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삶의 질과 거주성 측면에서 국내 농촌지역의 실제 생활 환경을 분석하고 농촌 생활환경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 촌은 고령화, 인구감소, 경제활동 저하, 기초생활서비스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 기 위한 농촌 생활환경 개선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Quality of life)과 거주성(Livability)개념을 바탕으로 이론적 측면에서 국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농촌 생 활환경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삶의 질과 거주 성 측면에서의 이론적 연구 경향 분석을 통해 실제 우리나라 농촌 생활환경에 직면한 문제점을 분석하 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1)녹지 및 생태시설 조성, 2)지 역과 개인 및 주민 간 상호작용 개선, 3)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주거공간 마련, 4)다양한 관점에서 농촌환 경을 포괄할 수 있는 목표 설정의 4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내 농촌의 개선 목표로 제시되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더불어 농촌 회복력(Rural resilience)의 개념을 도입하면 농촌의 기능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화로 인한 인구이동과 기반시설의 낙후, 환경오염 등은 농촌지역의 쇠퇴로 이어졌으며, 이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생활서비스 저하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발사업 위주의 인프라 확충과 지원금 제공 중심의 정책대안은 농촌지역의 쇠퇴현상을 구조적이고 복합적으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측면에서 한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서 발생하는 쇠퇴현상과 생활서비스 저하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을 통해 인구 증가 정책이 아닌 산업 구조 개편, 농촌 경관 등의 경쟁력 확보 및 생활서비스 제공 등의 정책으로 농촌 생활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농촌지역 쇠퇴 현상에 대해 빈익빈 부익부(success to successful)와 처방의 실패(fixes that fail) 원형을 대입했다. 도시로 유입되는 인구의 증가와 성장의 강화는 농촌지역 인구의 감소와 쇠퇴의 악화로 이어지게 되었으며, 농촌쇠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일자리와 지원금을 확충하는 정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난개발로 이어져 농촌쇠퇴가 지속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앞선 구조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생활서비스가 저하되는 시스템에 대해 재정, 인프라, 접근성의 측면에서 구조를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주민들의 요구에 따른 생활서비스 공급방안, 접근성의 개선 등 농촌 주민들에게 생활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촌지역 쇠퇴현상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농촌재생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4,000원
        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on the policy direction settings that can accomplish regional revitalization by continuously developing the various theme of rural tourism and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e recent issues of SDGs are discussed, and their link with rural development, especially with rural tourism, are examined. To be specific, it focuses on healing-type rural tourism that is rising as a new theme in the tourism industry. The results have revealed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 indicators of SDGs and the needed resources for healing rural touris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rural tourism theme linkage, and to contribute to the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establishment of the detailed action indicators of rural tourism in line with SDGs. However, since research on SDGs is at an early stage, there is a need for further discussion on various examples from the rural tourism field.
        4,000원
        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rural landscape industrial network system and establish the roles and relationships of stakeholders within that system. The rural landscape industrial network system was set up systematically, based on five business model components: value proposition, target customer, value chain/organization, delivery design, and revenue stream. The roles and relationships of stakeholders were established using a case study of the typical industrialization using rural landscape. The proposed rural landscape industrial network system consists of core industry, auxiliary industry, and the network service industry that connects the two. It was designed to have a system for landscapes to maintain their rurality, with the mutual effects among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specialized organizations,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all described in the industries. Data from the rural landscape industrial network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to set the direction for industrialization using the rural landscape at villages.
        4,000원
        7.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수평-수직 착시(horizontal-vertical illusion)가 지각과 동작 제어 사이의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각적으로 지각된 결과와 운동수행에서의 결과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C 대학 체육학과 골프 전공자들로 KPGA와 KLPGA에 소속된 프로선수들 총 16 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과제는 총 두 가지가 실시되었다. 첫 번째는 지각 판단 과제로 수평-수직 착시를 세 가지 조건(200cm, 400cm, 600cm)으로 제시하여 시각적으로 선분의 길이를 확인한 후,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보행하고 판단된 위치에서 보행을 멈추는 과제를 각 조건에 따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10회씩 30회를 실시 하였다(총 60회). 두 번째 과제는 골프 퍼팅으로 지각 판단 과제와 동일한 세 가지 조건에서 진행되었다. 두 과제의 수행은 수평-수직 착시 조건에 따른 과제의 항상 오차(constant error: CE)를 통해 분석되었다. 산출된 자료는 2(수평-수직 착시 여부) x 3(착시 조건)에 의한 요인설계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factorial design) 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수평-수직 착시 여부와 착시 조건에 따른 지각 판단 과제와 골프 퍼팅 거리는 모두 시각적 착시에 의해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시 현상으로 수평 방향에 비해 수직 방향이 길게 지각되었으며 골프 퍼팅도 실제 길이 보다 길게 수행되었다.
        8.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착시에 의한 지각된 난이도 변화가 동작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 였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정상이거나 교정시력을 보유한 8명(남자 6명, 여자 2명)으로 우세 손이 오른손인 자들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Verbal 판단과제, 판단수행과제, 그리고 연속수행과제를 수행하였다. 각 과제별로 5cm, 10cm, 20cm로 난이도가 구분이 된 Inverted-T 도형을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Verbal 판단과제는 도형을 보여준 뒤 수평선과 수직선 중 어느 선이 더 길어 보이는지 구두로 표현하게 하였다. 판단수행과제는 연구 참여 자가 수평선과 수직선의 거리를 마크가 부착된 막대를 벌려 제시하게 하였으며, 이때 제시된 마크를 촬영하였다. 연속수행과제는 각 도형별 주어진 타겟을 40회 왕복 태핑 하는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총 운동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Verbal 판단과제 수행 결과 참여자 8명 모두 수직선이 길다고 판단하였다. 판단수행과제에서 5명의 참여자 가 수직선이 수평선보다 길다고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명의 참여자는 수평선이 수직선보다 길다고 하였다. 연속수행과제에서는 연속적인 움직임 수행 시 착시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난이도 지수가 커질수록 운동시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nverted-T 도형은 지각 판단 시 수직선을 긴 것으로 지각하였으나, 연속수행과제 시착시는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시스템이 두 개의 경로로 나뉘어 처리되는 것을 시사한다.
        9.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휴대폰을 활용한 동영상 피드백이 개방운동기술 중 하나인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기술 학습에(정확성, 일관성)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학습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운동학습 현장에서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기초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연구의 참여자는 20대 여성 26명으로 휴대폰 동영상 집단(8), 시범적 피드백 집단(9), 무 피드백 집단(9)에 무선배정 하였으며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기술에 대한 습득단계는 3(집단) × 5(분단), 파지단계는 3(집단) × 2(분단)의 요인설계 하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평균반경오차(MRE)와 이원변량 가변오차(BVE)이다. 결과: 첫째, 습득단계에서의 평균반경오차와 이원변량가변오차 분석결과, 분단에 따라 오차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집단에 따른 주 효과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집단과 시범적 피드백 집단이 무 피드백 집단보다 오차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파지단계에서 분단에 따라 평균반경오차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집단에 따른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 집단과 무 피드백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원변량 가변오차에서 분단에 따른 주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에 따른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 집단과 시범적 피드백 집단이 무피드백 집단에 비해 오차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은 기존의 전통적 방식인 시범적 피드백에 비해 더 높은 효율성을 지닌다고 사료되며 운동학습 현장에서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써 사용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