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5

        226.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광을 이용한 보광은 시설재배에서 작물의 정상적인 생육과 수확량을 유지하고 품질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실용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황 플라스마 램프(SP)와 고압 나트륨 램프(HPS)의 보광이 파프리카의 생육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생장상에서는 SP 및 HPS를 기본 광원으로, 온실에서는 보광으로 사용하여 작물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생장상에서는 정식 2 주 후 SP와 HPS 하에서 초장, 엽면적, 줄기 직경, 엽수, 생체중 및 건물중을 매주 측정 하였다. 온실재배에서는 무보광을 대조구로 하였다. 보광은 07:00부터 21:00까지 외부일사 100W·m-2 미만일 때 처리되도록 하였다. 보광 처리 후 3주부터 매주 생육량을 측정하였고, 2주 마다 수확하여 과실수와 과실무게를 측정하였다. 생장상에서는 높은 광합성속도로 인하여 SP가 HPS보다 생육이 양호하였고, 온실에서는 보광처리가 대조구보다 수확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온실에서의 초장, 마디수, 엽장, 생체중, 건물중은 SP와 HPS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확 시 과실수와 수량은 광합성 증진과 및 과실수의 증가로 인하여 SP에서 많았다. SP는 태양광과 유사한 광 스펙트럼을 보였으나, HPS와 비교하여 높은 PAR과 적색과 원적색 파장의 광양자속의 합이 높았기 때문에 파프리카의 광합성과 수확량을 증가시켰다.
        4,000원
        230.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을 지지체로 한 저압용 나노복합막을 제조하였다. Poly styrene sulfonic acid (PSSA)와 polyethyleneimine (PEI)을 layer-by-layer 및 염석 효과 방식으로 지지체막에 코팅하였다. 막의 투과도와 염 배제율 성능을 알아보고자 NaCl, MgCl2, CaSO4 100 mg/L수용액을 1 L/min의 유량으로, 2 bar의 압력을 상온에서 가해주었다. 20,000 ppm의 PSSA (이온세기 1.0)용액에 3분, 30,000 ppm (이온세기 0.1)용액에 1분 코팅한 막이 가장 우수하였다. 투과도와 염 배제율은 NaCl 공급액에서는 38.5 LMH, 57.1%, MgCl2는 37.9 LMH, 90.2%, CaSO4는 32.4 LMH, 54.6%로 각각 측정되었다.
        4,000원
        23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심지나 문화재가 인접한 지역 등의 소음, 진동 등 기존 발파해체 공법이 제한적인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물 해체 공법으로 무소음화학팽창제(soundless chemical demolition agent, SCDA)를 이용한 공법이 있다. 그러나 SCDA의 사용에 대한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에 참고될 만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강관의 길이, 외부수분차단, 수화열 발산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른 SCDA의 팽창압 발현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SCDA의 최소요구팽창압 예측을 위한 해석모델(자유단 1면, 고정단 3면의 직사각형 모델)을 개발하고 주요변수해석(홀 간 거리, 콘크리트 압축강도)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해석결과를 활용하여 자유단으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락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32.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압력용기의 내압은 압력용기 설계의 중요한 인자이며 이를 바탕으로 관련 설계기준 및 구조해석결과에 따라 압력용기의 두께 및 직경과 같은 기하학적 형상이 결정된다. 그러나 압력용기 내부에서 폭굉이 일어날 경우 이 폭굉압력을 적절히 고려 하여 압력용기를 설계할 수 있는 설계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폭굉이 발생할 경우, 초기 폭굉압력이 용기 벽면에 도달하여 반사하는 반사압력은 초기압력의 2배 이상이라고 알려진다. 그러나 폭굉압력은 구조물의 고유주기보다도 짧은 시간 안에 최대치에 도달한 후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 경우 실제 용기벽면이 받게 되는 압력은 반사압력에 비해 매우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폭굉의 특성을 고려하여 압력용기가 견뎌야 하는 적절한 등가의 폭굉압 력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폭굉을 고려한 효율적인 압력용기 설계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000원
        23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ganism evaluation equipment (OEE)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insecticidal effect of atmospheric-pressure plasma jets (APPJ). The equipment consisted of a plasma-generating acrylic chamber (PGAC) equipped with a plasma generator, a plasma-maintaining acrylic chamber (PMAC), and plasma efficacy evaluation container (PEEC). The amou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directly exposed to PEEC in the PMAC was measured using an ozone calculator. The ROS concentration in the PGAC and PEEC increased over time, and the optimum position for the PEEC was selected showing the lowest variance of ROS concentration. Based on the established equipment, five major insect pests (Aphis gossypii, Bemisia tabaci, Helicoverpa armigera, Tetranychus kanzawai, and Thrips palmi) were tested, and their knockdown time, recovery time, and median lethal time (LT50) were determined. As a result, B. tabaci showed the fastest knockdown in respond to the plasma, but the remaining insect pests were knock downed within 2-3 min. Recovery was the fastest in T. palmi and T. kanzawai and slowest in B. tabaci. The LT50 were determined as 13 and 16 min in B. tabaci and T. palmi, respectively. However, the LT50 of other insect pests showed over 21 min. In conclusion, the OEE system can be used to measure the optimum exposure time of plasma against various insect pests, and the plasma might be used as an alternative tools for pest control in the future.
        23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l aspects of hosts’ life are affected not only by symbiotic bacterial community but also endosymbionts, such as physiological function, mating preference and fitness. Wolbachia, one of the most common endosymbionts, known as a manipulator of host sex ratio, may also have a huge effects on other symbionts. Here, we assessed the effects of Wolbachia on the diversity and structure of other symbiotic microbial communities in six ant species by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Our results show that the diversity of the symbiotic microbial communities between Wolbachia-positive species and negative species is not different. However, according to the Wolbachia infection, dominant symbiotic microbes of each host species were different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the overall symbiotic microbial community.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as Wolbachia have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microbiome of hosts, endosymbiont infection status deserves special consideration in studying microbiome.
        23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most performed action in daily life is standing up from sitting position. As the population of the world is aging at the high rates, people may face problems with reduced muscle strength as well as psychological changes. This can lead elderly people having difficulties with standing up from chair. Now, with the aging trend worldwide, products are being developed that can support the lives of the elderly.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hip pressure in relation to the seating positions of the standing assistance seats under development to prevent standing up accidents in older adults. The currently developing standing assistant chair designed to tilt to a maximum angle of 25 degrees. At over 25°, design considers that older people are at risk of thrown back out of that force and that the forces exerted on their arms and legs can be a significant burden to older people. By considering danger of higher than 25° for older people which is experimented in the basis of static capturing approach in previous papers, it is experimented people with age group of 20~60 on 0° to 25° tilting angle on the basis of dynamic capturing method in order to pick convenient angle of inclination. Moreover, tried to find the optimum angle by comparing the hip pressure distribution when seated at the edge of the seat and at the center of the seat with the pressure distribution sensor.
        4,000원
        23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평발을 가진 여성 노인의 계단 하강 보행 시 일반인솔 및 아치 지지형 인솔을 적용에 따른 족저압력 및 압력중심점 변인들의 차이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족저압력 분석장비(Pedar-X, Novel, Germany)를 사용하여 14명의 평발 노인을 대상으로 3종류(일반인솔, A형 인솔, B형 인솔)의 인솔착용 후 최대족저압력, 평균족저압력, 접촉면적,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 변위 및 최대범위의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인솔 종류간 평균을 비교하였다. 족저압력 변인 중 최대족저압력은 중족부의 M3, 평균족저압력은 M2, M3, M4 영역에서, 접촉면적은 M2, M3, 그리고 M6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압력중심점 변인 중 전후축과 좌우축에서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족저압력 평가결과 아치 지지 기능을 가진 인솔을 삽입한 A와 B형 인솔에서 족궁지지 영역인 M3의 최대압력은 B형 인솔과 A형 인솔이 일반인솔과 비교했을 때 높게 나타났다. 좌우축, 전후축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는 A형과 B형 인솔 모두 일반 인솔에 비해 짧게 나타났다.
        4,000원
        23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또래압력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다문화가정 청소년 중 현재 초・중・고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433 명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또래압력은 비행에 정적영향을 주며, 자기통 제력에는 부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력이 비행에 부적영향을 주었으며,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또래압력과 비행과의 관계를 자기통제력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며,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통제력과 부모의 정서 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7,800원
        23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ggest impact on the cladding design of buildings is wind loads. Wind tunnel 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current wind load standards about membrane retractable roof spatial structure. A dome model with a circular shape that is retractable to the center of the dome was made (Opening ratio = 0, 10, 30, 50). In addition, height adjustable turntables were made and tested with five patterns with H/D = 0.1, 0.2, 0.3, 0.4 and 0.5. The maximum wind pressure coefficient and the minimum wind pressure coefficient for the cladding were analyzed and the experimental wind pressure coefficient were compared with the current wind load standards, KBC2016 and AIJ-RLB(2015).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of the enclosed roof were very similar and showed possibility of application, but opened roof case was found that the reference value was underestimated.
        4,000원
        23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assive straight leg raising (PSLR) is the common clinical test to measure of hamstring muscle length. Hip flexion angle contributes to change the lumbopelvic rotation during PSLR.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is commonly used to detect lumbopelvic movement during lower limb movements. Thus, there may b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of PBU and lumbopelvic motion during PSLR. Obje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of PBU and lumbopelvic motion during PSLR. Methods: Thirty 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were used to measure the lumbopelvic angle during PSLR, while recording the pressure of PBU according to angle of PSLR by 10 degree increments.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umbopelvic and angle of PSLR (Pearson’s r=.83, p<.05), between the pressure of PBU and angle of PSLR (Pearson’s r=.75, p<.05), and between lumbopelvic motion and pressure of PUB (Pearson’s r=.83, p<.05). Linear regression equation using lumbopevic angle as an independent factor was as follows: Pressure of PBU = 47.35 + (2.55 × angle of lumbopelvic motion) (R2=.69, p<.05). Conclusi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pressure of PBU can be used to indirectly detect the amounts of lumbobevic motion during muscle length test or stretching of hamstring.
        4,000원
        240.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다속 60 km 깊이의 수압과 같은 압력을 사용하여 순간적이고 균일한 압력전달로 가열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선한 맛과 향, 텍스처, 비타민의 유지 등 품질보존을 할 수 있는 기술인 HPP는 식중독과 부패미생물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술로 현재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기존의 열처리가 단백질의 변성, 화학적 변화, 전분의 호화,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쳐서 보존성을 유지한다면 HPP는 열처리의 장점은 그대로 갖고 있으면서 열처리에서 야기되는 원치 않는 화학적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보존기간이 길어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첨가물의 사용이 필수적인 육류가공품에 대해서는 초고압처리에 대한 국내 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육가공품인 슬라이스햄에 대해 600MPa 초고압처리(0분, 4분, 6분)가 이들의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수분함량은 48~69%, 염도 1.07-1.11%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었고, pH는 처음 6.4-6.5에서 6.1-6.15까지 낮아졌으나 대조군과 처리군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고압처리 후 20oC에서 보관한 일반세균 결과는 4주까지 모든 군에서 미미한 수준에서 일반미생물이 발견되었으나 5주부터는 대조군과 HPP 6분 처리군에서 105을 초과하였고 7주에는 4분 처리군, 6분처리군에서 식품으로 섭취가 불가능한 106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20oC 가중실험으로 7주간 관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군에서 대장균군이 발견되지 않았다. 육류의 단백질 신선도 판정에 사용되는 방법인 VBN은 4주차까지는 1 mg% 미만의 VBN값을 보였고 5주부터는 1~2 mg%의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군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육의 조직내 지방 산패 정도의 지표로 사용되는 TBA는 7주가 끝날 때까지 0.18 mgMA/kg 이하였고 이 수치는 신선육의 범위에 들며, 처리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는 포장재의 변성이 발생하지 않았고 가스의 발생으로 인한 부풀어 오름도 발생하지 않았는데, HPP의 효과가 전혀 관찰되지 않은 사실은 포장재의 밀착으로 인한 공기와의 차단만으로 기본적인 보존 효과를 보인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