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4,3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수목원 전시원의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 여 유기물 멀칭재 처리에 대한 잡초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잡초인 쑥군락과 바랭이군락을 대상으로 고정방형구 (1×1㎡)를 3반복 설치하였다. 처리구의 유기물 멀칭재는 5가지 재료로 활엽수 우드칩, 침엽수 바크, 갈참나무 낙엽, 메타세쿼이 아 낙엽, 칠엽수 과피를 사용하였다. 멀칭재 중에서 갈참나무 낙엽, 활엽수 우드칩, 칠엽수 과피가 비교적 잡초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낙엽은 지중 온도를 낮게 유지 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습 효과가 뛰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멀칭재 처리는 일년생식물의 발 생은 억제하고, 지중식물 및 반지중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었다. 멀칭재의 무게보다 재료에 의한 빛 차단 면적이 잡초를 억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관리 방안 수립 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멀칭 시기 및 유기물 멀칭재의 유지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300원
        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내 전문전시원에 발생한 이입식물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이입식물 분포조사를 시행 하였다. 그 결과 자생식물 299종, 귀화식물 49종, 재배식물 13 종 총 63과 214속 361종이 조사되었다. 국화과가 63종으로 가장 많았고, 벼과, 사초과 순으로 발생하였다. 이입식물의 이입 경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상과 비교 분석 한 결과 309종이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로 확인되었으며, 전 문전시원 내 식재 식물이 확산된 경우가 17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귀화식물 49종을 원산지별로 구분하면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69.4%, 이입 시기별 1기와 3기의 비율이 90%를 차지하였 다. 귀화식물의 귀화도 분포 등급을 적용한 결과 4등급 이상이 면서 이입 시기가 3기인 식물 9종은 빠르게 확산할 우려가 큰 식물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국립수목원에 어느 정도 귀화식물이 분포하는지를 가늠하는 도시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15.0%로 나타났으며,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야생식물 중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가 출현하였 다. 이입식물은 자생식물군락과 전문전시원 내 관람로에 침입하 여 세력권을 확장하고 우점하는 경향이 있어 각각의 생태적 특 성을 고려한 제거 방법이 필요하다.
        4,200원
        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차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유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내 진화속을걷 는정원과 부추속전문전시원에 식재된 울릉산마늘의 화분매개곤충을 조사하였다. 2023년 5월 22일부터 6월 2일 까지 꽃이 70% 이상 개화하였을 때 포충망을 활용하여 8일간 곤충을 채집하였고, 각 전시원 별 식생(피도), 기후 (온도·습도·조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진화속을걷는정원에서 피도 60% 온도 26.4℃, 습도 31.5%, 조도 40953.6lx, 화분매개곤충 20과 450개체, 부추속전문전시원은 피도 90%, 온도 25.6℃, 습도 31.6%, 조도 6387lx, 화분매개곤충 15과 196개체로 나타났다. 온도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화속을걷는정원이 채집된 곤충의 다양성과 방문 빈도가 높았다. 시간대별 곤충의 방문 빈도를 비교해본 결과 온도와 조도는 개체수가 증가할 때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8.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원통형 종이포트 토마토 육묘시 Diniconazole의 처리방법이 도장억제 및 근권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엽면적, LAR, 초장, 충실도, 생체중, RGR 및 R/S 에서 시험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일한 농도를 처리했을 경우, 근권부와 지상부의 흡수도 차이로 인해 저면관수가 엽면살포에 비해 도장억제에 효과적이었다. 저면관수는 엽면시비의 10분의 1의 농도만으로도, 20~30%정도의 동일한 도장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디니코나졸 처리에의한 근권부 반응이 흥미로웠는데, 저면관수시 총근장, 근권부피, 평균 근경 및 근단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0.3mm 이하의 초미세근이 감소하고 0.3~0.6mm의 세근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원통형 종이포트 육묘시 저면관수를 하는 것이 기존 엽면시비에 비해 사용량이 적으면서도 도장억제 및 근권부 활착률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heat-moisture treatment (boiling or steaming for 45 min) prior to hot air drying (70 o C for 8 h) on water activity (Aw), moisture (MC), Brix, color, and texture of dried sweet potato slice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best pretreatment condition for producing dried sweet potato with the best eating quality. Dried sweet potato slices pretreated by boiling (BL) showed significantly lower Aw, MC, and hardness while Brix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th steaming (ST) 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color,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indexes. At 8 h drying, the Aw, MC, Brix, and hardness of the BL and ST samples were 0.81 and 0.82, 19.71% and 25.53%, 53.80% and 49.40%, and 20.49 kg/cm 2 and 31.98 kg/ cm 2 , respectively.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for manufacturers in the production of dried sweet potato slices.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of the feasibility of heat-moisture treatments in the production of dried sweet potato.
        4,000원
        12.
        201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전 해체 공정 중 절단 및 용융작업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에어로졸은 작업종사자의 호흡을 통해 내부 피폭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체 중 방사성 에어로졸로 인한 작업종사자의 내부피폭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정확한 내부피폭평가를 위해서는 작업종사자의 작업환경 실측값이 필요하지만 실측에 어려움이 있을 시에는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에서 제시하는 섭취량 분율 및 입자 크기 등의 권고 값을 통해 내부피폭선량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자 크기의 선정은 ICRP에서 권고하는 작업종사자의 고려 입자 크기인 5 μm을 적용하였다. 발생량의 경우, 불가리아의 Kozloduy 부지 내의 용융시설에서 발생 된 에어로졸의 포집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섭취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해 작업종사자의 체내 및 배설물에서의 방사능 수치를 계산하고 BiDAS 전산코드를 통해 내부피폭 평가를 수행하였다. Type M이 0.0341 mSv, Type S가 0.0909 mSv로 두 흡수 형태 각각 국내 연간 선량 한도의 0.17%, 0.45% 수준을 나타내었다.
        4,000원
        13.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solar flux receivers operating at 2.8 GHz to monitor solar radio activity. Radio waves from the sun are amplified, filtered, and then transmitted to a power meter sensor without frequency down-conversion. To measure solar flux, a calibration scheme is designed with a noise source, an ambient load, and a hot load at 100℃. The receiver is attached to a 1.8 m parabolic antenna in Icheon, owned by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 and observation is being conducted during day time on a daily basis. We compare the solar fluxes measured for last seven months with solar fluxes obtained by DRAO in Penticton, Canada, and by the Hiraiso solar observatory in Japan, and finally establish equations to convert observed flux to the so-called Penticton flux with an accuracy better than 3.2 sfu.
        4,000원
        1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abrication method to improve the processability of thermoplastic carbon nanotube (CNT) mat composites was investigated by using in-situ polymerizable and low viscous cyclic butylene terephthalate oligomer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NT mat composites strongly depended on the compression pressure, and the trend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wo cases, low and high compression pressure, respectively. High CNT mat content in the CNT mat composites and the surface of the CNT mat composites with fully contacted CNTs was achieved under high compression pressure, and direct contact between four probes and the surface of the CNT mat composites with fully contacted CNTs gave resistance of 2.1Ω. In this study the maximum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NT mat composites, obtained under a maximum applied compression pressure of 27 MPa, was 11 904 S m-1, where the weight fraction of the CNT mat was 36.5%.
        4,000원
        15.
        197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aeoreum’, a new variety of Hibiscus syriacus was selected from the progenies of artificial breeding between ‘Bulkot’, as a mother plant, and ‘Wonhwa’, as a pollenizer, at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2006.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trials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variety were carried out from 2012 to 2013. Investigat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Haeoreum’ is a simple flower type and has bell shape in open type of corolla. The diameter of flower is about 12.8mm, and the white petals are slightly folded each other. The length of red eye zone is very long, about 26.0mm. Leaf type is in oval shape, and leaf thickness, glossy level and the shape of leaf base is medium, medium and rounded, respectively. Its blooming period each year lasted more than 80 days, and the quantity of bloom is large in normal condition. In addition, it showed faster growth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imilar varieties, about 90cm per growing season in tree height. According to all these characteristics, the new variety ‘Haeoreum’ could be useful for large container plants or street trees.
        17.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owon’ is a new early-maturing potato variety for table use. It has spreading growth habit with narrow oval leaves. Its tubers are attractively round with white skin and light yellow flesh color. The yielding ability of Jowon is similar to Superior. Jow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