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r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o the production of fawn from deer nuclear transfer in the field of deer far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nuclear transfered embryo in deer. For estrus synchronization or superovulation tretments in flower deer and elk, each 10 does were inserted into the vagina for 14 days with CIDR (Pfizer New Zealand Ltd., NZ) for elk and Ring-CIDR (Bioculture Co., Ltd., Korea) for flower deer, and then those inserted devices were removed. The estrus synchronization of each 6 does were induced by the intramuscular injection of PGF2α (25 mg/head) and PG600 (hCG 200IU + PMSG 400IU, Intevet, Holland). Then, the superovulation of each 4 does of flower deer and elk was induced by additional injection of FSH (200 mg/ head) twice with an interval of 24 hours , respectively. Follicular oocytes were collected from each 2 does superovulated after 48 hours since the injection of PG600 and FSH. In the meantime, the ovarian response and the number of the collected ovarian follicles were investigated with the surgical operations. As a result, the average number of the collected ovarian follicles were 8.5 and 9.0 in flower deer and elk, respectively. The ovarian follicles collected from each two does were cultured in vitro for 48 hours with m-DMEM medium, and then the cell fusion was carried out after the nuclear transfer by the antler cell. As a result, 5 out of 18 ovarian follicles collected from 2 elk does were reached on the MII stage, but there was no generation resulting from the nuclear transferred embryos by the antler cell after enucleation. In 2 flower does, 7 out of 17 ovarian follicles were reached to the MII stage, but one of them was developed to parthenogenetic embryo as well despite a case of fusion from the nuclear transferred embryo. Embryos were collected in a surgical way on the 7th day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numbers of average embryos collected were 2.5 and 3.0 in each 2 flower deer and elk does superovulated, respectively. The collected two embryos were transplanted to each 2 does synchronized. As a result, a head of fawn was produced from only one elk doe, where as a head of fawn were delivered from one out of 4 elk does artificial inseminated. Given these findings, we consider that more or less of problems might have occurred in vitro culture system of ovarian follicles in the production of nuclear transfered deer embryos. In addition, the greatest reason why both the ae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failed was considered attributable to stress due to anesthesia and catching.
        3.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가대표 남자체조선수를 대상으로 심리기술훈련이 체조경기 경쟁상태불안과 수행전략을 통해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고 연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 참가한 5명의 국가대표 남자체조선수를 대상으로 경쟁상태불안 질문지, 심리기술훈련 질문지, 한국판수행전략 질문지를 이용하여 심리기술훈련 전과 후 심리기술에 대한 인식과 연기력 변화에 대해 양적·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점진적으로 국가대표 남자체조선수의 경쟁상태불안을 감소시키고, 수행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심리기술훈련이 체조 경기 경쟁상태불안과 수행전략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국가대표 남자체조선수는 심리기술훈련을 통하여 체조 경기 경쟁상태불안을 감소시키고 수행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연기력 향상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MW-GSs represent approximately 1/3 of the total wheat gluten fraction, which have not been widely studied, even though they are important in the context of wheat end-use quality.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LMW-GS in korean wheat cultivars by 2DE in 32 cultivars of Korean wheat for the use of the basis of wheat breeding. We firstly identified spots corresponding each of Glu-3 alleles. The 2DE results for each cultivar will be used as reference map or protein marker discriminating wheat cultivars, wheat and rice, imported and Korean flour. Unexpectedly, five LMW-GS spots were found to be expressed at a common position in hexaploid wheat cultivars, and these spots might play something in glutenin biosynthesis. Total spot numbers were expressed variously between 20 and 10, and average spot number was shown 17.12. The average number of spots in Glu-A3, Glu-B3 and Glu-D3 were 3.0, 4.56 and 2.96 respectively. When the Korean wheat cultivars were compared with the Chinese spring (1.0) in the average relative expression level, Korean one’s were lower as 0.67. Especially, Gobun was the highest as 1.32 and Baekjoong was the lowest as 0.24. Also we investigated phylogenetic relationship based on frequency of HMW-GS spots and quantification value of each spot to all LMW-GS spots. As a result, the varieties of Korean wheat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재에 있어서 정원 구성요소들의 특징의 변화는 첫째, 상록교목과 초화류의 증가 MRC는 SMT에서 PMT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상록관목 MRC도 SMT에서 PMT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낙엽교목과 상록관목은 SMT에 가까워 질 수 록 MRC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낙엽관목은 모든 유형에서 RC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초화류는 정원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가장 큰 증가 RC를 보이는 항목으로 PMT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여섯째, 잔디의 경우에 있어서는 의미 있는 특징을 찾을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물에 있어서 정원 구성요소의 특징의 변화는 첫째, 모든 시설물의 조사 항목에서 PMT는 100%의 증가 RC를 보였다. 둘째, 구조물과 장식의 증가 RC는 SMT가 12.8%, HMT가 66.0%, PMT가 187.1%로 나타나 PMT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포장, 계단, 수요소의 항목은 SMT에서는 변동이 전혀 없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정원의 MRC는 유지관리유형과는 관계없이 일어났다. (2)정원의 MRC는 PMT로 갈수록 높아졌다. (3)식재의 MRC는 초화류가 가장 높았다. (4)시설물의 MRC는 구조물과 장식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정원을 설계할 때는 식재와 시설물에서의 MRC를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식재의 경우는 초화류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시설물의 경우는 구조물과 장식물을 설계의 최우선 과제로 고려할 때 향후 유지관리의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만족스러운 정원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택정원의 구성요소의 변화 추이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포천시 이곡리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0.65%, 낙엽교목이 -37%, 상록관목이 84.8%, 낙엽관목이 104.5%, 초화류가 56.3%, 잔디가 86.6%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는 22.2%, 초종의 변화는 250%로 증가했다. 시설물의 변화는 33.3%의 증가율을 보인다. 양주시 연곡리A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12.5%, 낙엽교목이 8.3%, 상록관목이 13.3% 낙엽관목이 -31.9%, 초화류가 46.5%, 잔디가 70.0%의 증감률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15.4%,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100%의 증가율을 보인다.양주시 연곡리B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상록교목이 588.8%, 낙엽교목이 5.9%, 상록관목이 62.5% 낙엽관목이 10.9%, 초화류가 0%, 잔디가 0%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11.1%,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60%의 증가율을 보인다.양주시 연곡리C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면에서상록교목이 50.0%, 낙엽교목이 -129.9%, 상록관목이 -10.6% 낙엽관목이-17.5%, 초화류가 10.2%, 잔디가0%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5.3%,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61.5%의 증가율을 보인다. 양주시 교현리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50.0%, 그리고 신규로 낙엽교목이 8주 상록관목이 526주 낙엽관목이 233주 증가하였고 , 초화류가13.6%, 잔디가 -55.8%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800%, 초종의 변화는 -75%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85.7%의 증가율을 보인다.이와 같은 주택정원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주택정원의 구성요소는 공간한정요소의 변화율이 클수록 공간수식적요소의 변화율도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