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4

        343.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nadosomatic index (GSI), gonad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hormones in plasma level of the indoor cultured grunt (Hapalogenys niten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study from August 2011 to October 2012. The GSI showed similar trends with gonad developmental stages during the culture periods. Changes in plasma level of estradiol-17β of female H. nitens reached the highest value before the spawning period, and seasonal changes in plasma level of estradiol-17β were similar in trends of oocyte developments and GSI changes. Testosterone levels of male H. nitens reached the highest value before and after the spent stage. Ovarian developmental stages of H. nitens could be classified into early growing stage, late growing stage, mature stage, ripe and spawning stage, recovery and resting stage. The testicular developmental stages could be divided into growing stage, mature stage, ripe and spent stage, and recovery and resting stage.
        34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의 대표적인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와 철골조를 들 수 있으며, 이때 철골조는 화재발생시 철골이 고온에 노출되면 내력저하 현상이 발생하여 내화피복을 의무화하고 있다. 내화피복재는 내화뿜칠재와 내화도료로 크게 분류되며, 국내의 고층 건축물에서는 주로 내화뿜칠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가에서 운영하는 내화구조인정제도에 의해 내화뿜칠재의 내화성능에 대한 인정 취득 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내화구조 인정제도는 제품의 초기성능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어 내화뿜칠재의 장기적인 내구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어 왔으며, 미국의 세계무역센터 붕괴 최종보고서에서도 내구성 검토를 언급함에 따라 미국, 유럽 등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내화뿜칠재에 대한 내구성 평가방법을 제정 및 사용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내화뿜칠재의 90%이상이 업무용시설의 천장내에 시공되는 등 주로 옥내에서 사용되는 점에 착안하여 다양한 조건의 내구성 평가방법에 앞서 국내의 옥내 환경조건에 대응한 내화뿜칠재의 촉진내구성 평가방법을 정립하여 내화뿜칠재의 내구성 평가 및 기술개발에 활용함으로써 내구성 관련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345.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규모 실내 3D 게임 장면에서 차폐 컬링 정보를 미리 계산하는 잠재적 가시 집합(potentially visible set: PVS)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해야하는 양이 상당히 크지만 많은 부분이 0으로 표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의 3D 게임 장면 트리 구성 중에 PVS 데이터를 ZRLE (zero run length encoding) 방식으로 압축하는 효과적인 하드웨어 압축 구조를 설계한다. 3D 게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구조의 PVS 데이터 압축 비율, PVS 컬링과 절두체 컬링에 따른 렌더링 속도 (frame per second: FPS)를 분석하였다.
        352.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내에 있는 노드의 위치를 알려주는 시스템은 여러 유용한 응용에 활용된다. 그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응용이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다. 여기서는 노드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특히 위치 이동에 따른 변화량과 방향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어 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방위각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 실내에서 기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노드의 이동 방위 각의 변화량과 변화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벡터기반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기존 알고리즘은 여러 기하학적 계산 단계들을 통 해 이동방향의 변화량을 파악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벡터를 기반으로 하는 단순한 산술식을 통해 이동 노드의 진행방향의 방위각 변화량을 구하고, 노드가 직전에 이동한 방향에 근거하여 도출된 단순한 수식의 부호값(음 또는 양)에 따라 변화방향을 파악한다. 지 속적으로 이동하는 노드의 변화하는 방위각에 대한 파악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논리식과 수식으로 증명하였다.
        353.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늬 베고니아(Begonia rex) ‘Harmony’s Red Robin’은 독특 한 적색 무늬로 잘 알려지고 인기 있는 실내식물이다. 하지만, 실내 에서는 광환경이 불량하여 무늬의 색상이 퇴색하는 경향이 있어 관 상가치가 감소된다. 본 실험은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 잎의 적색 무늬 발현에 미치는 광질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 해 실시하였다. 실내에서 광원으로 형광등(F)과 LED-백색광(W), 적색광(R), 청색광(B), 녹색광(G), 황색광(Y)과 적·청혼합광(RB, 적색:청색=4:1) 등 7가지로 광 처리하였다. 실내 조건은 기온 25±4℃, 상대습도 60±5%였다. 모든 처리 광원의 광도는 60μ mol·m-2·s-1로 조정하였고 12시간 일장조건으로 8주간 처리하였 다. 그 결과, 생육 특성은 RB, W, B LED에서 양호했다. 전체엽수 는 RB와 B에서 증가했고 총엽면적과 잎의 생체중은 RB, W, B에 서 처리 간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무늬 발현 특성 중 무늬 비율은 LED RB와 B에서 양호했고 무늬의 적색 발현은 B에서 가장 양호 하였다. 결론적으로, 실내에서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의 적색 발현을 향상시키기 위해 LED 청색광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식물 생장과 인간의 시야 및 미적 환경 등을 고려 할 때 LED 백색광과의 적절한 조합비율의 적용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54.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특한 잎의 형태, 색상과 질감은 높은 관상가치를 나타내는 특 징들이다. 일반적인 녹색 관엽식물에 비해 잎에 두 가지 이상의 색 이 혼입된 무늬 관엽식물은 원예적으로 관상가치가 높다. 관엽 베 고니아인 B. rex ‘Harmony’s Red Robin’은 긴 엽병과 반짝이는 적색 무늬, 그리고 거친 질감의 잎을 가진 동인도 원산의 근경성 품 종이다. 그러나 자연채광이 불량한 실내에서는 낮은 광도로 인해 무늬 식물 고유의 색상이 퇴색되는 경향이 있어 관상가치가 감소된 다. 식물은 적정 광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 따라서 관상가치를 유지 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한 실내 광조건이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에서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의 생 육 적정 광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광원은 보편적 실내 광 원인 형광등(fluorescent lamp)을 이용하였고, 광도에 따른 생육 특성과 무늬발현특성, 색소함량을 처리 전 초기값을 기준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은 60μ mol·m-2·s-1 광도에서 가장 생육이 양호하였으나 적색발현을 나타 내는 적색도와 안토시아닌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초기값보다 감소 했다. 결론적으로, B. rex ‘Harmony’s Red Robin’의 실내에서 적 정광도는 60μmol·m-2·s-1이었다. 그러나, B. rex ‘Harmony’s Red Robin’의 잎 무늬에 있어서 적색발현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355.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s widely used to aid the navigation of aerial vehicles. However, the GPS cannot be used indoors, so alternative navigation methods are needed to be developed for micro aerial vehicles (MAVs) flying in GPS-denied environments. In this paper, a real-time three-dimensional (3-D)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closed-loop control of a quad-rotor aerial vehicle equipped wit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and a low-cost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is presented. In order to estimate the pose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two-dimensional LIDAR, an octree-based grid map and Monte-Carlo Localization (MCL) are adopted. The navigation results using the MCL are then evaluated by making a comparison with a motion capture system. Finally, the results are used for closed-loop control in order to validate its positioning accuracy during procedures for stable hovering and waypoint-following.
        36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름알데히드의 고농도와 저농도에 따른 식물의 생리적 반응을 보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식물은 관음죽, 팔손이나무, 스킨답서스를 이용하였으며, 포름알데히드는 0, 2(2.5), 10(12.3), 100(123) ppm(mg・m-3)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포름알데히드 처리에 대한 잎 피해증상은 100 ppm의 고농도에서 5시간 처리 후 검은 반점으로 나타났다. 외관상 피해증상은 어린잎과 노화된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팔손이나무의 경우에는 줄기에서도 일부 나타났다. 피해 잎의 책상조직과 해면조직이 파괴되거나 변형되었다. 전체적으로 Peroxidase와 Catalase 함량은 관음죽>팔손이나무>스킨답서스 순서였으며,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함량도 대체로 증가하였다. 피해가 심한 스킨답서스의 경우 고농도 처리시에 기공이 닫히는 비율이 약 80% 가장 높았으며, Catalase 증가량도 가장 컸다. 결과적으로 100 ppm의 고농도에서 포름알데히드 흡수를 저해하기 위해 기공이 닫히거나 효소 함량의 변화가 일부 나타났으나, 저농도에서 적극적 흡수를 위한 반응은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