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meloblastoma and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showed quite different tumorigenesis and prognosis , Besides theil‘ growth potential and histological features , there must be an essential diffcJ'cncc in gene expJ'ession profile between ameloblatoma and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we1'e compared by im munohi stochemi stry and immunoblot methods using different monoclonal and monospecific antibodies against on cogenes, growth factors, signaling molecules‘ matrix proteins, enzymes, Based on the immunohi stochemical find ings previously J'epo1'ted in the literature we found some di stinguishing feature of gene expressions 1'0 1' the tu mOl'igenesis between ameloblastoma and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s , The hi s togeneti c and mol eculal' mechani sms of both tumors wiII be discussed
        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ragile X mental retardation (FMR) syndrome is the largest source of inherited mental retardation. The syndrome is usually caused by the transcriptional silencing of fragile X mental retardation gene (FMR-1). An 18 years old male wascompla띠ing of multiple toαh missing and abnormal facial profùe, of which signs were matemally dominant in his family. In the C)π。gene디c analysis the pa디ent and his parents did not show any discontinuity in the long arm end of X chromosome, but in the PCR produαs targeω19 the CGG repeat sequence in the 5' untranslated region of FMR gene both the patient'’ s and his mother' s gDNAs produced a normal and an extra bands, sized about 400 and 800 bps, respectively, while the his father' s gDNA produced only one normal band, sized about 400 bps. 까1US , we suppose that the pa디.ent has heterozygotic alleles of FMR gene inherited matemally, and that the patient s FMR gene was in a premutated state relevant to the dentofacial abnormalities.
        4,000원
        3.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pricot (Prunus armeniaca L.) cultivars show a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GSI) system, like other fruit species of Rosaceae family. Thu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ir S-genotypes in order for stable fruit set in commercial cultivation. S-genotypes of apricots were determined by PCR and test crosses. Three sets of consensus primers designed from Prunus S-RNases were used to amplify fragments containing the first and second S-RNase intron, respectively.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3 PCRs, we could identify SI genotypes of 33apricot cultivars. Several cultivars such as 'Heiwa', 'Yamagata No.3' and 'Shinsuoomi' had the self-compatible (Sc) allele. Self-pollination tests revealed that cultivars with Sc allele were self-compatible. Cross-pollination tests confirmed that there was cross-incompatibility between the cultivars with the same S-genotypes. These results might be very useful for growers for effective pollination and for breeders using these in cross breeding programs.
        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소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1989년 "양광"에 "홍로"를 인공교배 하여 얻은 실생 중 유망한 계통을 2002년 1차 선발하여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 '원교 가-30호'로 군위, 춘천 등 5개 지역에서 적응시험을 거쳐 2006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과실의 적숙기는 9월 상순으로 "홍로"와 비슷하다. 과형은 원원추형, 과피색은 선홍색, 바탕색은 녹황색, 과육색은 백색이다. 과실크기는 295 g으로 중 대과종이며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14
        5.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교 가-단과지 1호"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고품질 중생종 "Starkrimson"에 무측지성 "McIntosh Wijick"을 1992년에 교배하여,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 과실 특성이 뛰어난 계통을 중간모본으로 최종 선발 하였다. 만개기는 "홍로"와 비슷하거나 2일 정도 느리고, 숙기는 "홍로"보다 일주일 정도 느리다. 수세는 중, 수자는 반개 장형이고, 단과지 형성 및 착과량은 "홍로"와 같이 많은 편이
        6.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enturia nashicola에 의한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저항성 유전자원 탐색을 1997~1999년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포장검정 및 인공 접종을 실시하여 저항 성친으로 서양배 "청마려"을 선발하였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에서 고품질 만생종 "만수"에 "청마려"를 1997년에 교배하여 저항성 우량 계통인 중간모본 "원교나-흑성 2호" 을 2008년에 선발하였다. 2008년 만개일은 4월 19일로 "만수" 보다 1
        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는 배우체 자가 불화합성을 보이며, 이것은 단일 유전자좌의 복대립 유전자에 의하여 제어된다. '원교 나-자수정 2호'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고품질 조생종 '원황'에 '92-18-79' (오사이십세기 자식계통, S4smS4sm)를 2001년에 교배하여 얻은 계통 중에 자가 결실성이며 품질이 우수하여 중간모본으로 선발되었다. 만개기는 '오사이십세기'보다 1일 정도 빠르고 '원황'과는 유사하다. 수세는 중, 수자는 반개장형이다. 검은별무늬병(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