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8

        24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익산지역에서 벼 줄점팔랑나비(Parnara guttata)는 1년에 3세대를 경과하며, 5월중 하순부터 월동처에서 우화하여 논으로 이동한 다음 벼 잎에 산란하기 시작하였다. 유충에 의한 벼의 피해는 7월 하순부터 증가하여 8월 중 하순 사이에 가장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3세대 성충이 우화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9월 중순이었다. 벼의 이망시기와 줄점팔랑나비에 의한 피해는 만식한 논에서 켰다. 살충제를 유충발생 최성기 약 1주일 전인 7월 하순에 처리하였을 때 91.2%의 방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8월 초순에 처리할 경우에는 방제효과가 57.2%로 낮았다.
        3,000원
        24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돈분액비로 답리작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수확한 다음 돈분액비 시용이 후작물인 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9년 11월부터 2002년 11월 사이에 수행되었다. 돈분액비와 화학비료는 답리작물인 호밀 파종전과 봄 생육재생기 이전에 시용하였는데, 화학비료 대비 돈분액비의 수준은 N를 기준으로 하였다. 처리는 화학비료 시용구, 돈분액비 시용구, 돈분액비 시용구, 화학비료 +돈분액비 시용구로 4처리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호
        4,000원
        245.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름 사료작물(옥수수,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 사료용 피, 율무, 밭벼)와 겨울 사료작물(호밀, 총체보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을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답리작 논에서 생육특성, 사료가치 그리고 건물생산성을 고려하여 최적 작부체계를 구명하기 위한 시험을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수행하였다. 여름 사료작물에 있어 도복에 강한 작물은 다른 초종에 비교해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율무 그리고 밭벼가 강했으며, 겨울 사료작물 중에서는 호밀과 이탈리안
        4,000원
        246.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답리작 사료작물인 호밀에 대한 돈분액비 시용시 돈분액비에 의한 화학비료 대치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돈분액비의 시용수준별 호밀의 생산성 및 지력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설계는 화학비료 3 요소구(200-150-150), 화학비료 대비 돈분액비 N, 돈분액비 N 및 돈분액비 N+1/2 화학비료로 하여 3년 동안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에 따른 호밀의 건물수량은 돈분액비 +1/2 화학비료구, 액비 구 및
        4,000원
        25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북지역에서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에 대한 월동처와 본논발생에 대하여 1999년부터 2001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벼먹노린재 월동성충은 월동처에서 6월 상순부터 7월 상순까지 유아등에 포획되었으며, 이동최성기는 6월 하순이었다. 본논에서 각 태별 발생 피크는 월동성충이 7월 중순, 알이 7월 하순, 약충은 8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제 1대 성충은 9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 피크를 보였다. 월동태는 성충이며, 월동충은 산기슭, 제방, 논뚝에서 발견되었다.
        4,000원
        256.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한 적정 사료작물을 선발하고자 전북 익산에서 보리(5품종), 밀(2), 호밀(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3)등 4작목 13품종을 공시하여 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보리의 출수기는 4월 월 1일, 유숙기는 5월 중순, 유숙기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ha당 톤, 평균 ADF는 , NDF는 였고, 5품종 중 알보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밀은 보리에 비해
        4,000원
        259.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한 적정 사료작물 및 품종을 선발하고자 경기 수원 축산연구소에서 보리(3품종), 밀(2), 호밀(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3) 등 4작목 11품종을 공시하여 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보리의 출수기는 5월 1일, 유숙기는 5월 15일경, 유숙기황숙기 기준 초장은 87cm, 건물수량은 ha당 톤, TDN 수량은 톤이었으며, 알보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