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무용을 통한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해당기업의 이미지 및 지각된 품질, 충성도 에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200개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사용하였 다. 또한 가설검증은 AMOS를 이용한 확인적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구조방 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 화마케팅 활동 참여 기업의 기업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문화마 케팅 활동 참여 기업의 기업이미지는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문화마케팅 활동 참여 기업의 지각된 품질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문화마케팅 활동 참여 기 업의 기업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을 통해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기 업이 문화마케팅 활동에 참여할 경우 대중에게 호의적인 기업이미지를 각인시키고 해당기업에 대한 상표나 제품에 대해 신뢰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문화마케팅 활동이 해당기업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게 됨으로서 기업경영활동에 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현재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을 알아보고, 여가활동 참여 유형 별 여가만족도와 직무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립발레단, 광주 시 립발레단, 유니버설 발레단, 서울발레시어터 4곳의 무용수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고,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은 휴식형, 활동참가형, 교양 감상 형, 휴양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여가만족도의 관계를 분 석한 결과 심리적 만족에는 활동참가형, 사회적 만족에는 휴양형, 환경적 만족에는 교양감상형, 신체적 만족에는 활동참가형, 휴식적 만족에는 휴식형이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셋째, 무용수들 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직무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ewondo known to the world on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after analysing their cultural difference from Taekwondo as an after school training
activity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
The subj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depression in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athletic participation.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school and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12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their satisfaction for school life, and thereb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during adolescent period and 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Saturday Sports Day and subsequent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establish
the base to activate Saturday Sports Day with which both teachers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lluminate that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ve the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aspects by analyzing how the participation attitude has influence on physical self-concept. The objects of thi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motivation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arts lesson particip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under the system of 2007 revised
curriculum.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e data to the teachers, who are to manage the intramural
sports clubs effectivel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s and the pre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ipating in the sc
목적 : 본 연구는 ICF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사회 노인들의 신체기능과 활동 및 참여수준을 알아보고, 노인들의신체기능과 활동 및 참여수준과의 관계 및 활동 및 참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들의 신체기능인 우울정도, 인지기능, 운동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노인 우울 검사(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K), Outpatient Physical Therapy Improvement in Movement Assessment Log(OPTIMA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활동 및 참여는 ICF core set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신체기능 중 우울정도는 147명 중 우울증상이 있는 노인이 60명(40.7%), 인지기능 저하를 보이는 노인이53명(36.1%)이었다. 운동기능은 21개의 항목에 대한 평균 점수가 105점 중 52.17±21.32점으로 어려움을 보였다. 대상자의 활동 및 참여수준은 30항목에 대한 평균 점수가 120점 중 17.95±12.40점으로 경도의 어려움을 보였다. 신체기능 즉 우울정도, 인지기능, 운동기능은 모두 활동 및 참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 가운데 운동기능과 활동 및 참여와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 신체기능이 활동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운동기능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 순으로 인지기능과 우울정도였다. 결론 : 노인들의 다양한 활동과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동기능의 최대화와 인지장애나 우울의 최소화를 모두 고려하는 작업치료가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school sports club, pleasant school
life and healthy growth development of students and futhermore,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vitaliz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by analyzing an
주기 위해 실천적 추론 과정을 적용하는 실천적 문제중심수업을 강조한다. 그러나 교실에서 만나는 학생들은 가정 교과에 대한 필요성이나 흥미도가 매우 낮아 가정 교과를 유용하지 않은 과목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습에 적극적이지 못하고 실생활에서의 실천도도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들로 하여금 가정 교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학습 참여도와 실천적 태도를 신장시킬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우선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학습참여를 높일 수 있을까 고민하였다. 수업은 재미있어야 한다. 재미있는 수업을 통하여 흥미도를 높이고, 가정과목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 나가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더욱 적극적인 동기부여를 주기 위하여 켈러의 동기이론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중심수업을 구안·적용하였다. 실천적 문제는 다양한 학습자료의 제공으로 흥미를 느끼고 접근하게 하였으며, 소그룹 협동학습 모둠을 기반으로 한 토론 및 다양한 체험 활동 위주의 수업을 통해 실천적 추론을 용이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가정 교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는데, 가정 교과는 재미있고, 유용한 과목이며 실생활에서도 실천적 태도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실천적 문제중심수업은 사고력, 협동심,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앞으로도 실천적 문제중심의 수업을 희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감성과학의 연구동향을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고, 연구에 참여한 전문분야의 인적 구조를 단서로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감성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2011년까지 최근 12년간 한국감성과학회지에 게재된 감성과학 분야 논문 1,262편을 전문분야별, 연구주제어별로 분석한 이번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참여 연구자의 전문분야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감성과학 연구는 여전히 활발하게 참여하는 의류학, 심리학, 의학, 영상미디어, 뇌과학 분야가 주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공학, 인간공학 등은 정부의 G7 프로젝트 지원 여부에 따라 연구참여의 변화가 확연하게 차이를 보인다. 산업디자인 분야는 단독 연구가 많고 감성과학과 주제어가 다른 연구가 많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31개의 전문분야가 감성과학 연구에 신규로 참여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감성에 관한 연구가 전형적인 학제간 연구분야라는 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현상이라 여겨진다. 한국의 감성과학 연구동향을 분석한 이번 연구결과는 전문분야 간의 공동 연구를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을 뿐 아니라 감성과학이 종합적인 학문분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문분야의 전문가들이 연구에 참여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based 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model. Sixty-eight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participation restriction using the Korean version of London handicap scale (K-LHS), modified Barthel index (K-MBI) to measu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rg balance scale (K-BBS) to assess balance,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K-CES-D) to gauge depression. Also, 3 minutes walking test (3MWT), gait velocity, asymmetric posture, and family support were assesse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factors determining participation restri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K-LHS and K-MBI results by gender (p>.05). Correlations between the K-LHS and K-MBI (r=-.656), K-BBS (r=-.543), K-CES-D (r=.266), 3MWT (r=-.363), gait velocity (r=.348), and family support (r=-.389) were significant (p<.05). Also, the K-MBI and family support were the factors that determined participation restriction (p<.05) and that 40.2% of the variation in the K-LHS can be explain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patient's activity level and extent of family support is necessary to reduc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수형자 직업훈련의 현황을 진단하고, 직업훈련의 효과와 만족도 및 요구 조사 분석을 통해 향후 수형자 직업훈련의 개선 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실태 조사(응답자 704명)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직업훈련과정별 수형자의 직업훈련 목적은 출소 후 취․창업을 하기 위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형자는 직업훈련 지원 프로그램 중 취업특강, 직업상담(취․창업, 직업훈련, 자격증 등), 단기사회적응훈련에 대한 지원을 받고 있는 반면, 취업박람 회, 자기이해 및 각종 진단검사, 특화된 취업정보 제공, 인터넷 활용 취업지원 시스템 운용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형자가 직업훈련지원 프로그램 지원효과에 대해 느끼는 정도는 ‘직업상담(취․창업, 직업훈련, 자격증 등) 지원’이 다른 6개 프로그램보다 가장 높았다. 수형자의 직업훈련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직업훈련교사의 전문성이나 훈련방법”에 가장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직업훈련기관”, “직업훈련과 정의 내용과 프로그램의 질”순이었다. 반면, 수형자는 “전문취업지원 상담”에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형자의 직업훈련 과정 이수 후의 가능성 정도에 대해서는 “사회복귀 적응 및 재범방지 가능성”이 다른 요인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형자의 직업훈련에 대한 요구나 개선의견을 보면, “직업훈련 이수 후 자격증 취득자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직업훈련이수 후의 취업지원 및 상담 강화”, “직업훈련생에 대한 처우 및 지원 개선”, “기업체 맞춤형 직업훈련 및 현장실습의 강화”순이었다. 이러한 수형자의 직업훈련 참여 만족도 및 요구조사에서 나타난 개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형자들의 관심분야, 취업욕구, 연령 및 학력, 재범횟수 등을 고려한 직업훈련생 모집 및 특화된 훈련제공이 요구된다. 둘째, 수형자 취업지원프로그램은 수형자가 출소 후 취․창업이 가능하도록 적성, 흥미, 습득기술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취업지원기능의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수형자에게 전문취업지원 상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등 정부기관과의 취업관련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지역사회 기업체와의 협약체결을 통해 수형자의 취업 향상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수형자가 직업훈련에 동참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 조성 및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수형자의 직업훈련은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직업훈련 직종의 제공과 함께 이를 현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업체 대상 직업훈련 및 현장실습이 필요하다.
As becoming a classicist David had strong faith that art must be useful to his contemporaries. The progressive philosophes were enthusiastic about the classical antiquity by reflecting ancient spirit in their society, and David who was close to them inherited and developed classicism both in style and content actively. David's idea that art ought to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the human spirit gave rise to resistance against the Royal Academy of Fine Arts. The Royal Academy was the despotic power system which suppressed the freedom of artists to satisfy autocrats. David's hostility to the Royal Academy promoted his progressive inclination to the more radical one, and led him to tie up with revolutionists. The revolutionists wanted to form a new society and David desired eagerly to establish ideal surroundings as an artist. That is, David's interests were in accord with theirs. Finally, the Royal Academy was broke up by David's effort. In doing so, he reformed and dominated the art of his own day and became a revolutionary artist. David sympathized with revolutionary generation in a religious viewpoint. David planned the Fête of the Supreme Being. The Supreme Being was a kind of god created by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For the person who looked forward to establishing a new state, the traditional Catholic was the typical power system which suppressed the people by preaching them to obey. David and the leaders of the French Revolution, however, did not deny god and religion itself.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took the position that a religion was necessary to unite the people and to secure social stability. David joined the Theophilanthrophy. It was an all-embracing religion for the people which proclaimed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preached tolerance and the importance of one's duty to one's fellow man. It could make sure that David's political activities and his view of art we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By accepting classicism David realized the social importance of art and got a progressive idea at the same time. As he got more radical thought, his concern moved away from canvas. Needless to say, David's inclination to politics and desire for power can not be eliminated in referring to his social participation. The substantial aspect of his sense of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was his desire to develop artistic capacity in a society given a guarantee of the individual freed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PE) class obstacles on
female students’ involvement in sports. To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PE class
obstacles and involvement in sports according to d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