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6

        26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에 야기되는 반사균열 실내 시험을 통해 여러 보강된 혼합물의 반사균열 저항성에 따른 피로수명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스팔트 개질재로는 LDPE, SBS 및 카본블랙을 이용하였고 보강재로는 합성섬유(PF), 비닐(PV), 그리드 (GG)를 이용하였다. 공시체 몰드 바닥에 보강재를 미리 깐후 배합설계를 통해 얻은 아스팔트 혼합물을 부어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반복하중 하에서 균열이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 위에 부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공시체 하단의 수평변위를 측정하여 각 혼합물별 균열지연에 따른 반사균열 피로수명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반사균열 실험 결과를 토대로 균열진전에 따른 각 혼합물별 피로수명에 대하여 이론적인 예측식을 개발 제안하였으며 예측식에 의한 추정치와 실측치와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게 ($r^2=0.95$이상) 나타났다.
        4,000원
        262.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에 야기되는 반사균열 실내 시험을 통해 여러 보강된 혼합물의 반사균열 저항성에 따른 피로수명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스팔트 개질재로는 LDPE, SBS 및 카본블랙을 이용하였고 보강재로는 합성섬유(PF), 비닐(PV), 그리드 (GG)를 이용하였다. 공시체 몰드 바닥에 보강재를 미리 깐후 배합설계를 통해 얻은 아스팔트 혼합물을 부어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반복하중 하에서 균열이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 위에 부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공시체 하단의 수평변위를 측정하여 각 혼합물별 균열지연에 따른 반사균열 피로수명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반사균열 실험 결과를 토대로 균열진전에 따른 각 혼합물별 피로수명에 대하여 이론적인 예측식을 개발 제안하였으며 예측식에 의한 추정치와 실측치와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게 (r2=0.95이상) 나타났다.
        4,000원
        263.
        200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duce the chronical low back pain for the manual material handle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1) examine lifting variables, (2) analyze collected data, and (3) suggest lifting redesign recommendations in workplace. The data were collected in A company, manufactures various paints in Si-Wha industrial complex, Kyunggi-Do. It was found that Sb(horizontal distance), Sc(vertical distance), 54(travelling distance) and Sf(frequency) were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and Sa(weight) wa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4,000원
        265.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골재의 입도에 따른 SBS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의 점탄성 물성 및 피로공용 특성을 소개하였다. 아스팔트 바인더와 혼합물의 열역학적 거동분석을 위해 DSR 시험과 일축인장 크립시험을 실시하였다. 골재의 입도와 SBS 개질재가 피로공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7종의 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해 일축인장 피로시험을 실시하였다. DSR 및 일축인장 크립시험결과, 골재의 입도에 관계없이 SBS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이 일반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고온에서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Superpave 아스팔트 바인더 규격의 피로인자 $G^*sin\delta$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피로 공용성 평가에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일축인장피로시험결과, 골재의 입도(밀입도, Superpave입도, SMA입도)에 관계없이 SBS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이 일반 혼합물에 비해 약 10배 이상 피로수명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노화후의 경우에 있어서도 SBS 개질 혼합물의 피로수명이 일반 혼합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골재의 입도변화는 SBS 개질재에 비해 피로공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SMA 혼합물에 첨가한 셀룰로오스 섬유는 혼합물의 점탄성 물성이나 피로공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으나, Draindown을 방지하는 데는 효과적이었다. SMA 입도에 SBS 개질아스팔트를 사용할지라도 Draindown 방지를 위해서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첨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900원
        266.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tempering temperature on the three point bending fatigue behavior of a P/M high speed steel JYPS-23 (1.28% C, 4.20% Cr, 6.40% W, 5.00% Mo, 3.10% V, bal. Fe) was investigated. The number of cycles to failure of the specimen austenitized at drastic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ing temperature. As temper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500 to , the volume fraction and average size of carbides (MC or M6C)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while hardness decreased drastically. The reduced hardness is due to the softening of matrix, which increased the resistance of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For a practical application, powder compacting test were also conducted with the P/M high speed steel punches tempered at 500, 580, and . The number of compacting cycles to failure of the punche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ing temperature.
        4,000원
        267.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골재의 입도에 따른 SBS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의 점탄성 물성 및 피로공용 특성을 소개하였다. 아스팔트 바인더와 혼합물의 열역학적 거동분석을 위해 DSR 시험과 일축인장 크립시험을 실시하였다. 골재의 입도와 SBS 개질재가 피로공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7종의 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해 일축인장 피로시험을 실시하였다. DSR 및 일축인장 크립시험결과, 골재의 입도에 관계없이 SBS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이 일반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고온에서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Superpave 아스팔트 바인더 규격의 피로인자 G*sinδ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피로 공용성 평가에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일축인장피로시험결과, 골재의 입도(밀입도, Superpave입도, SMA입도)에 관계없이 SBS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이 일반 혼합물에 비해 약 10배 이상 피로수명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노화후의 경우에 있어서도 SBS 개질 혼합물의 피로수명이 일반 혼합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골재의 입도변화는 SBS 개질재에 비해 피로공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SMA 혼합물에 첨가한 셀룰로오스 섬유는 혼합물의 점탄성 물성이나 피로공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으나, Draindown을 방지하는 데는 효과적이었다. SMA 입도에 SBS 개질아스팔트를 사용할지라도 Draindown 방지를 위해서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첨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900원
        269.
        2000.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즈마 침탄한 저 탄소 Cr-Mo 강(0.176C-1.014Cr-0.387Mo)의 침탄 특성과 피로성질을 고찰하였다. 플라즈만 침탄한 시편의 유효경화깊이는 가스 침탄한 시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침타나시간이 짧고 침탄온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50%정도까지 증가되었다. 플라즈만 침탄시 유효경화깊이의 증가는 표면탄소농도의 증가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표면탄소농도의 증가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표면탄소농도의 증가율이 침탄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플라즈만 침탄간의 피로한도는 가스 침탄강의 경우보다 높았다. 이를 표면근처의 미세구조, 경화깊이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압축잔류응력으로 조사한 결과 경화깊이와 압축잔류응력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플라즈만 침탄의 피로강도 향상은 가스침탄에 비해 표면이 상승층이 저감되어 표면에서의 미소균열의 발생 및 초기 균열 전파과정이 지연 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파단면 관찰결과 표면에서 균열이 시작되고 플라즈마 침탄의 경우 입내파괴가 현저하였다.
        4,000원
        27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조 작업에 의한 정신적 피로도의 평가를 위하여 피험자에게 1자릿수 숫자 3개를 더하는 연산 작업을 수행하게 하였다. 주관적 평가를 통해 단조작업임이 확인된 task를 사용하여 작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단조감이 증가하도록 실험과정을 설계하고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생리신호 중 심전도, 피부온도, 호흡을 분석하였다. 단조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피부온도의 증가 경향이 나타났으며, 심박 변화율의 전력스펙트럽 분석결과 고주파성분의 감소와 Power spectrum balance가 증가하였다. 특히 power spectrum balance와 주관적 평가치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가 높은 생리신호를 사용하여 정신피로를 예측한 결과 (R=0.945)가 정신피로를 잘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73.
        2000.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동차, 항공기 및 기타 산업에서 복합재료의 사용은 증가되어 왔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재료중의 하나인 carbon-epoxy 복합재료의 열 특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반복적인 냉각과 가열이 부가된 후 복합재료의 탄성계수의 변화를 관찰하여 봄으로써 복합재료가 가지고 있는 여러 열 특성에 관하여 여러 열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G(sub)13값은 약한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열충격의 경우가 열피로의 경우보다 변화량이 작았다. E1값은 가해진 온도와 가열 횟수에 따라하여 조금씩 증가하였고, E2, G(sub)23값은 열피로의 경우 처음에는 어느 정도 그 값이 감소하나 가해진 횟수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열충격의 경우에는 온도에 따라 다른 현상을 보였다.
        20,000원
        274.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variation of body sway prior to and after submaximal treadmill exercise; to determine the time course of the effects of a fatiguing performed on a treadmill on body sway; and to compare position sense prior to and after exercise in order to assess any variance in proprioception caused by submaximal treadmill exercise. The subjects were twenty-four healthy men in their twenties. They stood barefoot on the Kinesthetic Ability Training Balance Platform to measure body sway. Control trials were performed with eyes alternately open and closed. In the eyes open condition, they were asked to look at a target placed at eye level 1 m in front them. A total of 10 trials, each lasting 20 seconds, were performed. After this series of trials, position sense was measured. Subjects then exercised on the treadmill until 85% of each person's maximal heart rate was reached. The first series of postural sway measurements began immediately after this exercise. The second identical series of postural sway trials was performed at approximately 10 minutes after exercise. The third series was performed approximately 20 minutes after exercise. This allowed approximately 5 minutes of rest between each experimental series. Position sense was measured at approximately 15 and 25 minutes after exerci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ody sway after submaximal treadmill exercise compared to pre-exercise values under both visual conditions (p<.05). 2) After submaximal treadmill exercise, under the eyes open condition, the mean value of body swa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both the first and second series (p<.05). Under the eyes closed condition, the mean value of body swa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first series bu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hird series (p<.05). 3) Position sense, measured repeatedly after submaximal treadmill exercis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pre-exercise values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tigue induced by submaximal treadmill exercise produced an increase in body sway in young healthy subjects with or without visual input, but the increase appeared to be lasting less than 15 minutes. No significant change in position sense suggested that proprioception was unaffected by submaximal treadmill exercise-induced fatigue.
        5,500원
        275.
        2000.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주기 피로조건에서 응력진폭은 항복점이하의 응력이므로 변형은 일반적으로 탄성적이다. 만약 변형이 완전히 탄성적이라면 피로는 생겨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항복점의 개념과 항복점 아래에서의 순수탄성변형의 가정을 과도하게 단순화한 것이다. 인장실험 시 시편 전체가 파괴 절차를 따르는 반면, 고주기 피로실험에서는 국부적 영구 슬립띠가 파괴절차를 따른다. 그러나 두 경우에서 파괴 전변형영역의 단위체적 당 변형의 축적은 두 재료가 동일하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동일하다. 미소 소성변형이나 Luders band, 탄성영역에서의 인장실험곡선의 기울기변화는 재료속에 포함된 경도가 높은 침입형 또는 침탄형 원자의 구름에 기인한다. 이들이 구름운동(Rolling movement)을 일으켜 다음 격자로 이동하면 소성변형이 발생되는 반면, 완전히 구르지 못하고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운동을 반복하는 경우가 바로 피로한계인다.
        4,000원
        276.
        2000.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스터빈 블레이드 재료로 사용되는 IN738LC 니켈기 초합금 주조재에 대하여 고온등압압축(HIP) 공정에 의한 미세조직 변화와 고온 피로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부적으로 HIP 처리에 따른 주조결함 제거와 피로변형 열화재의 물성재생효과 확인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위하여 회전굽힘 피로시험을 실시하고 변형전후의 미세조직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HIP 처리 전후의 미세조직과 피로수명을 비교, 평가한 결과, 주조재와 열처리재의 피로수명 차는 크지 않았으나 HIP 처리재의 피로수명은 이들과 비교하여 평균 6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위적으로 고온 피로변형을 가한 열화재를 대상으로 반복 HIP 처리한 결과, 열화 변형조직이 신재 상태로 거의 완전히 재생될 뿐만 아니라, 재료내에 미세하게 잔존하던 주조결함까지 부가적으로 제거됨에 따라 반복 HIP 처리에 의한 피로수명 연장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4,000원
        277.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ticipants of this 1998 survey included 100 physical therapists working in hospitals located in Andong City. 77.7% of the participants were in their twenties and 20.2% in their forties. 46.4% of the participants were 3rd year students at a junior college, and 1.0% were college graduates. 67.6% of the participants had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and 1.0% 16 years experience in their field. 59.6% of the participants were married. Regarding questions about occupational satisfaction, many of the participants replied "normal" for the first and third questions, and few answered "very much". Most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normal" for all the questions concerning their work environment with few replying "very much". With regards to awareness of the physical signs of fatigue, "occasionally, yes" were the most frequent answers. Regarding awareness of the psychological signs of fatigue, the similar proportions of participants answered "occasionally, yes" as that for "feeling nothing". Similarly, with regard to awareness of the neuro-sensitive signs of fatigue, there was a similar ratio of participants answering "occasionally, yes" and "feel nothing".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are many causes of fatigue amongst physical therapists. Improvements in daily nutrition, mental health and general well-being are important in tackling these problems. It appears that fatigue amongst physical therapists may be cumulative and due to prolonged working hours To promote better daily functioning and early recovery from fatigue, appropriate assignments of working and resting hours are necessary. They would also benefit the prevention of symptomatic problems in the waist and shoulder.
        4,300원
        27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해석방법인 EFG(Element-Free Galerkin)법을 사용하여 복수의 초기균열을 지닌 강재가 반복피로하중을 받는 경우 균열들이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부재가 파단에 이르는 과정을 해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피로균열성장법칙을 EFG법을 이용한 균열해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복수의 균열들이 각각의 응력상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해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하중상태하에서 복수의 균열들의 성장경로를 추정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잔존수명을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방법을 피로균열 발생빈도가 큰 몇가지의 강부재 형태에 적용해 본 결과 다수균열 함유 부재의 피로균열 성장거동과 균열들의 피로수명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4,000원
        280.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was recently reported that exercise-induced fatigue is related to joint position sense although some controversy remai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accuracy of reproducing the knee angles after a fatiguing isokinetic quadriceps exercise at four different levels (10%, 30%, 50%, and 70% of maximal force) and to find the optimal exercise level without causing knee joint proprioception impairment. Forty healthy women, ages 19 to 27,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experimenta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accuracy of positioning with respect to auditory feedback for specific angles was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mean errors between specific angles and reproduction angles. Fatigue was measured by EMG signals displayed by a frequency spectrum analysis during the quadriceps exercis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of the knee joint positioning sense following the exercises in group 1, group 2, and group 3 (10%, 30%, and 50% of maximal force, respectively); the exception being group 4 (70%). Fatigu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4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increases of fatigue level in group 1, group 2, or group 3. The results concluded that the optimal exercise level to acquire the therapeutic exercise effectiveness without position sense impairment was at 50% of maximal force. Further studies using large sample size and patient groups with poor knee joint proprioception would be needed to confirm this conclusion and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s.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