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2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IT 융합 기술이 글로벌 시장의 핵심 화두로 떠오르면서, 스마트 의류 분야에서도 '의류+서비스 제공(service provider)' 기능을 갖는 PSS형 제품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PSS형 제품 디자인의 일환으로서 안전보호 기능의 산악복 용도에 적합한 발광특성을 지닌 유연 광섬유 기반 직물 디스플레이의 제직구성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한 산악복 모형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직 구성, 즉 직물조직과 광섬유 밀도가 다른 총 15개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 시료를 제직하여, 이를 대상으로 각각의 휘도를 측정함으로써 발광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자직 2:1', '주자직 3:1' 및 '능직 2:1', '능직 3:1'인 경우가 안전보호 기능을 위한 산악복으로서 적용이 가장 적합한 발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광특성에 관한 분석 결과 및 최근 스포츠 패션 트렌드를 기초로 하여, 유연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 적용 산악복 모형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4,000원
        25.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남육괴 남서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성암들은 태평양(Pacific)판의 섭입에 의해서 야기된 활발했던 백악기 화성활동의 산물이다.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접근을 통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성인과 지구조환경을 유추하여 보았다. 연구지역의 화강암류는 칼크-알칼리(calc-alkaline)계열로, 분화에 따른 주성분원소와 미량원소의 변화 경향은 전반적으로 다른 지역의 백악기 화강암류의 분화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각 암체의 분화경향이나 화학조성을 살펴볼 때 각 암체의 마그마 근원물질은 서로 다른 것으로 사료된다. 복내지역 동교리 부근에 분포하는 화강섬록암(DGd)은 연구지역 내에 분포하는 다른 화강암류와 비교하여 Al2O3, MgO의 함량 및 분화에 따른 변화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며, Ba, Sr, Pb, Ni, Cr, Y등 미량원소의 함량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동교리 화강섬록암(DGd)의 지화학적 특징은 높은 Al2O3, Sr 함량과 높은 Sr/Y La/Yb 비를 가지며, 낮은 Y과 Yb함량과 같은 슬랩용융(slab-melting)으로 생성된 아다카이트에서 흔히 관찰되는 지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주성분 및 미량원소의 함량을 살펴보면 동교리화강섬록암은 아다카이트의 판별도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Sr/Y vs. Y 관계도에서 호상열도형ADR(Island Arc Andesite, Dacite, Rhyolite)영역에 도시되는 다른 백악기 화강암류들과 명확히 구분되어 아다카이트 영역에 잘 도시된다. ANK vs. A/CNK과 지구조판별도에서 화강암류의 모마그마는 I-type의 화산호화강암의 특성을 나타내며, 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한 압축장응력이 작용하는 대륙연변부에서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지화학적특성 및 지구조적 환경을 종합하면 동교리화강섬록암의 아다카이틱한 특성은 섭입슬랩의 용융(해령 섭입에 의한 열로 생성)에 의하여 생성된 마그마와 맨틀 페리도 타이트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상승하는 동안 지각물질과의 동화작용 등 복합적인 과정을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5,100원
        26.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 식물 변화를 Numata 식의 생활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02년 12월에 준공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식재종은 10과 13속 12종 3변종으로 총 15종류가 식재되었다. 식재종의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rmancy form)은 다년생수생식물(HH)이 6종으로 가장 많고, 지하기관형은 R5, R3, R2-3이 각각 4종, 산포기관형은 풍수산포형(D1)이 10종, 생육형은 직립형(e)이 가장 많았다. 인공습지 준공후 5년이 경과된 모니터링의 최종년도에 조사된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은 종수와 개체수는 증가하였으나 생활형 구성비 (%)에 대한 경향성은 큰 변화는 없었다. 휴면형은 1년생육상식물(Th)이 43종, 24.29%, 지하기관형은 R5가 산포기관형은 D4형과 D1형, D1,4형이 전체의 77.39%를 차지하고 있었다. 생육형은 직립형(e), 총생형(t), 일시적로제트형(pr), 분지형(b), 로제트-직립형(ps)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종들이 전체의 64.97%를 차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경우 휴면형은 천이가 진행될수록 다년생식물의 구성비율이 높아 습지 천이의 선구종들인 1년생식물이 우점하는 식생형이 점차적으로 안정된 다년생 습지식생의 유형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식형은 지하기관형인 단립식물(R5)이 우세하나 달뿌리풀 등과 같은 땅위에 연결체를 만드는 R4식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산포기관형은 습지의 특성상 바람이나 물에 의하여 운반되는 풍수산포형과 수변 목본식물의 발달로 인한 중력산포형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육형은 습지의 경우 총생형이 우세할 것으로 판단되며 육상은 인위적.자연적 교란에 의하여 다양한 유형의 생육형이 공존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3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건설이 증가하고 있는 곡선교는 1960년대 까지는 직선 거더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건설되어 왔으나, 현재 곡선 거더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곡선 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간과 건설비용의 절감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유리하다. 판형교에서는 전단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 좌굴강도의 검토와 보강재의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직선 복부판과 비교하여 곡선 복부판은 형상비와 곡률에 따라 전단좌굴 강도가 변화하나, 현재까지 곡선 복부판의 전단좌굴강도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선복부판의 선단좌굴 강도를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이론 산정하는 간략식을 제시하였다.
        4,000원
        3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t tree approach of Montreuil and Ratliff [16] and eigenvector approach [10] are used to automatically draw a feasible facility layout with aisle structure. The department arrangement can minimize an aisle distance criterion considering door location
        4,000원
        3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구조물은 부재를 볼트 연결이나 용접을 이용하여 분절 제작된 부재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볼트 연결된 강구조물의 경우 사용기간 증가에 따라 부분적인 볼트 풀림이나 볼트 이음판 및 볼트의 국부적 부식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거더 복부판에 설치된 볼트의 교체나 복부판의 부분 교체 시 발생할 수 있는 복부판 볼트 제거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강거더의 거동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강거더 실험체를 대상으로 복부판의 볼트 풀림에 따른 거동 변화를 평가 하였다. 다양한 풀림과정을 고려하였으며, 볼트 연결부에 작용하중 상태를 고려하여 볼트 풀림을 강거더 시험체 재하 상태에서 실시하고 그 영향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3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U형 복합보의 단부형태에 따른 구조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U형 복합보는 강재의 재료물량 감소로 경제적이지만 철골기둥과의 접합에 대해서는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형 복합보 단부에 H형강을 접합시킨 실험체, H형강을 접합하지 않고 U형 복합보 만으로 된 실험체, 그리고 U형 복합보 단부에 H형강을 접합시킨 실험체에 데크스팬을 결합시킨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U형보 단부에 H형강을 접합한 실험체의 구조성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실험체의 실험값과 이론값의 비율(Mtest/Mtheo.)은 각각 1.06배, 1.16배, 1.13배로 나타났다.
        3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U형 복합보의 구조적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실험체의 휨 성능에 대한 실험값과 이론 값을 비교하였다. U형 복합보 단부에는 H 형강이 설치되고 중앙부분에는 U 형강이 설치되기 때문에 H 형강과 U 형강이 만나는 접합부에서의 원활한 응력전달이 중요하다. U형 복합보는 크게 3개 부분(U형보 단부의 H형강 부분, H형강과 U형보 가 만나는 부분, U형보만 존재하는 중앙부분) 구분할 수 있으며, U형 복합보의 중앙부와 하중작용점에 부착된 변형게이지의 변형률 값을 비교하여 중심축을 하중 단계별로 확인하였으며, 실험체의 하중단계별 변형률 분포를 확인하였다.
        39.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형 복합보는 공작물 주차장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복합보를 공작물로 적용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낮은 층고와 장경간이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및 강구조가 혼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일체성을 확보하고, 소요강도 이상의 구조성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와 U-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복합보의 구조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복합보의 구조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주차장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U-형 복합보를 기준실험체로 설정하고, 기준실험체 대비 하중방향, U-형 복합보의 춤 및 폭을 변화시킨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체 지점간 거리는 4.5m 이며, 하중은 순수 휨구간이 1.5m가 되도록 중앙부 2점가력 하였다. 이론값 산정을 위해 U-형 중앙부의 철근, 강재, 콘크리트 등에 변형게이지를 부착하였으며, 하중점 및 측면에 변위계를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주차장용으로 계획된 기준실험체의 초기 항복강도는 U-형 강재 밑면에서 처음 발생되었다. 항복강도 이후에는 U-형 강재의 항복구간이 점점 확대되면서 최대강도에 도달되었으며, 최대강도 이후에는 RC 슬래브 콘크리트가 압괴되면서 최종파괴 되었다. 춤을 증가시킨 실험체의 구조성능은 기준실험체와 비교하여 강도 및 연성이 매우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하중방향에 따른 저항 성능은 부가력으로 가력했을 때 휨성능은 저하되나 연성거동은 증가하므로 휨성능 및 연성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slab span, new composite beam with U-shaped compression element consisting of channel and concrete has been developed. Strength design procedures of the composite beam against construction and permanent loads have been proposed. Using these procedures, it is possible to design consistently of the developed composite beam.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