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2년 한문 교과가 독립 교과로 부활되면서 체계적인 교육이 실시되었다. 한문문법의 경우, 통일안이라 할 수 있는 교육부의 해설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설서 자체에도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문 교과 과정의 한문 문법에 대한 인식이나 체계적인 분류정리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동일한 문장을 여러 가지 다른 문장 형식으로 분류하고 있는가 하면, 마땅히 구별되어 사용해야 할 문법적 범주들이 뒤섞여 처리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文章 形式에 대한 기존의 분류 기준과 내용을 검토하고 문형의 문법적 범주와 내용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하였다.1.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문장의 형식을 정리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어의 성질’에 따라 判斷文, 敍述文, 描寫文으로, 둘째, ‘행위의 주체’에 따라 使動文, 被動文으로, 셋째, ‘화자의 청자에 대한 의향’에 따라 平敍文, 疑問文, 命令文, 感歎文으로, ‘화자의 심리적 태도’에 따라 推測文, 假定文, 願望文으로 분류하였으며, ‘명제 또는 동작의 진위’에 따라 긍정문, 否定文으로 분류하였으며, 그밖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없는 것들로 限定文, 反語文, 比較文, 漸層文 등도 살펴보았다. 2. 용어의 문제에 있어서 나름대로 타당성을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다.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한 문장의 종류와 구조를 기준으로 분류한 문장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文形’이라는 용어를 제안하였으며, 문형 종류에서 정보 전달에 중점을 둔 문장 형식에 대하여 ‘平敍文’을, 문장의 주어가 제삼자로 하여금 어떠한 행위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문장 형식에 대하여 ‘使動文’을, 주어가 행위 동작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도리어 행위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형식에 대하여 ‘被動文’을,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둔 문장 형식에 대하여 ‘感歎文’을 타당한 용어로 제시하였다.3. 문장 형식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첫째,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한문 문장 분류의 기준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 현행 교육 과정에서는 동일한 문법 범주에서 취급될 수 없는 다양한 문장 형식들을 하나의 기준으로 적용시킴으로 해서 문장 형식이 혼동되어 있다. 이러한 문장 분류 방식은 학술적인 것이 아니라 초학자들에게 독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실용적인 측면에서 설정된 것이라 하더라도, 분류 기준의 다양성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각종 시험에서도 혼란과 시비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시급히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둘째, 혼용되어 있는 용어를 통일시키고, 각 문장 형식에 대한 정의를 엄밀하게 규정해야 한다. 특히 일본 학자나 중국학자들의 용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국어 문법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를 우선적으로 채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만약 국어 문법에 없는 용어라면 영문법 등을 통해 먼저 들어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하여 통일성을 꾀할 필요가 있다. 정확한 용어와 정의를 통하여 각 문장 형식의 개념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가 있다. 학교문법이 아무리 실용성을 중시한다 하더라도 문법적 체계성이 결여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고는 기존의 문장 형식을 해체하고 재편성하는 과정에서 아직까지 한문 문법에서 적용된 적이 없는 분류 기준을 적용한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11,600원
        2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의 論議는 한문교육을 위한 學校文法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그 기초를 다지기 위한 것이다.본고에서 분류 제시한 한문의 문장성분은 다음과 같다.主要成分 - 主語敍述語補充成分 - 目的語補語修飾成分 - 冠形語副詞語文章成分으로 兼語를 제시하기도 하나 이는 兼語式 文章에서만 특수하게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獨立語의 존재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文章의 結構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독립된 成分이므로 분류 검토하지 않았다.우리나라와 중국의 文章成分 名稱을 비교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目的語와 賓語이다. 賓語를 目的語라는 用語로 대체하였으나 그 개념은 國語의 目的語와 다르다. 본고에서는 目的語와 補語의 구분 기준을 目的語의 자리에 위치한 詞의 詞性과 그것이 敍述語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國語의 目的語 槪念과 相異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6,300원
        24.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한문과 영문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나라와 인구가 사용하는 글이다. 이들은 세계화 시대에 국제무대에서 활동하려면 우선 알아야 할 중요한 언어들이다. 국제 무대가 아니라 하더라도 다양한 정보지식을 습득하고 폭넓게 학습하려면 서양과 동양의 대표적인 두 언어를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소위 말하는 `동서고금을 통하는 것`이 편협된 시야를 넘어서 공정하고 객관적인 학문의 세계로 나아가는 길이기 때문이다. 외국어를 학습할 때는 당연히 이미 알고 있는 언어의 어법과 대비하여 이해를 도모하게 된다.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발견하면 쉽게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의 작업은 한문과 영문의 문법적인 구조를 비교하는 일이지만 한문의 문법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해 보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오늘날 영어학습의 열기는 높은데 한문학습은 그에 비해 열기가 낮은 편이다. 영어의 구문과 대비하여 한문학습을 진행하면 그만큼 한문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가 높아질 것이며, 따라서 학습효과도 당연히 높아질 것이다. 본고에서는 영어의 전반적인 문장형식을 제시하는 5형식과 이에 준하는 한문의 형식을 기본적인 평서문을 대상으로 하여 형식별로 대비 분석하였고, 전형적 문형인 의문문 사역문 명령문 감탄문 등의 상호 문장구조를 비교하여 동·이점을 밝혔으며, 아울러 상용적인 문구의 수사법상의 차이점도 살펴보았다. 서양인은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지니고 세밀한 원칙을 설정하여 이를 준수하려고 노력한다. 반면 동양인은 원칙은 설정하지만 포용적이고 함축적인 사고를 가지고 최대한 융통성을 발휘한다. 양자의 의식과 습관이 두 문장 속에 잘 반영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7,800원
        2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28.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To test appropriateness of writing subtest translated into Korean. Method: Fourty-fiv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ime spent on each sentence was measured for both hand. We performed Repeated Measure as a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hen the averaged time spent on each sentence was compared, the second and the fourth sentences were longer than the first and the third sente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spent to write each sentences with nondominant hand, but not with dominant hand. For the nondominant hand, the result of contrast tes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rst, second, third sentences, but not in the fourth sentence. Conclusio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spent in writing the four sentences. Because equivalent time duration represents the validity of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a modification of the test is recommended.
        4,000원
        29.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iversal grammar has exerted meaningful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SLA researchers working within UG have addressed the question whether second language developments are constrained by universal language principles. This paper reviews current developments in UG-based SLA research with a view to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UG principles in foreign language sentence structure development.
        5,200원
        3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언어장애인용 문장발생장치의 통신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처리방안으로 신경망을 이용하여 문장발생장치에 동사예측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각 단어들은 구문론과 의미론에 따른 정보벡터로 표현되며, 언어처리는 전통적으로 사전을 포함하는 것과는 달리, 상태공간에서 다양한 영역으로 분류되어 개념적으로 유사한 단어는 상태공간에서의 위치를 통하여 알게 된다. 사용자가 심볼을 누르면 심볼에 해당하는 단어는 상태공간에서의 위치를 찾아가며, 신경망 학습을 통해 동사를 예측하였고 그 결과 제한된 공간 내에서 약 20% 통신율 증진을 가져올 수 있었다.
        4,000원
        33.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900원
        36.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37.
        1985.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38.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ye-tracking approach allows u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for a wide range of measures of eye-movements, to relate these to language processing, and to have insight of language processing (Conklin, Pellicer-Sánchez, and Carrol, 2018).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ESL university students process the sentences with complex noun phrases modified by relative clauses. Two types of sentences with complex noun phrases were examined: complex noun phrases modified by relative clauses located in a sentence subject (syntactic-based processing) and those located in a sentence object (semantic-based processing). In total, 32 EFL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xation count, regression rate, first reading time, and total reading time of areas of interest were examined. The eye-tracking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gression rates on noun 2 than noun 1 in both types of complex noun phrases. In terms of verb selection, however, the results showed contrasting aspects : noun 1(verb 1 selection) preference in syntactic-based processing whereas noun 2(verb 2 selection) preference in semantic-based processing,
        3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nyoung Lee. 2017. Online Processing of Dependency between an NPI and Negation in Korean. Studies in Modern Grammar 95, 19-36.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online processing of syntactic dependency between a negative polarity item (NPI) and its negative licensor in Korean. A total of 32 adult native speakers of Korea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employed a region-by-region, self-paced reading paradigm to measure online reading times. The results showed that as soon as a parser encountered an NPI in the sentence, it expected a negative element to come up at the earliest potential position. Slow reading times occurred at the first candidate site if such an expectation was not satisfied immediatel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 the Filled Gap Effect in English (Fodor 1978; Crain and Fodor 1985; Stowe 1986; Frazier and Clifton 1989) and the Typing Mismatch Effect in Japanese (Miyamoto and Takahashi 2001, 2002); Aoshima et al. 2004; Ueno and Kluender 2010).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uman parsers, despite the different structural properties of each language, use the similar sentence processing mechanism.
        40.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문장은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어형식이다. 이 문장의 확대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여 하나의 글을 완성해 간다. 문장의 확대는 복문과 관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문장 연결 과제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의 복문 습득 양 상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3주 동안 초․중․고급 단계 외국 인 학습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접속문의 경우 대조와 이유가 모든 급에서, 나열은 초급과 고급에서 70%이상의 정답률로 습득을 하였으며 그 외 접속문은 완전 하게 습득을 못하였다. 내포문의 경우 관형절이 모든 급에서 80%이상 의 높은 정답률로 습득을 하였고 명사절은 초급이 47%로 습득이 아 직 진행 중이었으며 중급과 고급은 정답률에 차이가 있지만 습득이 이루어졌다. 혼합문의 경우 세 문장, 네 문장 연결하기 모두 정답률이 70%이하로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상에서 단순한 두 문장 연결의 접속문과 내포문에서 습득이 이루어졌더라도 문장 길이가 길어져 통사적으로 좀 더 복잡한 복문구조가 되면 문장 연결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2 3