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3

        221.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ole of customers has changed from that of passive users to value co-creato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customer learning takes place and how it affects customer experiences with services and products. However, while past studies insist on the importance of the issues in designing customer experiences, they do not empirically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upport processes for customer learning, and their impact on customer learning, which in turn influences customer experience. To test the hypotheses, we employed the survey method. Target informants were the actual users of Apple iPods. A total of 2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46 were collected. Among these, seven erroneous responses were excluded, leaving 139 usable ones. The proposed model was empirically analyzed using the Covariance-base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echniqu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mong the three support processes in customer learning, learning-by-doing support and learning-by-investment support positively affect customer learning, which influences customer experi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different types of support for different kinds of customer learning processes and by empirically testing the impact of the support for the process on customer learning, and in turn, its impact on customer experience.
        222.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edit capital from customers’ savings deposit (CSD) of banks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business activities of the banking industry. There ar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the CSD satisfaction with banks. Certain changes have been made when there are fluctuations due to COVID-19. The article is based on an analysis assess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SD satisfaction of Vietnamese commercial banks in the context of COVID-19. The authors use a sample of 1,639 CS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three variables that positively affect CSD satisfaction, including legal provisions of the Central bank (Legal), policies and mechanisms of commercial banks (Policy), and products of commercial banks (Product). Accordingly, in order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is capital mobilization of savings deposit, the Central bank of Vietnam needs to play a pivotal role in the regulations of the banking system to ensure its stability; control well monetary policy, interest rates, and inflation to keep a stable position in the economy; and provide timely financial support packages to enhance the confidence of CSD. Moreover, Vietnamese commercial banks need flexible policies and mechanisms to stimulate CSD; strengthen support on deposit rates for CSD; and diversify products to easily adapt to each CSD’s situation.
        223.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d two main objectives. We first investigated which weather phenomena people were most concerned about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or global warming. Then, we conducted content analysis to find which words were more commonly used with climate change or global warming. For this, we collected web data from Twitter, Naver, and Daum from April to October 2019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results suggested that people were more concerned about air quality, followed by typhoons and heat waves. Because this study only considered one warm period in the year of 2019, winter-related weather phenomena such as cold wave and snowfall were not well captured. From Twitter, we were able to find wider range of terminologies and thoughts/opinions than Naver and Daum. Also, more life-relevant weather events such as typhoons and heat waves in Twitter were commonly mentioned compared to Naver and Daum. On the other hand, the comments from Naver and Daum showed relatively narrower and limited terms and thoughts/ opinions. Especially, most of the comments were influenced by headlines of articles. We found many comments about air quality and energy/economic policy. We hope this paper could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how to promote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public awareness and how to efficiently interact with general audiences.
        224.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EFL 학습자들이 강화 입력 문맥(enhanced input context) 과업 활동을 통해 분해적 (decomposable) 및 비분해적(non-decomposable) 숙어들을 어떻게 다르게 즉각적 회상(immediate recall) 하고 기억유지(retention)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는 선행연구 등에서 주장하는 분해적 숙어가 비분해적 숙어보다 이해 처리과정에 유리하다는 주장과 이와 관련된 숙어이해 처리과정에 관한 의미적 분해성(semantic compositionality) 의 역할에 대한 견해와 이에 반하는 견해를 논의의 바탕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사 구절 (동사+관사+명사) 형태를 갖는 12개의 목표숙어 (6 decomposable idioms & 6 non-decomposable idioms)가 선정되었고 학습자들은 강화입력 문맥, 즉 볼드체(bolding) 와 우리말 주석(L1 glossing) 이 있는 목표 숙어들을 보면서 하나의 목표 숙어 당 3개의 문장에 목표 숙어들을 빈 칸에 채워 넣기(cloze production) 를 하며 그 문맥의 의미를 이해하는 과업 활동을 하였다. 결과 분석에 의하면 비록 학습자들은 두 유형의 숙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높은 비율의 수용적 (receptive) 및 생산적(productive) 단기회상(immediate recall) 과 수용적 장기기억 유지(delayed retention) 를 나타냈지만, 비분해적 숙어가 분해적 숙어보다 수용적, 생산적 단기 회상 및 수용적 장기기억 유지에 있어 현저하게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숙어를 구성하는 단어들의 의미를 추측하여 더 빨리 이해 처리한다는 분해성의 효과에 반하는 결과로써, L2 학습자들이 강화된 입력 문맥의 이해와 함께 목표어를 쓰는 연습(cloze production)을 이용한 과업 활동을 통해 숙어를 연습할 경우 오히려 비분해적 숙어가 하나의 긴 단어처럼 문맥 안에서 그 의미를 더 잘 이해하고 기 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25.
        201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approaches to assessing human capital and develop proposals for its most objective assessment of it at the different levels of manifestation - individual, microeconomic and macroeconomic. The article considers the basic approaches to the evaluation of human capital, used in practice: retrospective (costly) and prospective (income based). Cost based methods involve measuring the value of human capital based on the total costs associated with its formation. The proposed additional evaluation criteria,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expert approach and the developed indicators of a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human capital of the enterprise will allow development that is more efficient and use of available human resources. Human capital is becoming a major factor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n innovative economy and knowledge economy. Accordingly, the proposed additions to the assessment of human capital at the country level are aimed at assessing it from a new angle, taking into account the current global trends in the formation of an innovative economy and digitalization. They meet qualitatively new requirements for human capital as the main productive factor in the creation of new highly efficient technologies that promote the active development of the social sphere, science, education, health, etc.
        226.
        2018.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화와 글로벌화는 사회 전형과 문화 변동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무형 문화재는 전승의 위기를 직면하게 되였다. 중국의 오천년 문명 세례 후 보존된 진귀한 유산으로서 단순히 문화 시스템 자체의 힘으로는 더 이상 진행이 어려워 외부 환경에서 새로운 보완 조치를 모색해야 한다. 애니메이션은 문화 전파의 중요한 운반체의 하나로서 개방성, 민간성, 다양성, 포용성의 특점과 강대한 문화 홍보 능력을 가지고 있어 무형 문화재를 보호하는 현대화 방법과 수단으로 문화 전승의 의무와 책임을 질수 있다. 본 문은 중국의 무형 문화재의 발전을 연구 배경으로 하고 동서방 애니메이션 예술의 차이를 분석 대조하여 중국 애니메이션 예술의 표현 특징 및 외연 발전을 정리하고 중국 애니메이션이 전통 문화와 결합하고 공통 발전하는데 더 적합하다는 관점을 표명하였다. 애니메이션 예술과 중국 전통 문화의 융합 각도에서 상세하게 논술하여 양자의 융합은 대중들에게 문화재 지식을 최대한 직관적이고 생동하게 전파할수 있다는것을 알게 되고 동시에 전통 문화의 정수를 섭취하여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글로벌 영향을 확대할수 있고 중식 심미를 갖춘 애니메이션 특징을 보완할수 있다. 본 문은 우시 박물원 “자옥금사” 전시관의 실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자사호를 알고 인지하는 응용 스포트웨어 “자옥금사”를 개발 시도하고 360 전경 전시 기술로 서로 다른 형태의 자사호를 전모 전시하며 선묘 애니메이션의 표현 수법으로 자사호의 유지보수 및 선출 절차를 해석하여 중국 무형 문화재의 애니메이션화 변환 및 표현은 가능하다는 것을 논증하였고 이는 중국 전통 문화의 새로운 발전, 새로운 번영에 중요한 조치이다.
        227.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용 게임 엔진이 개인에게 공개되면서, 게임 엔진을 범용 연구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료 시뮬레이션 개발에 게임 엔진을 이용하려 한다. 구체적 방법으로, 인체의 주요한 부분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한 부분의 가시화 파라미터를 두드러지게 변경하는 초점 배경 가시화를 볼륨 데이터에 적용하려 한다. 그 과정에서 본 연구는 누적 기반 초점 배경 볼륨 가시화 방법을 제안하며, 배경 부분은 초점 부분과 자연스럽게 투명해져 융합된다. 또한 제안 방법은 기존 볼륨 가시화 방법과 잘 결합되기 때문에 절개와 같은 가상 수술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충돌 처리 및 사용자 입력 기능을 가진 게임 엔진은 범용 연구를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228.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해의 역사는 지정학 이론과 결합되어 전개되어 왔다. 역사기록에 의하면, 지정학 이전의 시기인 고대에서 중세까지 동해는 환동해 연안지역 농어민들의 생활(어업과 채집)의 터전이자 무역 및 문물교류의 ‘열린 바닷길’이었다. 근대기, 일본과 조선의 개항기 동안 동해는 제국주의의 식민지 쟁탈의 바다였다. 미국의 페리제독에 의해 개항된 일본은 청일전쟁(1894-1895)과 러일전쟁(1904-1905)의 승리를 통해 조선과 동해의 제해권을 장악했고 북방으로 진출했다. 미국과 일본의 환동해를 둘러싼 이러한 제국주의 팽창은 마한의 ‘해양세력론’에 기초해 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독일 제국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고 거의 저항 없이 서태평양에 있는 독일 식민지(북마리아나군도, 캐롤라인군도 및 마샬군도)를 재빨리 장악했다. 전쟁이 끝난 후 국제연맹은 일본에 이들 지역에 대한 위임통치권을 주었지만, 일본은 인종주의와 문화적 차이 때문에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을 구축했다. 그러나 결국 일본의 태평양 전쟁 패전으로 일본이 강점했던 식민지와 점령지가 해방되었다. 이렇게 1차 세계대전에서부터 태평양 전쟁의 시기까지는 주축지역의 세력인 독일과 중국이 안쪽초생달지역과 바깥쪽초생달지역으로, 즉 해양으로 진출하지 못하도록 안쪽초생달지역인 일본과 바깥쪽초생달지역인 미국이 협력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세력의 인종주의적 정책과 문화적 차이에 실망한 일본이 하우스호퍼의 생활권이론을 도입하여 대동아공영권을 추진하자 미국과 대립했고, 결국 미국에 패배했다. 이 시기동안 동해는 일본의 제국주의가 지배하는 바다였다. 맥킨더의 심장지역이론과 더불어 스파이크만의 주변지역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 공산주의의 팽창을 막기 위한 미국의 봉쇄정책에 이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미국은 일본에 의해 림랜드가 통합되는 것을 막기 위해 대륙세력인 소련과 협력하였지만, 2차 대전이 끝난 후, 다시 대륙세력인 소련이 림랜드를 통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패전국인 일본을 해양세력으로서 다시 동맹국으로 끌어들여 대륙세력 소련에 의한 림랜드의 통합을 막았다. 따라서 2차 대전 이후-냉전기 동안 동해는, 특히 냉전의 전환점이 된 한국전쟁 (1950) 이후 남북한이 대치하고 미국과 일본 그리고 소련과 중국이 지원하는 냉전의 바다가 되었다. G2 중국의 등장으로 탈냉전 이후 오늘날의 지정학은 냉전기 소련의 자리를 중국이 대체 한 형세를 이룬다. 즉, 미국은 대륙세력인 중국이 림랜드를 통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양세력으로서 일본과 동맹하여 중국을 포위한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동아시아에서의 새로운 미중 신냉전 체제의 핵심이다. 따라서 동해는 북한의 나진항과 두만강 유역 도시 훈춘을 통해 동해로의 출구를 마련한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남북한과 일본, 러시아가 개입하는 신냉전의 바다가 될 것이다. 해양의 핵심적 의미는 “연결”과 “소통”에 있다. 그러나 동시에 “경쟁과 갈등의 장”, “대립의 장”, “팽창/침략의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오늘날까지도 동해는 역사적으로 동해를 중심으로 펼쳐져 온 환동해 연안국들간의 지정학적 맥락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연결”, “소통”, “협력”보다 “경쟁”, “갈등”, “분쟁”이 동해를 지배하고 있다.
        22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학자 데리다는 절대적인 정체성은 있을 수 없으며, 그 무엇이 존재함으로써 의미를 가지는 것은 하나도 없다고 하였다. 세상은 모든 것들은 변증법적 대상이며 의미 또한 변화의 대상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는 항구적 정체성이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으며, 그들의 시대 초월적 가치와 미학은 지금까지도 의미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오늘날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 시장은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익숙했던 미학적 기능주의 디자인에 대한 거부감으로부터 시작된 감성적 소비 가치가 스칸디나비아의 인본주의 디자인에 의해 살아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를 감동시킨 스칸디나비아 디자이너, 이희숙. 2013)”에 근거하여 12인의 디자이너를 선정하였다. 또한 해당 국가는 그들만의 정체성에 의해 유사성이 존재하기에 다시 한 번 대표적인 1인의 디자인에 내제된 함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석학적 차원에서 제시되었던 평가 툴(Tool)을 사용하였으며, 평가에는 디자인 전공자, 대학원생 그리고 일반인 60인이 참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21 세기 디자인은 인공지능(AI), 완벽주의를 지향하는 디지털기술, 생태계파괴 문제 그리고 지식 중심의 합리주의 사회에 따른 부작용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에 의해 상품의 수명은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칸디나비아의 디자인 정서와 인본주의적 기능주의의 중요성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함축적 특성이 향후 디자인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 한다.
        230.
        201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 명의 미국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문화와 언어가 다른 도심지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과학 수업 구성함에 있어서 어떻게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지식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도심지 저소득 학생들을 위한 각 교사의 세부적인 교육적 결정과 여러 가지 당면 한 상황 간에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상황에 대한 교사지식”에 관한 이론적 분류틀 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중 사례연구로 각 교사에 대한 연구가 독립적인 사례로 제시 되었다(Merriam, 2001). 교실 관찰 기록과 인터뷰 전사 자료가 주요 연구 데이터로 사용되었으며 해석학적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가지는 학생들의 과학 용어 이해의 부족과 같은 학생 상황에 대한 이해와 국어가 강조되는 학교 교육과정과 같은 외부 상황에 대한 이해가 비슷할지라도 각 교사의 실제적인 수업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 준다. 특 히 각 교사의 내부적 상황 지식(knowledge of internal context)이 각 교사가 교수법적 결정과 실 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가 문화 반영적 과학 교수법 (culturally relevant science teaching practices)에 대한 이해 부족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 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도심지 빈민 다문화 학생을 위한 초등과학교육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 였다.
        23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English collaborative writing and learners’ reflections on the experience of collaborative writing. The study was classroom based, and the participants (n=33) were Korea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The study compared texts produced by pairs (n=22) with those produced by individuals (n=11). Among the participants, nine students, involving the collaborative writing, participated in the follow-up interview. The study found that collaborative writing had an overall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L2 writing. In particular, pairs produced better texts in terms of content, organization, and vocabulary, but not grammar and mechanics. The results of the student interviews showed that collaborative writing helped them pool ideas and provide each other with useful feedback. Most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the experience while a few of them demonstrated some reservation about collaborative writing.
        232.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상황에서 소비자 구매의도를 촉진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메시지 구성을 파악함으로써 관련 분야에 이 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희소성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과거 온라인 쇼핑에서 불만족 경험 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실험물을 제작하고 부산지 역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물은 2(희소성 메시지 유/무)×2(프레이밍 메시지 긍정/부정) 단순 요인설계 실험방식을 사용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ANOVA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희소성 메시지가 제품태도와 구 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경험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메시지 프레이밍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경험의 조절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233.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Ukraine’s crisis started in February 2014, the relations of the Russian Federation with Western powers deteriorated significantly and have reached the level of the Cold War conflict. That is why the “Pivot to Asia” is currently the key characteristics of its foreign policy strategy. This article analyses several scenarios of future security regime in Asia as well as Russia’s vision of possible develop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It concludes that the strategic aim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nations nowadays should be peace-keeping, conflict resolution, maintaining status-quo in those regions (the Korean peninsula, for example), where an immediate solution is impossible.
        234.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Using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examined both the mediating effects and the specific indirect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the three psychological needs (need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need support from the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 and engagement in PE classes. Method: Participants were 523 high school students (251 males, 272 females) and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perceived need support, need satisfac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PE classes.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perceptions of the three need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need support from PE teacher and engagement in classes. Moreover, the indirect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was larger than those of the thre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 teacher is able to promot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by satisfying their needs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 findings supported the theoretical tene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s well.
        235.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researchers called for a need to expose L2 learners to diverse writing contexts, and L2-L2 interactions using English as a communication tool became more common than communication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two group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a task, for which they were grouped differently: the first with a group of students at a Chinese university and the second with Chinese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of a different Korean university. These groups performed a task that they selected from among three choices. In the process of their e-mail exchanges, the students' pre- and post-task perspectives were explored through two surveys. In addition, the students expressed their reflections regarding this experience in writing. Overall, the students seemed to consider this experience of exchanging emails with L2 students speaking a different L1 useful and it helped some students gain 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use English as a communication tool.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writing context in EFL classrooms.
        236.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cor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diverse nature of implementation of sources of power in the Indian contex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fter a meticulous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on various types of power with a particular kind of managers’involvement, the article reviews the Indian managers’ behavioral perception and attitudinal disposition while exercising power in their organization, along with a judicious blend of different kinds of power to drive the organization to the expected level. Results - As an input to a full-fledged research study, researchers had taken up this precise discussion and observation on how the managers’ community in India exercises its power. Generally, Indian managers usually implement legitimate power besides reward and coercive power as per the situation, by extending copious benefits to different stakeholders. Based on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isposition, Indian managers exercised power in their respective organizations in a fruitful manner. Conclusions -This article has carefully covered the entire corporate sector regardless of magnitude, type, or ownership. It is quite beneficial to all the proactive researchers and academia along with the corporate world.
        237.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율 캐릭터는 게임에서 사용자 캐릭터와 협업하여 게임을 진행하거나, 사용자 캐릭터와 대전을 수행한다. 자율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행동 제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지 기법을 제안한다. 상황인지 기법은 자율 캐릭터의 현재 상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상황 정보를 분석한 후, 현재 상황에 맞는 행동을 자동 생성한다. 상황인지 기법은 자율 캐릭터의 현재 상황에서 발생하는 상황 요소의 정보 가치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황 요소 정보를 활용하여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생성한다. 본 실험에서 상황인지 기법이 규칙기반 기법보다 평균 39%의 성능 향상을 나타냈고, 정보획득 기법보다는 평균 8%의 성능 향상을 나타냈다.
        238.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와 학생이 알아야 할 것과 할 줄 알아야 할 것을 표준으로 정하여 교사 교육과 초·중·고등학교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삼는 표준 기반 개혁은 미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소개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사 교육 표준화 움직임에 능동적 대처를 한 미국 대학의초등 교사교육 과정 중에 있는 여덟 명의 예비 교사가 교사교육 프로그램 첫 학기동안 교육적의사결정에서 어떤 변화와 발전을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예비 교사교육 표준(INTASC), 경력 교사교육 표준(NBPTS), 그리고 최근 교사교육 연구를 활용하여, (1) 학습자와 학습, (2) 알아야 할 것과 알아가는 과정, (3) 평가와 평가과정, (4) 가르치는 것과 수업이라는 네 범주로 정리하였고, 각 범주 아래 세부 항목을 두어 각 범주별 이해를 세부적으로 정리하였다. 교사교육 표준을 이용한 분석은 표준 적용을 목적으로 했다기보다는, 이와 같은 네 가지 범주를 매일 변화하는 교실상황에서 적절히 활용하여 수없이 많은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교수활동의 복잡성을 효율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였다. 예비교사가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이해는 어떤 것인가? 예비교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얻은 다양한 지식과 기능을 어떻게 통합해 의사결정을 하는가? 분석 결과는 초등 예비교사가 첫 학기를 지내면서 학습자와 학습 분야에서 보다 적절하며 다층적 수준의 교육적 결정을 내리기 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다른 분야의 경우에는 보다 기초적인 수준의 이해를 발달시키는데 머물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가 가지는 시사점과 더불어 예비교사의 이해를 분석하는데 활용했던 아동 연구(Child Study), 분석 방법, 그리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영향과 한계 역시 논하였다.
        23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well‐known in the literature of Korean linguistics that the difficulty with the semantic treatment of –ess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be used to refer to a past eventuality or a perfect eventuality, depending on the context of use. For this reason, after pointing out that it is of no use to posit that –ess is a past tense marker, a perfect marker, or both, this paper argues that –ess itself is neither a past tense marker nor a perfect marker, which completely departs from the previous treatments of –ess . To put it differently, -ess is indeterminate between a past tense marker and a perfect marker across the sentences in which it occurs. The context of use serves to resolve its indeterminacy by presenting the most salient semantic interpretation that may arise from –ess .
        24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의 사업적 이용에 따른 방사선발생장치 또는 방사성동위원소 등(이하 방사성동위원소 등) 을 운용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안전관리와 관련된 지식의 설문 조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이분석함으로서 방사선 이용시설 등의 방사선안전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함에 있다. 연구 방법은 2011년 08월 01일 부터 09월 05일 까지 861 명의 방사선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기관정보는 빈도 분석을 하였으며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수준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작업 종사자의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지식 조사에서는 종사자 모두 높은 수준으로 평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방사선 작업종사자들의 방사선 안전관리와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하며 작업종사자들의 의식을 높이기 위해서 시기적절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지속적으로 방사선 작업종사자들을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방사선이용이 될 수 있는 기반이 확립될 것으로 사료된다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