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목본 관상용 식물인 먼나무 (Ilex rotunda)와 으름덩굴(Akebia quinata)을 대상으로 삽목 효율을 분석하였다. 삽수는 녹지와 숙지로 구분하고 생장조절 제 indole-3-butyric acid (IBA)와 시판용 발근촉진제 루톤 (Rootone)을 처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발근율 (녹지, 숙지)은 먼나무(50.9, 19.0%) 및 으름덩굴(52.8, 28.5%) 로 두 수종 모두 숙지보다는 녹지가 손쉽게 발근되었다. 생장조절 제의 발근 촉진 효과는 녹지보다는 숙지에서 두드러졌으며, 생장 조절제 효과는 두 수종에서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IBA와 루톤에 대한 두 수종의 발근 반응이 다르게 나타냈다. IBA 1,000ppm 처리는 먼나무의 발근을 촉진시켰고(65.9%) 으름덩굴에서는 고 사에 따른 발근율 저하를 야기하였으며(5.0%), 오히려 으름덩굴 은 루톤 처리로 발근이 촉진되었다(83.3%).
        4,000원
        4.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저리는 식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충기가 오래 지속되면 더 좋다. 반면에 거저리의 개체수 유지를 위 해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유충이 빨리 성충이 되면 더 좋다. 이 연구에서는 개체군 밀도가 거저리의 발달 시 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이를 위해 상단 7 cm, 하단 5 cm, 높이 3 cm 크기의 용기를 사용했다. 거저리는 용기 당 1, 2, 5, 10, 20마리의 밀도로 용기에서 서식하였다. 용기에 밀기울 1 g을 넣고 거저리의 먹이 여부에 따라 라벨을 붙였다. 실험은 세 번 반복되었다. 모든 실험에서 개체군 밀도가 높을수록 유충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이 짧았 지만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먹이가 있는 그룹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 이 단축되었지만,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는 유충기를 연장하기 위해 더 낮은 밀 도가 필요하고 더 빠른 속도로 성충이 필요하다면 밀도가 더 높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거저리의 발달 시간은 개체수 밀도에 의해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8.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dose-response the effects of nano-encapsulated conjugated linoleic acids(CLA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profiles. A fistulated Holstein cow was used as a donor of rumen fluid. Nano-encapsulated CLAs(LF, 5% of nano-encapsulated CLA-FFA; HF, 10% of nano-encapsulated CLA-FFA; LT, 5% of nano-encapsulated CLA-TG; HT, 10% of nano-encapsulated CLA-TG) were added to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experiment. In the in vitro ruminal incubation test, the total gas production on incubation with nano-encapsulated CLA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ime, compared with the control(p<0.05). The tVFA concentrations on addition of LF and H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p<0.05). Thus, nano-encapsulated CLAs might improve the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ithout adverse effects on the incub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population of Butyrivibrio fibrisolven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ruminal biohydrogenation was increased by adding HT, while decreased by adding LF at 12 h incuba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nano-encapsulated CLA-FFA could be applied to enhance CLA levels in ruminants by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CLA without causing adverse effects on ruminal fermentation profiles considering the optimal dosage.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