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ebrook(1938)이 수집한 상용관에 대한 관측자료에 의하면 상용관의 마찰계수 분포는 관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 변이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본고는 그의 자료를 재분석하여 관로설게에 적용이 용이한 지수함수 형태의마찰계수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일반적으로 단일관로 설계에서 요구되는 사항들은 어떤 관로 조건이 주어져 있을 때 펌프동력 또는 관내 통과유량이나 적정관경의 산정이다. 균일조도관인 경우는 이미 유동훈(1995b)에 의해서 설계 기준식이
In this paper, applications of neural networks to vibration control of flexible single link robot manipulator are ocnsidered. The architecture of neural networks is a hidden layer, which is comprised of self-recurrent one. Tow neural networks are utilized in a control system ; one as an identifier is called neuro identifier and the othe ra s a controller is called neuro controller. The neural networks can be used to approximate any continuous function to any desired degree of accuracy and the weights are updated by dynamic error-backpropagation algorithm(DEA). To guarantee concegence and to get faster learning, an approach that uses adaptive learning rates is developed by introducing a Lyapunov function. When a flexible manipulator is ratated by a motor through the fixed end, transverse vibration may occur. The motor torque should be controlle dinsuch as way, that the motor is rotated by a specified angle. while simulataneously stabilizing vibration of the flexible manipulators so that it is arrested as soon as possible at the end of rotation. Accurate vibration control of lightweight manipulator during the large body motions, as well as the flexural vibrations. Therefore, dynamic models for a flexible single link manipulator is derived, and LQR controller and nerual networks controller are compos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nerual networks control system is confirmed by experiments.
벼 품종 안중벼를 공시하고 조류 기피제인 methiocarb을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조하고, 약량을 달리하여 최아 볍씨에 처리한 후 새 피해, 초기 생육 및 약해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 1> Methiocarb 제형별 새 피해 경감 효과와 모의 생육 1) Methiocarb의 처리는 제형과 약량에 관계없이 새에 의한 피해가 없었으나 무처리구는 5일후에 30%, 10일 후에 85%, 15일 후에는 100%의 피해를 입었다. 2) 입모율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15일 후의 초장과 잎수는 methiocarb 15g 처리구에서는 methiocarb 10g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작아서 약해가 있었다. 3) 파종 35일 후 약해에 대한 회복 상태를 보면 methiocarb+thiram 15g 처리구는 초장이 유의하게 작았으나, methiocarb FS 15g처리구 초장은 무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시험 2> Methiocarb 제형의 벼 종자 분의에 의한 본답 시험 1) Methiocarb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새 피해가 유의하게 경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파종 25일 후의 초장과 잎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파종 10일 후에는 약제 처리구는 경후한 약해가 발생하였으나 파종 20일 후에는 무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은 단마의 번식기관별 재식거리 및 시비량이 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져 1992년부터 1993년까지 경북농림진흥원 북부시험장에서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절편묘 42~56일, 여두묘 37~46일, 영여자묘 50~56일로 나타나 여두묘가 가장 빨랐으며, 시비량이 많을 수록 출아가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2. 지상부 생육은 사용한 종묘가 절편묘, 여두묘, 영여자묘 순으로 아장이 길었으며, 밀식하면 마디수가 다소 적은 경향을 보였고, 전체적인 지상부의 생육은 절편묘를 종근으로 하여 재식거리 60×20cm에 NP2O2K2O 를 56-56-64kg/10a로 시용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3. 지하부의 생육은 괴근장, 괴근폭, 괴근수 및 괴근중 모두 절편묘, 여두묘, 영여자묘의 순으로 양호하였고, 재식거리에 따른 괴근생장은 밀식할수록 괴근장, 괴근폭, 괴근중이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시비량이 많을 수록 개체당 무게가 증가하였다. 4. 수량은 절편묘를 30×20cm로 밀식하면 60×20cm에 비해 평균적으로 19%의 증수효과가 있었고, 여두묘는 45×15cm에 비해 30×15cm가 10% 증수되었으며, 영여자묘는 30×10cm에 비해 10×10cm가 10%정도 증수되었다. 적품성은 절편묘, 여두묘, 영여자묘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시비량에 있어서는 N-P2O2K2O =28-28-32kg/10a에 비해 56-56-64kg/10a 처리가 37~47%감수되었다. 따라서 단마 재배시 다식밀식으로 재배하는 것이 수량증수의 효과가 있었으나 적품성을 고려할 때 절편묘는 45×20cm, 여두묘는 30×15cm, 영여자묘는 20×10cm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IAA에 대한 단크론 항체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체중의 내생 IAA를 정량분석하기 위해 ELISA를 개발하고 본법을 사용하여 담배 종자 발아중 내생 IAA함량을 정량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1. IAA에 대한 단크론 항체 생산 세포주 3가지를 선발 작성하였으며 이 세포주로부터 생산되는 항체는 모두 IgG1 타입의 면역 글로블린이었다. 2. 상기 항체를 사용하여 ELISA를 수행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던 바 검출 한계는 1pmol이었으며 검출 범위는 500pmol이었다 3. 표준곡선으로부터 작성한 Scatchard plot에 의한 친화 상수와 결합상수는 6.7 1010 L/M과 6 1010 L/M이었다. 4. 여러가지 IAA유사물질과 교차반응에 의해서 본 mAb는 특이성이 매우 높고 RIA에 의해서 고역가임을 확인하였다 5. 발아중인 담배종자로부터 면역측정에 의해서 내생 IAA를 정량분석하였다 6. 상기의 결과에 따라서 본 mAb를 이용하여 생체중의 내생 IAA를 간편하게 정밀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새로 육성된 단경종콩의 재식밀도와 시비량 차이가 생육 저형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지수는 관행재식거이인 60 10cm 보다 밀식인 30 15cm에서 감소를 가져오지 않고 개체당분지수가 적어 분지보다 주경에 의존하는 밀식적응성 품종의 특성을 보였다. 2. 절위별 협수는 단경콩이 재식거리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팔달콩은 재식거리 20 10cm를 제외하고 큰 차이가 없어 밀식적응성이 컸다. 3. 절위별 협당립수는 재식거리 및 품종에 관계없이 상위절위에서 많았고, 절위별 협수나 립수는 중위절에서 변이폭이 작았다. 4. 재식거리에 따른 LAI의 변화는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다. 5. 소식에 비해 밀식할수록 주당립수는 적었으나 단위면적당 립수가 늘어 증수되었으며 다수확을 위한 적정재식거리는 25 10cm였다. 6. 근류착생은 무시비구에서 많았으며, 단경콩이 팔달콩보다 많아 질소무시용구에서 질소고정 능력이 큼을 시사하였다. 7. 수량은 3요소시용구 대비 인산 > 가리 > 질소 무시용구 순으로 감수폭이 적었고 질소무시용구는 근골착생량이 많은 단경콩이 팔달콩보다 적게 감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