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신품종 ‘진옥’ 포도와 대조품종인 ‘캠벨얼리’를 대상으로 재배작형을 노지, 비가림, 무가온 하우스로 나누어 수체생육 및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수체생육을 보면 ‘진옥’이 ‘캠벨얼리’ 보다 주요 생육기가 빠른 경향이었고, 수확기는 무가온 하우스 재배의 ‘진옥’ 품종이 8월 13일로 가장 빨랐으며, ‘ 캠벨얼리’ 품종은 8월 17일이었다. 노지 재배유형에서는 ‘진옥’ 품종이 8월 25일, ‘캠벨얼리’ 품종이 8월 29 일로 가장 늦었다. 신초경, 신초장 등 신초생육은 처리 간 비슷한 경향이었다. 과실특성을 조사한 결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무가온 하우스 재배 시 ‘진옥’과 ‘캠벨얼리’ 품종에서 각각 15.4oBrix, 15.9oBrix로 비슷한 경향이었고, 노지 재배에서는 각각 15.9oBrix, 15.8oBrix였으며, 과실의 산함량과 과피의 색도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병해충 발생은 6월 중순부터 갈색무늬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생육후기인 8월 상순에 조사한 갈색무늬병 피해엽률은 무가온하우스 재배의 ‘진옥’ 품종이 14%로 가장 낮았으며, 노지재배의 경우 ‘진옥’ 품종이 46%, ‘ 캠벨얼리’ 품종이 49%로 노지재배 유형에서 갈색무늬 병의 발생이 많아 생육후기 집중적인 방제가 필요한 것 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공장에서 미나리 재배시 명/암주기와 암기시간 동안의 상대습도 조절이 미나리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정식 후 30일째에 수확하여 생육 및 품질을 비교하였을 때 상대습도 60/ 90%(명/암기) 처리가 60/60% 처리보다 지상부 생체중이 뚜렷이 증가하였다. 상대습도60/60% 처리에서 명기가 연장될수록 지상부 생체중이 증가하였지만 60/90% 처리에서는 16/8h 처리에서 지상부 생체중이 가장 높았으며, 20/ 4h, 22/2h 순이었다. 팁번의 발생은 상대습도 60/90%에서 는 명/암주기 16/8h로 처리했을 때 1.4%로 매우 낮았으나, 명기 시간이 연장된20/4h, 22/2h 처리에서 각각 15.5% 30.3%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상대습도 60/60%에서는 명/ 암주기 16/8h에서도 팁번의 발생이 15.5%로 높았으며 20/ 4h, 22/2h 처리에서는 25% 이상 높게 나왔다. 줄기의 경도는 상대습도 60/90%, 명/암주기 16/8h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잎의 무기성분은 명기시간이 연장될수록 감소하였지만Ca의 함량은 상대습도 60/60%, 명/암주기 22/2h 처리를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000원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옥’ 포도의 안정생산을 위하여 무가온 하우스에서 착과량을 조절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 년간 수체생육 및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처리내용은 10a 기준으로 1.3t, 1.8t, 2.2t, 2.4t, 2.6t의 5처리로 하였다. 시험결과 신초경, 신초장, 절간장 등은 처리간 비슷한 경향 이었다. 숙기는 착과량이 많아 질수록 늦어지는 경향이었으며, 포도 ‘진옥’ 무가온 하우스 재배시 노지보다 수확기를 3주 정도 앞당길 수 있었다. 착과량이 많아질수록 수량은 많아졌으나, 평균과중은 착과량이 많을수록 작아져서 10a당 1.3t 착과한 처리구는 363g으로 가장 컸으며, 10a당 2.6t 착과한 처리구가 342g으로 가장 작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착과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수확 후 착과량에 따른 엽 및 신초내 무기성분함량은 처리 간 비슷한 경향이었다. 따라서 포도 ‘진옥’ 품종은 착과량 이 2.4t/10a 이하이면 생산량에 따라 품질차이가 없으며, 가용성 고형물 함량 15oBx 이상의 고품질 포도를 생산 할 수 있었으며, 위의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육성된 ‘진옥’ 포도의 지속적인 고품질 안전생산을 통하여 농가 소득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신고’(Pyrus pyrifolia cv. Niitaka) 배의 재배 중 착과량 조절 및 휴면기 저온처리에 따른 내한성을 분석하여 재배적지 설정 및 동해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착과량은 주당 36개, 60개, 84개로 조절하였으며, 수확시 10a당 착과량은 주당 36개 착과한 경우 2,393 kg으로 표준수량 보다 낮게 나왔다. 주당 60개를 착과한 경우에는 3,439 kg으로 표준수량과 비슷하였고, 84개를 착과한 경우에는 4,270 kg으로 과다 착과가 되었다. 동해 실험은 착과량을 달리한 나무에서 1년생 가지 및 꽃눈을 채취하여 온도를 -15℃, -20℃, -25℃, -30℃ 의 4수준으로 처리한 후 발아율과 갈변율, 전해질 누출율, 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TTC)검정, 무기성분 및 전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꽃눈을 포함한 1년생 가지의 발아율은 착과량이 증가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낮아졌고 착과량이 증가할수록 동해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변율은 착과량이 증가하고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TTC검정에서는 표준수량 보다 과다 착과한 경우에는 각 온도처리별로 흡광률이 낮게 나타나 조직의 활성 정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hrysanthemum indicum L. is used in medicine, for bee, ornamental as multivoltinism plant resources. Since ancient times, Chrysanthemum indicum L. had been widely used as drug and tea. To diversity and increase the demand of Chrysanthemum, it is breeding for medicinal herb, tea and ornamental flower. Therefore size and shape of plant, color of flower have been used for cross breeding. CI2013 lines collected from Jeju have been used for landscape and ornament. and CI2010 lines collected from Sancheong have been used for medicinal herb tea. As a result, many new lines were developed. Therefore it was carried out to use as a date for new varieties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good lines. Methods and Results : 7 lines were investigated and these plants were forstered and cultivated from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Hamyang). Breeding Lines were CI201001, CI201002, CI201005, CI201006, CI201303, CI201307, CI201401. The shape of CI201303 and CI201307 were round, plant height is low and width is wide, it may be used for landscape and ornament. As the size of flower in CI201005 was big, it may be used for medicinal herb tea. Conclusion : CI201303 and CI201307 lines were good for landscape and ornament because of round shape. CI201005 line was good for medicinal herb tea because of big flower.
        7.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ucuma longa L., in the family Zingiberaceae, is distributed in tropical and/or sub-tropical regions mainly in India and China. This species is commonly called tumeric, powder is used as medicinal herbs and/or flavor enhancer. It has been cultivated in southern region mainly Jindo. However, it might be possible to extend cultivation region due to rise in average temperature. In order to select superior lines, agronomic characteristics is commonly used. Because this is not the ultimate solution, the DNA marker approach has benefited the modern plant breeding. Therefore an easy approach by using one kind of primer have been developed from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sequences (RAPD) to discriminate effectively between different cultivars of Cucuma species Methods and Results : DNAs were extracted from the harvested roots of Cucuma sp. using DNeasy plant Mini kit (Qiagen, Hilen, Germany). These plants cultivated from GARES (Hamyang) and used for PCR amplification. The relativ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ed DNA was estimated Nano Drop ND-1000 (NanoDrop Technologies, Wklmington, De, USA) and final DNA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5.5 ng/㎕. In this study 9 primer pairs were tested on 8 Cucuma sp. These primers showed polymorphism in Cucuma sp. The cluster dendogram showed that the similarity coefficients ranged from 0.68 to 0.87, CUR02 turned out to be CUR11, and CUR16 is similar to CUR17. Conclusion : These finding could be used for further research on cultivar development by using molecular breeding techniques and for conservation of the genetic diversity of Cucuma species. These data on polymorphism difference based on RAPD will be give us invaluable breeding information by selection of superior 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