0.001). X-선관구로부터 50 cm에서의 방사선 피폭량 은 차폐 전 1530.2 ± 550.0 mR/hr, 차폐 후 50.3 ± 85.2 mR/hr로 감소하였으며 150 cm에서의 방사선 피폭량은 차폐 전 170.6 ± 60.1 mR/hr, 차폐 후 9.4 ± 8.0 mR/hr로 감소하였다. 차폐용 납유리의 사용은 머리, 가슴, 골반부위 모두 에서 방사선 피폭량을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감소시켰다(p=0.0001). 결론 : 차폐용 납유리의 사용은 방사선피폭량을 감소시켰다. 의료진은 개인방호뿐만 아니라 X-선관구로부터의 원 천적인 방호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