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3

        28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오감자극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아동의 집중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FAIR를 활용한 집중력평가 결과 대조집단에 비해 선택적 능력, 옳은 판단의 비례치 및 집중력유지의 연속성 지수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을 알아보기 위한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K-CBL) 평가결과는 대조집단에서는 실시 전・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실험집단의 경우 위축, 우울불안, 주의집중, 비행, 공격성에서 P<0.05로 유의하게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오감자극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들의 집중력 및 문제 행동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83.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a plants growing under natural condition meet various stresses. The tea plants often subjected to adverse condition like low temperature and high light intensity during overwintering. Because tea plant is adapted well to low light intensity, higher light intensity might induce negative effects on tea growth at open field (exposed habitat). We investigated tea plant planted with the seeds of wild tea trees growing at Unsu-ri, Hwagaemyun, Hadong-gun on Nov. in 2008. The experimental field for juvenile tea plants was located in the hill neighboring GSNU at Jinju, Korea. We divided the field into open, semi-shaded, and shaded condition. Light intensity (PAR) at open condition was two times and twenty times higher than at semi-shaded and shaded condition, respectively. Growth of tea plants was highly dependent on light condition, the plants at open field was extremely poor as compared to plants grown at shaded field. Height of plants at open, semi-shaded, and shaded field were 14, 17.3, and 17.8 cm, respectively. Leaf size was also greater in plants grown at shaded field. Photosynthesis-related chlorophyll fluorescence (quantum yield) was also higher in shaded plants. Fv/Fm value of plants grown at open fields was lower by 50% as compared to that of the plants grown at shaded field. Chlorophyll content measured by SPAD meter also indicated higher value in open field plant than shaded plants. Our results suggested the photoinhibition during overwintering period strongly affects the growth juvenile tea plants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il moisture content between open and shaded condition.
        28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설에 보호되어 문제를 일으키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척도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변화를 토대로 원예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에 위치한 사회복지시설인 푸름터에서 2006년 7월 10일부터 2006년 8월 4일까지 주3회 총 12회 오후 8시부터 1시간동안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10명으로 평균연령 15.9세이며 복지시설에 기거하고 있는 문제청소년이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이완이나 집중을 위한 동작을 통해 마음과 몸의 관계를 이해하고 나와 타인의 차이성을 인식할 수 있는 두드리기, 붙이기, 냄새맡기, 비비기, 자르기 등의 동작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소재의 종류와 색상들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을 주어 타인과 다른 나를 인정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스트레스의 감소와 이로 인한 혈압과 맥박의 안정을 목표로 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 후 스트레스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측정하였고, 혈압ㆍ맥박 조사결과를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 후 스트레스 수치의 측정결과 41.7에서 34.3으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경제적 문제와 부모관련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변화는 실험실시 전, 후 항목별 큰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문제회피 항목에서 59.6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실험 후 57.1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조력추구 항목에서는 40.0에서 50.7점으로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개인적인 성향보다는 집단주의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결과로 원예치료 후 시설에 기거하면서 사회복지사 선생님이나 함께 생활하는 또래 청소년을 가족과 같이 인식하게 되어 믿고 따를 수 있는 관계가 성립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원예치료 실시 전 후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였다. 혈압과 맥박은 점차적으로 낮아져 원예치료를 통한 스트레스 이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285.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등어를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한 난을 대상으로 난발생 및 자치어 발육과정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의 형태는 구형의 분리부성란으로 유구는 1개를 가지고 있었으며, 난경은 0.94~1.02 ㎜(평균 0.95±0.03 ㎜)였다.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 20±0.5℃에서 51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2.52~3.0 ㎜(평균 2.75±0.04 ㎜)로 난황을 달고 있었고, 입과 항문은 아직 열려 있지 않았으며, 근절은 28~31개였고, 눈에는 흑색소포 소포가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2일째의 전기 자어는 3.12~3.63 ㎜(평균 3.39±0.05 ㎜)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었다. 부화 18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이 8.45~12.32 ㎜(평균 10.85±4.36 ㎜)로 꼬리말단이 굽어지기 시작하면서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줄기가 형성되었다. 부화 25일째에는 44.12~58.72 ㎜(평균 55.95±6.74 ㎜) 외부 형태가 성어와 같은 치어기에 도달하였다.
        286.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울 신길동 소재의 D직업전문학교 청소년 11명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내재화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하위영역에서도 전반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공격성은 근소한 차이(0.21)로 증가추세를 보였다. 그 원인으로 입학 초기에는 서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소극적 교제를 하다가 시설에 적응해 나감과 동시에 긴장이 완화되어 잠재되어 있던 공격성이 표출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기 위해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변화를 관찰하기로 하였으며 특수한 상황에 처해진 청소년들의 공격성 완화를 위해 운동놀이 치료를 접목한 연계프로그램을 계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기술습득을 위주로 하여 평소 식물을 가까이 접할 기회가 없었던 청소년들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과 식물이 주는 편안함과 순수성으로 인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집단의 청소년들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극 적용하면 정체성 혼란의 시기를 슬기롭게 잘 극복해 내리라 사료된다.
        28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2004년 6월에 전북 김제시 만경면 심포 앞바다에서 채집된 전어를 전남대학교 어류학실험실로 운반하여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한 난을 대상으로 난 발생 및 자치어 발육 과정을 관찰하였다. 전어의 산란기는 월이었고, 수정란은 구형의 분리 부성란으로 난경은 (평균, 1.21 mm)였다. 수온이 (평균 )에서 수정 후 35시간 53분에는 눈에 렌즈가 착색되었고, 심장이 분화되어 꼬리가 난황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으며, 배체 전반부에 흑색 소포가 나타났
        290.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dexterity and adaptive behavior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ay be opportunities to improve physical integration, coordination, and dexterity, resolve anxiety and stress and set up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making a better human life. Also it provides the opportunities of vocaitonal rehabilitation. To perform the study, the subjects consisted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in the B School, Bucheon. Maximizing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horticultural programs were applied to them for 44 sessions, 3 sessions per week and 50 to 60 minutes each session and limited to small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purdue pegboard test, adaptive behavior scale, and psychoscial and emotional behavior test to determine their the dexterity and adaptive bahavior. Based on results form the test and analysis, the research could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effective in promoting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physical dexterity, especially both hands and assemble. Also,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benefit to elevating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adaptive ability, especially psychoscial behavior. In summary,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improved the dexterity and adaptive bahavior for occupational adaptive skill a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in horticultural field is expected.
        29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대서양에서 상업 적으로 중요한 해산어류인 Haddock Melanogrammus aeglefinus의 자치 어 발생과정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자치어는 부화 후 67일까지 사육실 조건에서 사육되었고 주기 적으로 표본한 재료를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발생단계별 크기 변화는 부화 후부터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 Y=4.07 ( =0.9978)의 성장식을 나타내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4.9 m로 장방형의 난황을 가지고 있었다. 초기 먹이섭취는 부화
        292.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 친화적 환경에서의 다양한 야외 스포츠 활동이 비행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보호관찰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반복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해 2000년 8월에 보호관찰 대상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법무부 산하 보호관찰소의 협력 하에 `사랑의 여름캠프 2000`을 개최하였으며, 2001년 8월에는 `2001 Probation Work Camp`를 개최하였었다.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 활동은 긍정적인 자기 개념을 증진시키고 적응력을 향상시키며 목표에 대한 성취감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비행청소년을 순화시킬 수 있다는 가설 하에,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수상캠프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연차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2차 연구에서는 보호관찰 청소년 59명을 대상으로 2박 3일 수상캠프를 실시하였다. 수상캠프 프로그램은 수상스키와 래프팅의 두 종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외에도 미니 올림픽, 캠프파이어, 집단 토의 등 다른 집단 활동도 포함되었다. 참가자들은 수상캠프에 참가하기 전과 후에 자기개념, 충동성, 정서안정성, 적응능력, 소외감 등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상캠프가 끝난 후에 참가자들은 긍정적 자기개념이 참가 전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증가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충동성과 소외감은 유의미하게 낮아졌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수상캠프를 통해서 가족과 친구들의 소중함과 타인들과의 협동하는 것의 가치를 깨닫게 되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2차 연구의 결과는 1차 연구의 결과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는 것이었으며, 스포츠 야외활동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의 정서적 순화 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