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7

        22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222.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22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22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225.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장군 전면해역에 설치예정인 외해 해조류 대량양식시설의 구조물 설치 및 공간 배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대상해 역의 지형구조 및 해수순환특성을 조사하였다. 관측결과 기장군 해역은 대체로 수심이 깊은 해역으로 해안에서 3-4 km 부근에서 30 m 이상의 비교적 깊은 수심을 보였다. 외해 해조류 대량양식시설의 적지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해황조건(조위, 조류)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치모형 실험을 이용한 주변해역의 해수훈환 특성을 검토하였다. 대상해역은 한반도의 동해남부에 위치하여 외해역으로 갈수록 수심 이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바람의 내습이 큰 지역이나 본 연구에서는 외해구조물의 특성상 파랑 에 대한 구조물의 내파특성에 대한 검토는 실시하지 않았다. 대상해역은 서해나 남해안에 비하여 비교적 수심이 깊은 해역으로 대량양 식 시설 적정 수심역은 외해 양식시설의 특성 및 구조물 설치상의 특성등을 고려하여 적정 수심역을 15m~40m 선정하였다. 수치모형 실험 결과 해수유동은 창조시 남서방향으로 약 0.4 m/s 의 유속분포를 보였으며, 낙조시도 이와 반대방향으로 유사한 유속분포를 보였 다.
        4,000원
        22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남 통영 욕지도에 참치양식용 내파성 가두리 설치시 Cochlodinium polykridoides 적조 발생에 대한 적정 침강 깊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장시간 동안 C. polykrikoides의 수직이동 현상을 조사하였다. 욕지도 근해의 식물플랑크톤 총 세포밀도는 월별에 따라 매우 큰 변동폭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규조류가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다. 여름철 와편모조류의 종 조성을 보면 Gymnodinium sp.가 총 19회로 가장 많은 출현 횟수를 보였고, 특히 C. polykrikoides도 총 8회로 나타났다. 또한 Karenia brevis 및 Fibrocapsa japonica와 같은 유독성 적조생물도 출현하여 이 지역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장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일출과 일몰에 따른 Chl-a 농도의 변화와 총 세포수의 변화는 상호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어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은 표층으로부터 최소한 3m 침강시켜야 C. polykrikoides 적조로 인한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28.
        201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경남 통영 욕지도에 참치양식용 내파성 가두리 설치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대한 적정 침강 깊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24시간 수직이동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6년 동안의 욕지도 근해해역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분석하여 참치양식의 성공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욕지도 근해의 식물플랑크톤 총 세포밀도는 월별에 따라 매우 큰 변동폭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규 조류가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다. 여름철 와편모조류의 종 조성을 보면 Gymnodinium sp.가 총 19회로 가장 많은 출현 횟수를 보였고, 특히 C. polykrikoides도 총 8회로 나타났다. 또한 Karenia brevis 및 Fibrocapsa japonica와 같은 유독성 적조생물도 출현되어 본 지역에 대한 식 물플랑크톤 모니터링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출과 일몰에 따른 Chl-a 및 총 세포수도 일치한 결과를 보여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은 표층으 로부터 3-5 m 정도 침강시키는 것이 효율적인 깊이로 나타났다.
        22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갯벌 패류양식장의 구조물 설치 및 지형적 공간배치에 따른 저서생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고흥 남성리 양식장의 실제적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성리 갯벌양식장의 지반 경사는 약 1˚ 미만으로 매우 평탄하며, 육지로부터 약 150 m까지는 §qcup형, 그 후는 §qcap형 지반형태를 가진다. §qcup형 지반은 간출시 해수를 가두고 §qcap형 지반은 외해 유출을 가로막을 뿐만 아니라 내부인자로서 해수 유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작용/영향을 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2) 양식장 구분 시설물로 설치된 굴 패각 망태 또는 사석의 축제 형식은 총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양식장 대기 노출 시간과 침수시간은 각각 181분과 434분이었다. (3) 수치실험결과로서 대상해역의 내습 심해파랑은 최대파고 약 0.5m로서 매우 정온한 해역특성을 가지며, 탁월 입사파향은 나로대교 하단부는 S방향, 갯벌양식장 인근은 SE, SSW, S방향으로 조사되었다. (4) 고흥 남성리 주변 해역의 입도분석결과, 퇴적물은 Gravel 0.0~5.81(평균 1.70)%, 모래 14.15~18.39(평균 13.23)%, 실트 27.59~47.15(평균 30.84)%, 점토 35.79~55.73(평균 36.19)%로 구성되어 있으며, Folk 분류법에 의해 (g)M, sM(Sandy mud), gM(Gravelly mud)로 분류되었다. (5) 2010년 1월 남성리 패류 양식장 저서생물 현황조사에서는 총 11종이 1%이상의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이 중 연체동물이 1종, 다모류가 8종, 갑각류가 2종이었다.
        4,000원
        23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작업치료학과는 교육경쟁력 확보를 통한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 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취목표와 학습양식에 따른 학업성취 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일개 대학의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05명(남자 29명, 여자 76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Kolb의 학습양식검사와 Elliot와 Church의 성취목표 척도를 이용하여 학습양식과 성취목표에 대한 설 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2009년 2학기 평점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차분석, 일원배치분 석, 상관관계분석 및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습양식보다 성취목표로 나타났다. 작업치료학 과 학생들의 성취목표에서는 숙달목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양식 중 동화자가 가장 적었고, 융통자가 가장 많았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확산자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은 스스로 작업치료학의 특성에 맞는 성취목표 지향성와 학습양식을 구성해 나가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성공적인 학업성취를 위해서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성취목표에 관련한 분석을 제 공할 필요가 있다.
        4,600원
        23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32.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scussion in this article will center around introducing RFID/USN technology and exploring feasibility of applying the technology to agricultural area, based on actual pilot project done at the fisheries in Jeju Province, South Korea. The case in this article will suggest some factors needed to consider in applying RFID/USN system to the agricultural business.
        4,600원
        23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235.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alysis of an art trend in the principle dimension starts by observing the object of work in the perspective of formative composition and recognizing it as a universal system. It can be said that it is consistent with an interpretation method for a form theory of formal history by Heinrich Wölfflin, a leading form critic in art criticism.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are the formative principles in Renaissance Classicism as a design principle to be applicable to modern fashion by review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naissance Classicism Architecture with which Wölfflin directly dealt. As for the theoretical literature review, I used Wölfflin's theoretical framework and looked at the Renaissance Classicism Architecture that he studied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his theory as a layout principle and the characteristics. As for analysis of design cases, I applied the aforementioned architecture layout principle to modern fashion and conducted case study analysis to delve into distinctive layout principles found in fash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Renaissance Classicism Architectural Style is marked by linearity, planarity, closing and multiple unity: linearity was expressed in the observation form in fixed frontal view and an emphasis on a tangible silhouette homeogenous and definite line structures; planarity was achieved in the form of paralleled layers of frontal view element, planarity style, and identical and proportional repetition of various sizes.; closing signified the pursuit of complete and clear regularity, and architecture developed in a constructive phase through organizational inevitability and absolute invariability.; multiple unity was expressed in self-completedness and independent parallel of discrete forms and harmony of emphasized individual elements in a totality. Applying these layout characteristics of the Renaissance Classicism Architectural style and to see their individual expressive features, I found out that in adopting layout principles of the Renaissance Classicism Architecture to modern fashion, it turned out to be an emphasis of individual silhouettes, a flattened space, completed objects, organic harmony among independent parts: the emphasis of individual silhouettes was expressed in individual definitiveness of formative lines of clothes in accordance with body joints and an emphasis on formative lines of clothes; the flattened space was marked by single layer structure, planarity of elements of clothes, and listing arrangement by appropriate proportion.; the completedness of the objects was expressed by the stationary state where overall image is fixed, the construction of homogeneous and complete space, and absolute inevitability of internal layout in proportion; lastly, organic harmony of independent parts was stressed in independent completedness of each detail, and organic harmony of the whole. The expressive features would lead to a unique expression style of linear emphasis, proportion, constructive forms, and two-dimensional arrangement.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art school of thought are given shape by appling & analysing the architectural layout principles of historical art school of thought to modern fashion in the view point of formal construction dimension. The applied possibility of historical art school of thought as the source of inspiration about the fashion design is extended.
        4,900원
        236.
        2010.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연안 김 양식장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서는 실제 시설량의 조사가 필요하며, 인공위성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10m의 해상도를 갖고 있는 SPOT-5 다중분광영상을 사용하였으며, 김 양식장의 자동탐지알고리듬의 개발을 위하여 경 기도 화성시 제부도 남방해역에 대한 2005년도 영상을 사용하였다. 김 양식장을 추출하기 위하여 우선 3밴드 영상의 분광특성을 이용 한 밴드차(Band difference) 영상을 작성하여, 두 가지 방법(형태학적 처리기법 및 Canny 에지 탐지기법)으로 처리를 한 후, 두 결과를 합성하여 라벨링함으로써 탐지율을 극대화하였다. 마지막으로 2005년 우리나라 연안의 김 양식장에 대한 인공위성 조사 결과, 실제 시 설량은 676,749 책(柵)으로, 면허시설량 572,745 책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식장 시설 현황 조사 결과는, 정부에서 전체 생산 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양식업자가 좋은 수확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37.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흥 남성리 갯벌양식장의 구조물 설치 및 양식장의 공간 배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대상해역의 지형구조 및 해수 순환특성을 조사하였다. 관측결과 남성리 갯벌양식장의 경사도는 약 1도 미만으로 매우 평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리 갯벌양식장 의 지형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디오영상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결과 남성리 양식장의 시설물은 굴패각 망태 또는 사석의 축제 형 식으로 총 5가지의 구조형식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양식장은 지형구조상 노출 시간이 총 181분으로 약 3시간 동안 대기에 노 출되었으며, 침수된 시간은 약 434분으로 약 7시간에 해당되었다. 조사된 영상자료는 수치해도의 자료와 서로 보완하여 양식장의 지형 특성을 파악하는데 사용되었다. 대상해역은 나로도에 의하여 외해와 차폐된 해역으로 해수유동 수치실험을 통한 해수순환 특성은 북측 으로 정암면과 나로도 사이의 수로와 남측의 남성리와 나로도 사이의 좁은 수로를 따라 남-북방향의 주흐름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 으며, 나로대교가 위치한 갯벌양식장 해역 전면의 수로에서 최대 1.5 m/s 의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23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연안 양식장의 지속적인 생산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어장환경용량 산정 및 활용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 왔다. 그러나, 생태학적 부하를 고려한 지속적 적정 생산을 위해서는 4가지 계층구조(물리적 수용능력, 생산 수용능력, 생태학적 수용능력 및 사회적 수용능력)에 의한 어장환경용량 산정 개념을 활용할 수 있다. 생태학적 수용 능력 산정의 경우, 환경과 패류 양식의 상호작용에 관한 좀 더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하여 아직까지 모델 개발은 초기 단계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안접근으로 패류양식장이 해양생태계의 가능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패류양식장의 생태적 효율을 평가할 수 있는 생태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정화율 생태지표는 0.331, 여과압 생태지표는 0.203으로 계산되었으며, 이는 연안 생태계에 부하를 주지 않는 생태학적 수용 능력인 0.05를 초과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적 수용 능력의 개념에 근거한 생태지표를 거제한산만에 적용하여, 현재의 굴 양식장의 개발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여 지속적인 생산과 효과적인 양식어장 관리 지침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4,000원
        23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굴 양식 산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양식수산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수출 감소, 국내 내수시장 소비의 한계, 양식 환경 악화와 같은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있다. 적정하고 지속적인 굴 생산은 어장환경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적지 선정을 통하여 달성 가능하고, 양식장의 적지 선정은 양식장의 성공적 개발에 중요한 열쇠이며, 지속가능한 개발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GIS 기반의 다중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수하식 굴 양식장의 적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인자들은 GIS에서 보간법에 의해 추출되었고, 여덟 개의 환경 인자들이 두 가지 기본 서브모델로 그룹화 되었다. 이는 굴 성장에 관련된 인자(수온, 염분, 해수유동, 클로로필 a)와 양식장 주변 환경에 관련된 인자(저층 DO, 총유기탄소, 퇴적물 산휘발성 황화물, 저서군집 다양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합 점수는 가장 적지인 8점에서부터 가장 적합하지 못한 1 점까지의 규모로 가점되었으며, 총 80.1%의 잠재 지역이 가장 높은 점수 5점과 6점으로 채점되었다. 이 지역들이 거제한산만에서 굴 양식을 위한 가장 최적의 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GIS 기반의 적지 선정 기법은 공간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함으로서 어장관리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